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전주인문기행 : 전라감영 600년

전주인문기행 : 전라감영 600년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종근
Title Statement
전주인문기행 : 전라감영 600년 / 이종근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전주 :   신아출판사,   2021  
Physical Medium
2책(407 ; 380 p.) ; 23 cm
ISBN
9791156058939 (v.1) 9791156058946 (v.2) 9791156058922 (세트)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8099
005 20210426130615
007 ta
008 210422s2021 jbk 000c kor
020 ▼a 9791156058939 (v.1) ▼g 04810
020 ▼a 9791156058946 (v.2) ▼g 04810
020 1 ▼a 9791156058922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951.95 ▼2 23
085 ▼a 953.62 ▼2 DDCK
090 ▼a 953.62 ▼b 2021
100 1 ▼a 이종근
245 1 0 ▼a 전주인문기행 : ▼b 전라감영 600년 / ▼d 이종근 지음
260 ▼a 전주 : ▼b 신아출판사, ▼c 2021
300 ▼a 2책(407 ; 380 p.) ; ▼c 23 cm
536 ▼a 이 책은 관훈클럽정신영기금의 도움을 받아 저술, 출판되었음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62 2021 1 Accession No. 1118477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62 2021 2 Accession No. 1118477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종근(지은이)

전북도민일보 기자, 전민일보 문화부장, 전북문인협회 사무국장, 전주시 문화의집 관장, 한국문화의집협회 부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프레스센터, 한국언론재단, 방일영문화재단(3회),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 한국언론진흥재단 등 기획 출판 대상에 7회 선정됐다. 문화 전문 공무원으로 전주시 ‘문화의집’관장 재직 시 제5회 전국 문화기반시설 평가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한프문화의집 국제 컨퍼런스에서는 한국 대표로 선정돼 ‘문화의집’의 원조인 프랑스에‘직장인을 위한 한낮의 틈새음악회’를 소개했다. 1994년‘문예연구’신인상을 통해 수필가로 등단했으며, 2010년 제1회 대한민국 신화창조 스토리 공모대전(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우수상을 받으면서 다큐멘터리 작가로 데뷔한 후, 2011년엔 KBS-1TV를 통해‘꽃담의 유혹(2부작)’이 추석 특집물로 방영, 시청률 3.7%로 지상파 방송 10위권에 랭크됐다. 꽃담은 국가 브랜드의 하나로 선정됐으며, 한국을 빛낸 100대 킬러 콘텐츠에 뽑혔다. 제33회 전국향토 문화공모(한국문화원연합회) 콘텐츠부문에 ‘서예가 이삼만의 산광수색’창극 대본을 출품, 최우수상을 받았다. 온고을의 맛, 한국의 맛(1995), 전북문학기행(1997), 모악산(1998), 전라도 5일 장터(1999), 전라북도의 축제(2000), 한국 문화의집 바로보기(2000), 주민자치센터 운영의 길잡이(2001), 명인명장-이태백 사오정이 없는 세상을 꿈꾼다(2004), 우리 동네 꽃담(2008):이 달의 읽을 만한 책 선정(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한국의 옛집과 꽃담(2010), 서예로 보는 전북문화유산(2013), 이 땅의 다리 산책(2015):이 달의 읽을 만한 책 선정(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용인의 이야기를 열다(2015), 전주천의 역사와 문화(2015), 전주 삼천의 역사와 문화(2015), 한국의 다리 풍경(2016), 전주 한옥마을 다시보기1(2016), 전주의 편액과 주련(2018), 전주 한옥마을 붓글씨 기행(2018), 한국의 미 꽃문(2018), 전북야사(2018), 고창인문기행(2019), 전주 한옥마을 다시보기2(2019), 한국의 꽃살문(2019), 전주예술사(2019), 동물로 풀어보는 전북의 해학(2019) 등 28권의 단행본을 펴냈다. 한국 꽃담과 다리는 KBS 글로벌 뉴스, 미주 중앙일보, 인도네시아 한인뉴스, K-BOOk 등을 통해 지구촌 곳곳에 알렸으며 '전주 한옥마을 다시보기1'은 일본 가나자와시 우미미라이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다. 이종근은 현재 2030 전주 문화비전 수립 자문위원, 전주 문화특별시 시민연구모임 멤버, 전주문화원 연구위원, 전주문화재단 문화비평 편집위원, 전북수필문학회 이사, 지후 아트갤러리 운영위원, 한국서예교류협회 홍보 및 기획 이사, 새전북신문 문화교육부 부국장으로 일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v.1]

전주 음식

‘전주 복숭아’ 승도 ㆍ 14
《조선상식문답》 속 전주 ㆍ 18
임실 쥐눈이콩과 전주콩나물국밥 ㆍ 21
전주 백산자 ㆍ 24
전주 즙장 ㆍ 28
고들빼기김치 ㆍ 31
비사벌 초사 ㆍ 37
옴팡집 ㆍ 40
속담 속 전북 음식 ㆍ 43
미나리 ㆍ 48
오모가리탕 ㆍ 51
천렵과 회안대군 ㆍ 54
전주(봉동)생강 상인과 올공쇠 ㆍ 58
새로 찾은 전주비빔밥의 유래 ㆍ 62
전주 엿 ㆍ 66
이규보의 〈몽험기〉와 〈제신문(祭神文)〉 ㆍ 70
별건곤과 풍토유람 ㆍ 79
조삼난(趙三難), 만마관에서 술장사를 하다 ㆍ 82
돼지고기를 먹지 많은 전주부윤 윤효손 ㆍ 90
경기전 어정(御井)과 제례 음식 ㆍ 94
포크가 1884년 맛본 전주 밥상 ㆍ 105
전주는 왜 콩나물국밥이 유명할까 ㆍ 113
전주 관아의 주방에 판 메추라기 ㆍ 120
동학이 생각나는 황포묵 ㆍ 126
혼돈반과 골동반 ㆍ 134
임실 팥칼국수와 전주 소바, 그리고 국수 ㆍ 138
한옥마을 주변의 맛집들 ㆍ 154
잉골드의 젓가락과 고추 ㆍ 172
전주역사박물관, 한글음식 방문 알고 보니 ㆍ 178
생원 이사철, 병든 아버지를 위해 편육을 드시게 하다 ㆍ 188
이하곤의 두타초에 나타난 18세기 ㆍ 195
전주 가맥 ㆍ 201
서신동 감나뭇골 ㆍ 206

전주 예술

소년 명필 ㆍ 210
전주 검무 ㆍ 215
비파 명인 송경운 ㆍ 219
소병진과 전주장(全州欌) ㆍ 223
잊혀가는 ‘전주의 노래’ ㆍ 227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 ㆍ 238
잊힌 이름 석당 고재봉 ㆍ 241
이응로와 개척사 ㆍ 244
기생 한섬과 양대운 ㆍ 248
대사습놀이전국대회와 동지 ㆍ 252
가재미골과 부채 ㆍ 255
경기전 용매와 한벽당 심매경 ㆍ 259
김치현과 이승갑 ㆍ 263
전주 지우산 ㆍ 266
호(號) ㆍ 269
한옥마을의 느린 편지 ㆍ 272
허산옥과 행원 ㆍ 275
‘예(藝)’다방 ㆍ 303
천은사와 이삼만 ㆍ 306
명창 김옥진 ㆍ 311
합죽선의 유래 ㆍ 314
고하 최승범 ㆍ 317
낙화(烙畵)의 고장 전주 ㆍ 320
다가정의 모흥갑과 주덕기 ㆍ 325
통영장과 전주장 ㆍ 328
전주로부터 비롯된 한문 홍길동전 《노혁전》 ㆍ 333
기생 금개와 전주도 ㆍ 340
전라감영 선자청 ㆍ 344
완산8경이 나오는 〈춘향가〉 ㆍ 347
이병희가 쓴 한벽당 행서 편액 ㆍ 352
민주현의 〈완산가〉 ㆍ 354
김창조 ㆍ 360

전주 기록

금강전과 완산지 ㆍ 364
희현당 ㆍ 368
전주 책방 ㆍ 371
전주 배첩장 ㆍ 374
완판본 〈열녀춘향가〉 ㆍ 377
포쇄 ㆍ 380
‘경기전의’와 배첩(褙貼) ㆍ 383
교지 ㆍ 387
경기전과 배첩 ㆍ 390
다가산방 편액에서 이광열과 신석정을 만나다 ㆍ 395
전주와 《조선왕조실록》 ㆍ 400


[v.2]

전주인물
전주의 길에서 옛 사람을 만나다
김용진과 마전교
박인규의 구강재
간납대
박정근과 방병선
·
·
[중략]
·
·
자이열재
이성계의 고향이 함북 영흥이 된 까닭
이성계가 황산대첩에서 탄 ''유린청(游麟靑)''
전주 기생 막동과 함부림
천양정

전주 역사와 생활
꽃보다 아름다운 전주 최부잣집의 꽃담
떡전거리와 전주 고속버스터미널
1872년 봄날, 전주지도에 보이는 오얏
교동(校洞)과 교동(橋動)
숲정이
·
·
[중략]
·
·
온다라
전주발(發) 착한 임대운동
송천동 오송(五松)
1920년 전북자동차상회 버스 요금
《호숭첩》

전주문화유산
전주 하마비
전주초등학교 독립운동기념비
완산종(完山鐘)
예종 태항아리와 태지석
남고사의 종소리
전주향교 계성사(啓聖詞)
남천교
전주성
함경남도 선원전 태조 이성계상과 국보 태조 어진
다가공원 비석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학호남진흥원 (2022)
홍봉한 (2022)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2022)
최보영 (2022)
김민수 (2022)
서종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