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 아이들의 눈으로 본 학교와 교실 이야기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 아이들의 눈으로 본 학교와 교실 이야기 (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대석, 金大石, 1973- 성정민, 저 김경성, 저
서명 / 저자사항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 아이들의 눈으로 본 학교와 교실 이야기 / 김대석, 성정민, 김경성
발행사항
서울 :   박영Story :   피와이메이트,   2020  
형태사항
xvii, 187 p. : 삽화 ; 23 cm
ISBN
9791190151436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8018
005 20210423155139
007 ta
008 210422s2020 ulka 001c kor
020 ▼a 9791190151436 ▼g 93370
035 ▼a (KERIS)BIB000015553945
040 ▼a 224010 ▼c 224010 ▼d 211009
082 0 4 ▼a 375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20z10
100 1 ▼a 김대석, ▼g 金大石, ▼d 1973- ▼0 AUTH(211009)88342
245 1 0 ▼a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 ▼b 아이들의 눈으로 본 학교와 교실 이야기 / ▼d 김대석, ▼e 성정민, ▼e 김경성
260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0
300 ▼a xvii, 187 p. : ▼b 삽화 ; ▼c 23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성정민, ▼e
700 1 ▼a 김경성,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20z10 등록번호 11184767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실제가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책의 PART Ⅰ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에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정의가 소개되며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들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 과정을 잘 보여준다.

PART Ⅱ ‘잠재적 교육과정의 실제’는 학급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이 실제로 나타나고 작동되는 메커니즘을 잘 보여 준다. PART Ⅱ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학급운영 및 학급인성교육, 교사와 학생의 관계, 인권·차별·평등, 학교 및 학급문화 등으로 구분하여 생생한 실제 사례와 이론 및 해설을 제시하였다.

“아이들을 잘 가르치고 싶다”는 것은 교사라면 누구나 갖는 생각이다. 특히 교직을 준비하거나 처음 교직을 시작하는 교사라면 더더욱 그 마음은 클 것이다. 그래서 교사는 수업시간뿐만 아니라 학교생활 전반에서 아이들을 잘 가르치고 지도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보통 교육활동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자 하는 의도를 바탕으로 계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공식적 교육과정(formal curriculum)을 지칭한다.

교육은 정말 의도적으로 계획하는 대로만 이루어질까? 우리가 지난날 학교생활에서 배운 것을 떠올려 보면 교육은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것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아이가 갖고 있는 가치관, 생각, 느낌, 태도의 많은 부분은 교육경험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그 경험은 수업시간에 교과서를 통한 공식적 경험과 활동 외에도 비공식적(informal) 경험과 활동, 예를 들면 어느 날 선생님이 보였던 태도나 행동, 동료와의 싸움이나 갈등을 포함한다. 비공식적 경험과 활동으로 인한 영향에 대해 1968년 필립 잭슨은 『교실에서의 생활』에서 구체화하였다. 잭슨은 학교교육의 결과를 1차적인 것과 2차적인 것으로 구분하였다. 1차적인 것은 수업에서 공개적으로 다루는 지식과 기술을 학습함으로써 나타나는 아이의 변화이고, 그것을 제외하고 학교가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는 전부를 2차적인 것으로 정의하였는데, 2차적인 것으로 인한 영향이 바로 잠재적 교육과정이다.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잠재적 교육과정은 표면적(공식적) 교육과정과 비교해 그 중요성이 결코 작지 않다. 어느 경우엔 잠재적 교육과정의 경험이 너무도 커서 졸업하고 나서도 교사, 동료에 대해 오랫동안 좋거나 나쁜 경험으로 기억된다. 따라서 교육을 이해하기 위해선 잠재적 교육과정의 특성과 영향력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잭슨 이후 잠재적 교육과정은 비판적 교육학자들에 이해 이론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이론적 접근방법과 교실생활의 사회화 과정에서 숨겨진 정치·경제·사회적인 이념에만 관심을 보이고 교실현장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이 나타나는 과정이나 그것이 실제로 아이의 생각, 가치관, 태도,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진했다. 잠재적 교육과정이 공식적 교육과정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급에서 이를 활용하는 연구가 미흡하였다. 특히 한국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연구와 출판물은 김종서(1987) 이후에는 거의 드물며, 대부분의 연구들이 비판적, 이데올로기적 측면에 국한되어 논의되었다.

이 책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실제가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책의 PART Ⅰ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에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정의가 소개되며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들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 과정을 잘 보여준다. PART Ⅱ ‘잠재적 교육과정의 실제’는 학급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이 실제로 나타나고 작동되는 메커니즘을 잘 보여 준다. PART Ⅱ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학급운영 및 학급인성교육, 교사와 학생의 관계, 인권·차별·평등, 학교 및 학급문화 등으로 구분하여 생생한 실제 사례와 이론 및 해설을 제시하였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교사나 정책자의 관점이 아닌 아이의 눈으로 바라볼 때 그 실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책은 교실의 생생한 현장을 아이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그래서 실제적이다. 본문 내용을 보면 많은 교육서에서 법칙처럼 얘기하는 것들이 실제로 교실 현장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아이에 따라 교사의 의도와는 정반대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수업을 운영하고 아이와 상호작용할 때 요구되는 전문적 지식과 스킬을 배울 수 있다. 또한 교실 활동에서 미처 몰랐던 아이의 반응이나 속마음을 알고 교사의 작은 언행과 태도, 아이와의 관계가 아이의 정서와 인격형성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 수 있다. 예비 교사들은 이 책을 통해 교육현장의 실제 모습을 생생하게 접하고 전문가로서 교직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이 책이 학급 및 수업운영과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요구되는 지식과 스킬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2020년 2월
우리 교육의 산실 공주대학교 사범대에서
김대석, 성정민, 김경성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대석(지은이)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현) 공주대 대학원 AI융합교육학과 학과장 현) 공주대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전공주임 [저서 및 논문] 『실패없는 아이: 모두가 행복한 학급 만들기』(박영사) 『아이들의 눈으로 본 학교와 교실 이야기: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박영사) 『아이들의 눈으로 본 수업 이야기: 좋은 수업의 이론과 실제』(박영사) <좋은 수업의 의미와 특성 분석>, <사회정서학습의 중요성 인식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 a classroom>,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결연 탐구>, <인지·정서통합계발수업의 설계원리 및 방법 탐구>, <감성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인성교육의 실천적 방법으로서 학급훈육 결정모형 연구>, <협동학습과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의 관계분석>, <학교 교육과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학교 과학교육과정이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측정> 외 다수

성정민(지은이)

공주대학교 교육학박사 현) 경기도 평택 계성초등학교 교사, 공주대학교 교직부 강사 [저서 및 논문] 『아이들의 눈으로 본 학교와 교실 이야기: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박영사) 『아이들의 눈으로 본 수업 이야기: 좋은 수업의 이론과 실제』(박영사) <예술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이 초등 통합교과에 주는 함의>, <교사의 예술적 교육과정 인식 및 실행 정도에 관한 연구>, <예비교사가 경험한 예술적 교육과정의 사례연구: Eisner와 Vallance의 유형을 중심으로>, <2015 국가교육과정 성취기준과 CASEL의 사회정서학습(SEL) 역량의 비교를 통한 교육과정 설계방안 연구>, <교육과정과 수업의 미학적 해석: Dewey의 “하나의 경험”을 중심으로>, <Ubd 설계론에 기반한 교과 단원 설계 실습 모형 개발>,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 탐구: 경기도교육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A. N. Whitehead의 유기체철학에 비추어 본 지식교육 개념의 확장> 외 다수

김경성(지은이)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현) 세종시 새롬고등학교 교사 [저서 및 논문] 바른 품성 5운동 운영 사례집(충청남도교육청) 영재학급 수업운영 매뉴얼(한국교육개발원) <탈북청소년의 역사교육 실태와 문제점 분석>, <탈북학생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역사교육 방안>, <동양윤리사상의 이상적 인간상이 갖고 있는 정서의 특성과 도덕교육에서의 활용방안>, <도덕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도덕교과교실 설계 방안>,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이론의 관점에서 본 북한 도덕교육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칠 영향에 관한 연구> 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PART 1.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 1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및 정의 2
2. 잠재적 교육과정의 전개 4
가. 잠재적 교육과정의 발전 4
나. 잠재적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긍정적 측면에 주목 8
다. 잠재적 교육과정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10

PART 2. 잠재적 교육과정의 실제 15
1. 교육과정 및 교수 · 학습 16
가. 협동학습 16
나. 교육평가 23
다. 토론 및 토의 수업 30
라. 수준별 반 편성 39
마. 멘토 - 멘티활동 및 짝활동 48
바. 학습내용과 잠재적 교육과정 57
사. 상호작용이 없는 일방적 수업 60
아. 학습내용과 무관한 수업 전개 64
자. 학생이 나와서 설명, 발표, 풀이하는 수업 및 거꾸로 수업 71
차. 기타 사례 82
2. 학급운영 및 학급인성교육 96
가. 민주적인 학급운영 96
나. 벌, 보상, 강화 106
다. 기타 사례 116
3. 교사 - 학생 관계 118
가. 교사의 칭찬과 격려, 사랑, 응원, 공감 118
나. 학급인성교육: 교사가 아이의 정서와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134
다. 기타 사례 146
4. 인권, 차별, 평등 146
가. 성 역할 인식, 성 고정관념 146
나. 교사의 편애, 차별 150
다. 학교 특별반 운영 153
라. 기타 사례 163
5. 학교 및 학급 문화 166
6. 그 밖의 사례 171

후기 178
미주 181
찾아보기 18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