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7366 | |
005 | 20210415134620 | |
007 | ta | |
008 | 210414s2021 ggk 000c kor | |
020 | ▼a 9791166033896 ▼g 9336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46.519 ▼2 23 |
085 | ▼a 346.53 ▼2 DDCK | |
090 | ▼a 346.53 ▼b 2021z6 | |
100 | 1 | ▼a 윤일구 |
245 | 1 0 | ▼a 민법제요 / ▼d 윤일구 지음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21 | |
300 | ▼a 360 p. ; ▼c 26 cm | |
490 | 1 0 | ▼a 리걸플러스 ; ▼v 154 |
830 | 0 | ▼a 리걸플러스 ; ▼v 154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6.53 2021z6 | Accession No. 1118473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민법에 대한 요약서로, 민법을 처음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길잡이가 되어줄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 민법학자들에게 필요한 학설에 관한 설명은 대부분 요약.정리하였으며, 민법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민법의 체계를 세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서는 민법에 대한 요약서라고 할 수 있다. 서명을 정할 때, 우리 민법에서도 그 영향을 찾을 수 있는 로마법의 한 부분인 「법학제요」(Institutiones)에서 영감을 얻었다. 법학제요는 동로마 황제 Justinianus가 법학을 처음 공부하는 법학도를 위해 편찬하였던 것으로, 저자는 본서가 민법을 처음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부족하지만 어느 정도의 길잡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 따라서 주로 민법학자들에게 필요한 학설에 관한 설명은 대부분 요약정리하였으며, 민법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민법의 체계를 세울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민법총칙 제1절 총설 제2절 법률관계 제3절 권리의 주체 제4절 권리의 객체 제5절 권리의 변동 제6절 기간 제7절 소멸시효 제2장 물권법 제1절 총설 제2절 물권의 변동 제3절 부동산 등기 제4절 부동산 물권의 변동 제5절 동산 물권의 변동 제6절 점유권 제7절 소유권 제8절 전세권 제9절 저당권 제3장 채권법 제1절 총설 제2절 채권의 목적 제3절 채무불이행 제4절 손해배상 제5절 책임재산의 보전 제6절 다수당사자의 채권관계 제7절 채권양도와 채무인수 제8절 채권의 소멸 제9절 계약일반 제10절 매매계약 제11절 소비대차계약 제12절 임대차계약 제13절 도급계약 제14절 위임계약 제15절 조합계약 제16절 사무관리 제17절 부당이득 제18절 불법행위 제4장 친족법 제1절 친족 제2절 혼인 제3절 친자관계 제4절 후견 제5절 부양 제5장 상속법 제1절 상속 제2절 유언 제3절 유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