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7652 | |
005 | 20210421170242 | |
007 | ta | |
008 | 210415s2021 ulka 000c kor | |
020 | ▼a 9791166494321 ▼g 936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781 ▼2 23 |
085 | ▼a 781 ▼2 DDCK | |
090 | ▼a 781 ▼b 2021 | |
100 | 1 | ▼a 옥윤철 |
245 | 1 0 | ▼a 음악 속의 과학, 과학 속의 음악 = ▼x Science in music, music in science : ▼b 음악 속에 숨어 있는 과학적 원리와 과학 속에서 파생된 음악적인 것들 / ▼d 옥윤철 지음 |
260 | ▼a 서울 : ▼b 좋은땅, ▼c 2021 | |
300 | ▼a 255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3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 2021 | Accession No. 1118474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가 사용하는 음계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풍금이 소리를 내는 원리는 무엇일까? 한 번쯤 궁금했지만 깊게 생각해 보지 않았던 음악 속 과학의 원리를 파헤친다. 얼핏 멀어 보이는 음악과 과학의 연관성을 알아보며, 음악에 대한 과학적 호기심과 과학에 대한 음악적 호기심 모두를 충족할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크게 2가지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음악적인 소리 영역인 1장에서 3장에는 우리가 접하는 소리와 그 소리 중에서 음악적인 소리와 비음악적인 소리를 구별하는 기준이 무엇인가, 음악적인 소리를 위해서 특별히 사용되는 음들을 구성하는 방법인 음률을 통해서 음계를 구성하는 방법 및 음악적으로 선택된 음들인 음계의 구성음들이 어떤 규칙으로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조성적 특징을 이야기한다. 둘째, 공학적인 음악 영역인 4장에서 6장에는 발성체에서 소리가 발생되는 원리와 그것이 적용된 음악을 위한 도구인 악기와 인간의 발성과 합창 등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이 책은 얼핏 멀어 보이는 음악과 과학의 연관성을 알아보며, 음악에 대한 과학적 호기심과 과학에 대한 음악적 호기심 모두를 충족할 수 있는 책이다.
과학적인 사고로 감성적인 음악을 파헤친다
우리가 사용하는 음계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풍금이 소리를 내는 원리는 무엇일까? 한 번쯤 궁금했지만 깊게 생각해 보지 않았던 음악 속 과학의 원리를 파헤친다.
음악과 과학은 얼핏 전혀 다른 분야로 느껴진다. 각각 감성과 이성으로 대표되는 두 분야 사이에는 큰 연관성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저자는 피타고라스와 프톨레마이오스 등 저명한 수학자들의 이론으로 음계를 설명하고 파동과 주파수 등 과학적인 접근 방식으로 악기와 발성의 원리를 설명하는 등 우리에게 익숙한 음악에 숨어 있는 과학의 논리를 설명한다. 또한 과학적 논리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발성 연습 방법과 합창 교육 방법 등을 담아 실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저자는 관점의 전환을 통해 그동안 보지 못했던 대상의 새로운 면을 볼 수 있게 된다고 말한다.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시선으로 음악을 바라보며 음악과 과학에 대한 새로운 재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옥윤철(지은이)
경북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하였으며, LG텔레콤(LG U+)과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이동통신의 다중 접속 방식과 음성 오디오 부호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습니다. 현재는 특허청에서 음성 부호화, 증강현실 분야의 특허 심사를 하는 심사관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2권의 전문 기술 서적인 《CDMA》(2002), 《휴대폰, 알고 보면 우습다》(2004)를 출판하였습니다. 음악 경력으로는 서울 코랄 합창단원, 서울 남부교회(현 광명 하늘빛 교회) 성가대 지휘자를 역임했으며 현재 대구 성동교회 한나 성가대 지휘자로 섬기고 있습니다. 음악 관련 저작물로는 공군사관 후보생 87기의 노래 작곡 및 찬송가와 복음성가 20여 편을 편곡하였습니다. http://blog.daum.net/ycock

Table of Contents
머리말 1. 소리와 음악 1) 소리의 모양 2)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 가청음이지만 사람이 듣지 못하는 소리 3) 음악적인 소리 음악적으로 정제된 소리 음악을 위한 음, 음악의 음 2. 음률과 음계 1) 음률(Temperament, 音律) 피타고라스의 순정률 프톨레마이오스의 순정률 평균율 센트 자연계적 음계 2) 음과 음정(Interval, 音程) 음정의 이름 3) 배음(Harmonic overtone) 배음렬과 음정 4) 조성을 나타내는 음계 음계와 선법 대표적인 조성인 장음계와 단음계 3. 조성(Tonality, 調性) 1) 악곡에서 조 움직이는 으뜸음에 따른 조표의 출현 올림 장음계 내림 장음계 2) 조들 간의 관계 조바꿈(Modulation) 조옮김(Transposition) 선율옮김 혹은 선법옮김 3) 화성적 조성 4) 화음(Chord) 음색의 또 다른 이름 화음 화음 영역 3화음 여러 개의 3화음이 합쳐진 화음들 화음의 기본형과 변형 5) 화성(Harmony) 3화음의 4성 배치 규칙 화음의 진행 4. 파동과 정상파 1) 파동(Wave, 波動)과 횡파 2) 음파인 종파 3) 정상파(Stationary wave, 定常波) 현악기에 나타나는 횡파의 정상파 관악기에 나타나는 종파의 정상파 타악기에 나타나는 2차원 평면파에서 정상파 5. 악기에서 공명하는 정상파 1) 현악기 바이올린족 악기 또 다른 현악기인 기타(Guitar) 2) 관악기 여기음의 생성 방법 음정 조절을 위한 방법 원뿔형 구조 마우스피스와 벨 효과와 페달음 오르간, 풍금(風琴)관 이조악기인 관악기 3) 타악기 북과 팀파니 실로폰과 글로켄슈필 6. 공학적인 음악 1) 공명된 목소리 발성의 음향적 모델(¼ 반폐쇄관 공명기) 헬름홀츠 공명기 음형대(Formant) 음형대 동조(Formant Tuning) 성악가 음형대(SFC: Singer’s Formant Cluster) 동조 2) 합창 발성 블렌딩 성부 간의 음량의 균형(Balance) 합창 발성 합창 화성 3) 이원시창법 음정 연습을 위한 계명창 임시표에 의한 음정 박자 연습 4) 보코더와 입체음향 기술 발성의 원리를 이용한 보코더 오디오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