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미술교육의 동향

현대미술교육의 동향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류재만, 저 류지영, 저 김정선, 저 황연주, 저 허정임, 저 김해경, 저 손지현, 저 박미진, 저 안금희, 저 김성숙, 저 강주희, 저 홍창호, 저 강도현, 저 이주연, 저 이은적, 저 백중열, 저
Corporate Author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Title Statement
현대미술교육의 동향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18  
Physical Medium
389 p. : 삽화(일부천연색) ; 26 cm
ISBN
9788925413037
General Note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류재만, 류지영, 김정선, 황연주, 허정임, 김해경, 손지현, 박미진, 안금희, 김성숙, 강주희, 홍창호, 강도현, 이주연, 이은적, 백중열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7858
005 20210420114501
007 ta
008 210419s2018 ggka b 001c kor
020 ▼a 9788925413037 ▼g 93370
035 ▼a (KERIS)BIB000014933368
040 ▼a 211031 ▼d 211031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5 ▼2 23
085 ▼a 372.5 ▼2 DDCK
090 ▼a 372.5 ▼b 2018z1
110 ▼a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45 1 0 ▼a 현대미술교육의 동향 / ▼d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
246 1 1 ▼a Trends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8
300 ▼a 389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6 cm
500 ▼a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류재만, 류지영, 김정선, 황연주, 허정임, 김해경, 손지현, 박미진, 안금희, 김성숙, 강주희, 홍창호, 강도현, 이주연, 이은적, 백중열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류재만, ▼e
700 1 ▼a 류지영, ▼e
700 1 ▼a 김정선, ▼e
700 1 ▼a 황연주, ▼e
700 1 ▼a 허정임, ▼e
700 1 ▼a 김해경, ▼e
700 1 ▼a 손지현, ▼e
700 1 ▼a 박미진, ▼e
700 1 ▼a 안금희, ▼e
700 1 ▼a 김성숙, ▼e
700 1 ▼a 강주희, ▼e
700 1 ▼a 홍창호, ▼e
700 1 ▼a 강도현, ▼e
700 1 ▼a 이주연, ▼e
700 1 ▼a 이은적, ▼e
700 1 ▼a 백중열,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5 2018z1 Accession No. 1118476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현대미술교육의 흐름을 미술교육 현장에서 전문적으로 연구해온 학자들이 다양한 시각에서 조망하고, 현대미술교육 관련 이론과 실천 방법을 다각도로 제안하는 책이다. 미술교육 전문가가 집필에 참여하여 최근 우리나라 미술교육 현장에서 중요한 담론으로 떠오르는 미술교육의 연구와 현장에서 쌓은 전문 지식과 경험을 담았다.

현대 사회에서 미술교육의 흐름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함께 하고 있다. 제4차 산업 혁명, 인공 지능, 포스트휴먼 등 새로운 변화의 물결은 우리의 삶에 급격하게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혁신으로 인해 우리는 인간에 대한 새로운 철학을 갖고 아울러 교육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미술교육 역시 단순한 기능 중심이 아니라 창의력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기르기 위해 그 방향과 방법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현대미술교육의 동향』은 현대미술교육의 흐름을 미술교육 현장에서 전문적으로 연구해온 학자들이 다양한 시각에서 조망하고 있다.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가 준비한 본서는 현대미술교육 관련 이론과 실천 방법을 다각도로 제안하고 있다. 미술교육 전문가가 집필에 참여하여 최근 우리나라 미술교육 현장에서 중요한 담론으로 떠오르는 미술교육의 연구와 현장에서 쌓은 전문 지식과 경험을 담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지은이)

류재만(서울교육대학교) 류지영(춘천교육대학교) 김정선(진주교육대학교) 황연주(청주교육대학교) 허정임(부산교육대학교) 김해경(경인교육대학교) 손지현(서울교육대학교) 박미진(서울압구정초등학교) 안금희(경인교육대학교) 김성숙(광주교육대학교) 강주희(목원대학교) 홍창호(한서대학교) 강도현(인천원당초등학교) 이주연(경인교육대학교) 이은적(대구교육대학교) 백중열(대구교육대학교)

안금희(지은이)

서울대학교 서양학과, 서울대학교 행동과정 미술교육 석사 미국 Ohio State University 대학원 박사 미술교육 전공 현)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백중열(지은이)

고려대 교육학석사, 단국대 미술학석사, 중앙대 교육학박사. 현재 예술의전당 미술영재 책임교수, 미술영재원 대표, 서울교대 교육대학원, 경인교대 교육대학원, 수원대 조형대학원, 서울교대 미술치료 교사연수, 방과후 미술치료 외래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영재미술과 아동미술치료><아동미술치료><유아미술교육론><아동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아동미술교육의 이해><영재미술교육>등이 있다.

이은적(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8대학 조형예술학과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문화교육학회 회장,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조형교육학회 편집위원장 등의 학회 활동을 해왔으며 2018년 한국의 미술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김정학술상을 수상했다.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 시각문화 미술교육,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핵심역량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교육, 미래사회의 미술교육, 미술이론과 문화이론 등을 연구하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공저로는 『재미있는 미술감상 수업』, 『우리 미술의 감상과 교육』, 『미술교육학』, 『미술과 교수법』 등이 있으며, 공번역으로 『인지중심미술교육론』, 『예술교육론- 미술교과의 재발견』 등이 있다. 2007 개정, 2011 개정, 2015 개정 미술 교과서와 지도서를 집필하였다.

류재만(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단국대학교에서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교사로 19년 10개월을 근무하면서 초등학교 현장 경험을 쌓았고 미술교육 관련 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그동안 초등 미술 국정교과서, 검인정 초등 미술 교과서, 중등 미술 교과서를 집필했다. 『미술교육학』, 『초등 미술과 교수법』, 『미술교육이론과 사상』, 『재미있는 미술 감상 수업』, 『명화로 도덕수업을 바꾸다』, 『선생님, 오늘 미술 뭐 해요?』, 『미술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장, 한국미술교육학회회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중앙교육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교수이고 국립민속박물관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류지영(지은이)

일본 국립 동경학예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요코하마 국립대학교 강사와 객원연구원,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교환교수와 일본 정부지원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다. 춘천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회장, 한국조형교육학회 부회장 등으로 교사교육과 함께 예술영재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연구재단 연구와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업 등 미술교육 관련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동해왔다. 미술교육, 미술감상교육, 수업 연구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저서로 『미술감상교육』, 『커뮤니케이션 미술감상』, 『미술감상』(2019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외 다수, 역서로 『박물관교육의 기본』, 『미술관교육』(공역), 『미술 수업설계 다시보기』, 다수의 학술논문이 있다. 2017년 미술교육 연구 분야의 업적과 학술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김정학술상을 수상했다.

홍창호(지은이)

한서대학교 예술학부 교수/미술학 박사 1961년 충북 태생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과 뉴욕 Pratt대학원 회화과를 졸업, 홍익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마치고 현재 한서대학교 예술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작가로도 활동하는 저자는 대학에서 미술감상법 강의와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2010~2011년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서 재직하며 강의를 진행하고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다. 브라운대학교 미술관과 미국 리퀴텍스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현대회화에 있어서 사진의 복제와 인덱스 특성에 관한 연구(박사논문)"가 있고 기타 학술지에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황연주(지은이)

대구교대 미술교육과 학사 경북대학교 미술교육전공 석사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미술교육 전공(철학박사) 현) 청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저서: 인지중심 미술교육론 탐구(교육과학사), 미술교육의 동향과 전망(학지사) 등

손지현(지은이)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와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미술관교육과 교수이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했으며, 미술관 교육, 감상교육,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논문과 저서를 집필하였다. 학교 연계 미술관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삶 속에서 예술을 가까이하고, 향유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김정선(지은이)

진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이주연(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허정임(지은이)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서 학사, 동대학 대학원에서 한국화전공 석사, 그리고 영남대학교 미학미술사학과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와 지도서를 집필하였고 국내 공동저서로 「미술과 교수법」, 「미술교육의 기초」, 국외 공동저서로 「Culturally Sensitive Art Education in a Global World」가 있다. 현장교육관련 연구는 <5, 6학년 교과연계 창의적 문화예술 통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초등미술교과서 공동교수학습자료 개발 연구>, <예술교육선도학교 운영의 효과 분석 연구>, <어린이 무형문화재 문화예술교실>, <부산문화재단 방과 후 문화예술교실 아인스(AINS-Arts in School)프로그램>, <교과활동 연계 문화예술교육 심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등이 있다. 현재 부산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이며 부산교대 예술교육연구소와 파이데이아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김해경(지은이)

박미진(지은이)

김성숙(지은이)

강주희(지은이)

강도현(지은이)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인사말 3

Chapter 1 미술교육에서의 능력 ┃류지영 9
1. ‘능력’에 대한 접근 11
2. ‘능력’과 교육 12
3.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능력 28
4. 능력 관점에서의 미술과 교육과정 39
5. 미술교육에서 능력 관점의 과제와 방향성 44
[참고문헌] 46

Chapter 2 시각문화교육의 실천적 이해 -시각문화교육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김정선 49
1. 시각문화교육은 실제 수업에서 어떠한 특징을 가져야 하는가 51
2. 시각문화교육의 교수-학습적 특성 54
3. 사례를 통한 시각문화교육의 이해 61
4. 시각문화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72
[참고문헌] 75

Chapter 3 미술교육에서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 ┃황연주 77
1. 영상 정보화 시대와 정보 전달의 시각화 현상 79
2.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의 대두 82
3. 비주얼 리터러시의 개념 86
4. 미술교육에 있어서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91
5.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의 과제 95
[참고문헌] 97

Chapter 4 체험으로서의 예술 중심 통합교육 ┃허정임 101
1. 예술적 체험을 통한 통합교육의 필요성 103
2. 예술 중심 통합교육과 용어해석 105
3. 체험으로서의 예술교육 114
4. 예술 중심 통합교육의 개선방향 123
[참고문헌] 126

Chapter 5 미술교육과 융합인재교육 ┃김해경 129
1. 융합인재교육의 접근과 필요성 131
2. 미술과 만난 과학, 기술, 공학, 수학 134
3. 융합인재교육의 유형 138
4. 융합인재교육적 관점에서 본 미술과 교육과정 140
5. 미술 중심 융합인재교육의 실제 145
6. 미술 중심 융합인재교육의 과제 152
[참고문헌] 155

Chapter 6 미술 감상을 위한 교수법 ┃손지현 157
1. 미술 감상에 대한 관점의 변화 159
2. 단계 중심 비평을 통한 감상 162
3. 탐구를 통한 감상 172
4. 미술 감상 교육의 시사점 183
[참고문헌] 186

Chapter 7 미술 감상 중심 융합인재교육 ┃류재만, 박미진 189
1. 미술 융합인재교육의 현황 191
2. 미술 감상 중심 융합인재교육의 필요성 193
3. 미술 감상 중심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199
4. 미술 감상 중심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211
[참고문헌] 215

Chapter 8 스토리텔링과 미술교육 ┃안금희 217
1. 스토리텔링과 미술교육 219
2. 미술교육에서 스토리텔링 221
3. 미술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의 확대 방안 229
4. 미술 수업 소재로서 이야기 사례 232
5. 미술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의의 237
[참고문헌] 239

Chapter 9 슈타이너학교의 회화교육 ┃김성숙 241
1. 무엇을 위한 미술교육인가? 243
2. 슈타이너의 인간 이해 245
3. 슈타이너학교의 회화교육을 위한 기초학습 250
4. 학년별 회화교육의 실제-포르멘과 색채학습 255
5. 인성교육을 위한 통합의 학(學) 271
[참고문헌] 274

Chapter 10 자연미술의 이해와 미술교육 ┃강주희 275
1. 자연미술의 의미 277
2. 자연미술 작가참여 프로젝트의 실제 282
3. 자연미술교육의 방향 292
[참고문헌] 294

Chapter 11 다문화 미술교육 ┃홍창호 295
1. 다문화 교육과 다문화 미술교육 297
2. 다문화 미술교육의 의의 299
3. 다문화 미술프로그램의 현황 300
4.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303
5. 다문화 미술프로그램의 개선방향 309
[참고문헌] 313

Chapter 12 미술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실천 ┃강도현, 이주연 315
1. 미술교육에서 인성교육 317
2. 국내외 미술교과 인성교육 관련 연구 318
3. 미술교과 인성 중심 성취기준 321
4. 미술교과에서 인성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수·학습 안 324
5. 종합해보기 331
[참고문헌] 334

Chapter 13 학교 미술교육과 연계하는 미술관 교육 ┃이은적 337
1. 교육과 문화의 만남 339
2. 미술관 교육의 개념과 우리나라의 현황 340
3. 학교미술교육과 미술관 교육 연계의 필요성 343
4. 프랑스의 미술관 교육 정책과 사례 349
5. 영국의 미술관 교육 정책과 사례 357
6. 우리나라 미술관 교육의 개선 방향 361
[참고문헌] 364

Chapter 14 부적응 아동의 심리와 그림특징 ┃백중열 367
1. 학교부적응 개념과 원인 370
2. 투사적 그림분석 372
3. 학교부적응 아동심리와 그림 373
4. 학교부적응 아동 그림 특징과 시사점 383
[참고문헌] 386
찾아보기 38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