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8045 | |
005 | 20210423131432 | |
007 | ta | |
008 | 210422s2021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0684674 ▼g 93900 | |
035 | ▼a (KERIS)BIB000015834722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 ▼2 23 |
085 | ▼a 953.06 ▼2 DDCK | |
090 | ▼a 953.06 ▼b 2021z2 | |
100 | 1 | ▼a 서동일 |
245 | 1 0 | ▼a 1919년이라는 문턱과 파리장서운동 / ▼d 서동일 저 |
260 | ▼a 서울 : ▼b 선인, ▼c 2021 | |
300 | ▼a 410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77-386)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2021z2 | 등록번호 1118477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파리장서운동은 일반인은 물론 한국사 연구자에게도 생소한 사건이다. 독립운동 관련 용어에 '파리'라는 유럽의 지명이 들어간 것도 생소하지만, 한때 구미인을 '짐승'으로 여긴 유교지식인이 운동의 주체라는 점도 놀랍다.
어떻게 하면 파리장서운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저자는 이렇게 접근하였다. 백 년 전 유교지식인들의 언어와 사고는 오늘날의 시각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1919년 전후 유교지식인들의 관심과 가치를 당대적 좌표에서 해독하는 것이 이 책의 첫걸음이다(제1장).
이어 정보 공유, 운동 주체, 지역 거점이라는 시각에서 파리장서운동의 역동적 전개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제2장). 하지만 독립운동의 기념과 기억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 민족 독립과 인간 해방의 열망이 분출하고 교차하고 충돌하던 1919년의 문턱에서, 파리장서운동을 이끈 유교지식인들이 경험한 좌절과 한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제3장).
파리장서운동은 일반인은 물론 한국사 연구자에게도 생소한 사건이다. 독립운동 관련 용어에 ‘파리’라는 유럽의 지명이 들어간 것도 생소하지만, 한때 구미인을 ‘짐승’으로 여긴 유교지식인이 운동의 주체라는 점도 놀랍다.
파리장서운동은 외형상 불협화음 없이 순조롭고 신속하게 진행된 완성형의 독립운동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무엇을 성취하겠다는 지향성보다 무엇을 하지 않을 수 없다는 불가피성이 지배한 반일운동이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1925~1926년 김창숙의 독립운동기지 건설운동 이후 나타난 유교 독립운동의 퇴조 현상은 1920년대 초 총독부 문화정치의 도래나 워싱턴회의 결과에 대한 실망은 물론이고 유림이 진행한 복벽주의적 독립운동의 한계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파리장서운동은 유교 독립운동의 변곡점으로 볼 수 있지 있지 않을까? 1919년은 한국 사회 또는 한국 유교가 처한 ‘문턱’이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어떻게 하면 파리장서운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필자는 이렇게 접근하였다. 백 년 전 유교지식인들의 언어와 사고는 오늘날의 시각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1919년 전후 유교지식인들의 관심과 가치를 당대적 좌표에서 해독하는 것이 이 책의 첫걸음이다(제1장). 이어 정보 공유, 운동 주체, 지역 거점이라는 시각에서 파리장서운동의 역동적 전개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제2장). 하지만 독립운동의 기념과 기억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 민족 독립과 인간 해방의 열망이 분출하고 교차하고 충돌하던 1919년의 문턱에서, 파리장서운동을 이끈 유교지식인들이 경험한 좌절과 한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제3장). (책을 내면서 中)
정보제공 :

저자소개
서동일(지은이)
건국대학교 사학과와 대학원(석사과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과정)을 졸업하고, 2021년 현재 국가보훈처 학예연구사, 건국대학교 사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근현대사학회 연구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초기에는 파리장서운동을 비롯해 1910~20년대 유교계 독립운동에 관심을 가졌고, 최근에는 근대 유림의 국외 이주와 지적 전환, 식민지기 국내 신지식인층의 유교 비판과 유림의 조직화, 근대 한인의 일상생활과 유교 문화 등에 주목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식민지기 유림대회의 출현과 지방의 유교권력」(2019), 「중앙사와 국가주의의 틀을 넘어-2010년대 3.1운동 연구경향-」(2018), 「1910년대 한인의 안동 이주와 접리수 한인촌 설립」(2015), 「성주 사도실 마을의 창씨 실태와 유림 김창숙의 반대 논리」(2014), 「1919년 파리장서운동의 전개와 역사적 성격」(2009, 박사학위논문) 등이 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파리장서운동의 기원 제1절 재경유림의 형성 1. 머리말 2. 고종 국장과 유림의 반일운동 3. 재경유림의 형성과 독립청원운동 추진 4. 재경유림의 반일운동 행적 5. 맺음말 제2절 윤충하의 독립청원운동 시도 1. 머리말 2. 성장 과정과 상경 이후 인적 기반 3. 을사오적 처단계획과 계몽사상 수용 4. 태극교 활동과 독립청원운동 시도 5. 맺음말 제3절 고종의 서거를 둘러싼 유교계의 복제논쟁과 독립운동 1. 머리말 2. 복제논쟁의 근거와 쟁점 3. 파리장서운동 참가자의 복제 인식 4. 복제논쟁의 성격과 유교계의 독립운동 5. 맺음말 제2장 파리장서운동의 발단과 확산 제1절 청년 김황의 3.1운동 목격과 독립운동 이해 1. 머리말 2. 고종의 급서와 유림의 반응 3. 김황의 상경과 3.1운동 목격 4. 신구 청년 지식인의 사상 논쟁 5. 맺음말 제2절 파리장서운동의 주체와 숨은 협력자들 1. 머리말 2. 파리장서운동의 주체와 영남지역 협력자 3. 영남지역 협력자의 시기별 역할 4. 유교계 독립운동의 연속과 단절 5. 맺음말 제3절 파리장서운동의 지방 거점 형성과 성주 1. 머리말 2. 성주지역 파리장서운동의 주도세력 3. 파리장서운동의 발단과 성주지역 거점 형성 4. 총독부의 성주지역 관련자 체포와 사법처리 5. 맺음말 제3장 파리장서운동의 결과와 이면 제1절 조선총독부의 관련자 사법처리와 유림의 독립운동 논리 1. 머리말 2. 총독부의 관련자 체포와 사법처리 3. 수감시설의 폭력성과 유림의 독립운동 논리 4. 출감 이후의 관련자의 심리와 독립운동 인식 변화 5. 맺음말 제2절 전우의 독립청원운동 참여 논란과 유교계 복벽주의 1. 머리말 2. 전우의 독립청원운동 참여 논란과 쟁점 3. 오진영의 독립청원운동 건의와 결과 4. 맹보순의 독립청원운동 제안과 결과 5. 전우의 독립청원운동 시도와 유교계의 복벽주의 6. 맺음말 제3절 성주 야성송씨의 파리장서운동 참가와 원불교 수용 1. 머리말 2. 성주 고산동 야성송씨 문중의 파리장서운동 참여 3. 파리장서운동 이후 고산동 야성송씨 문중의 ‘혼란’과 원불교 입교 4. 송인기·송홍욱 부자의 지적 기반과 원불교 인식 5. 맺음말 참고문헌 감사의 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