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평생교육론 = 1개정판

평생교육론 = 1개정판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윤여각, 저 신민선, 저 오혁진, 저 정민승, 저 조순옥, 저 홍은진, 저
Title Statement
평생교육론 =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 윤여각 [외]공저
판사항
1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KNOU Press,   2021  
Physical Medium
xi, 267 p. : 삽화 ; 25 cm
ISBN
9788920038099
General Note
공저자: 신민선, 오혁진, 정민승, 조순옥, 홍은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55-263)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7034
005 20210412133057
007 ta
008 210409s2021 ulka b AZ 001c kor
020 ▼a 9788920038099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4 ▼2 23
085 ▼a 374 ▼2 DDCK
090 ▼a 374 ▼b 2021z5
245 0 0 ▼a 평생교육론 = ▼x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 ▼d 윤여각 [외]공저
250 ▼a 1개정판
260 ▼a 서울 : ▼b KNOU Press, ▼c 2021
300 ▼a xi, 267 p. : ▼b 삽화 ; ▼c 25 cm
500 ▼a 공저자: 신민선, 오혁진, 정민승, 조순옥, 홍은진
504 ▼a 참고문헌(p. 255-263)과 색인수록
700 1 ▼a 윤여각, ▼e
700 1 ▼a 신민선, ▼e
700 1 ▼a 오혁진, ▼e
700 1 ▼a 정민승, ▼e
700 1 ▼a 조순옥, ▼e
700 1 ▼a 홍은진, ▼e
770 0 ▼t 평생교육론 : 워크북 ▼w 000046077136 ▼z 9788920038471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21z5 Accession No. 1118468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평생교육’이라는 용어는 교육이 학교와 학령기라는 물리적 공간과 시간 안에 갇혀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등장하였다. 학령기에 학교에서 진행되는 교육을 문제 삼고 있기는 하지만, 평생교육이라는 용어는 기존의 교육에 대한 인식의 틀 또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청하고 있다. 실제로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겨냥하고 있는 다양한 논의들이 등장하고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들 중 일부가 ‘평생교육론’으로 범주화되었으며, 평생교육론은 그 외연을 계속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 교재의 학습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그 개념이 제기하는 문제의식에 비추어 현재의 교육현상을 조망할 수 있다. 둘째, 현재 그리고 앞으로 평생교육론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지역과 마을에서의 다양한 평생교육 실천에 대한 논의들을 이해하고, 미래 평생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할 수 있다. 셋째, 평생교육 관점에서 실천적 연구를 진행하고 평생교육에 대한 시각을 가질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정민승(지은이)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및 박사 한국여성평생교육회 회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장 역임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평생교육학회장

오혁진(지은이)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및 박사학위 취득 전) 가나안농군학교 교관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현) 동의대학교 평생교육·청소년상담학과 교수

윤여각(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박사(교육인류학) 전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이사장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신민선(지은이)

서울여자대학교 농촌과학과(농학사, 농학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전공(교육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박사) 광명시평생학습원장, (사)한국평생교육사협회장 역임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조순옥(지은이)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 중앙대학교 교육학 박사(평생교육 전공) · (전)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선임전문원 · (전) UNESCO Institute for Lifelong Learning Programme Specialist

홍은진(지은이)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문헌정보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교육학석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도시학과(행정학박사) 한신대학교, 대구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강, 평생교육발전연구소 대표 역임 현재: 의성미래교육지원센터 사무국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장 평생교육 개념의 등장과 확산
1. 평생교육 개념 등장의 시대적 배경
2. 평생교육 개념의 초기 구상
3.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담론
4. 주요 국가의 평생교육 담론 동향

제2장 사회교육/평생교육/평생학습
1. 한국에서 평생교육 개념의 혼란 현황
2. 사회교육·평생교육· 평생학습 개념의 변천과 재고찰
3. 세 개념의 정립과 학문적 지향성

제3장 교육과 학습의 선순환
1. 전통적 교육학의 개념 정의와 문제점
2. 교육에 대한 평생교육론의 새로운 정의
3. 교육적 선순환의 조건

제4장 평생교육 법과 제도의 기반 구축과정
1. 한국의 평생교육적 선(先) 사유
2. 한국의 평생교육적 실천
3. 한국 평생교육 법제화의 초기 구상
4. 한국의 평생교육 법제화 당시 쟁점

제5장 「평생교육법」 제정 이후 제도 변화
1. 「평생교육법」의 주요 개정내용
2. 「평생교육법」의 구조
3. 「평생교육법」에 따른 정책사업
4. 「평생교육법」의 집행에서 부각된 쟁점

제6장 평생교육사/지역교육활동가
1.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도입의 초기 구상
2. 평생교육사 자격제도의 개요
3. 지역교육활동가의 등장배경과 역할
4.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운용과정에서 나타난 쟁점

제7장 학습도시
1. 학습사회론의 등장과 전개
2. 오이시디 학습도시 사업의 구상과 전개
3. 우리나라 학습도시 사업의 구상과 전개
4. 유네스코 학습도시 사업의 구상과 전개

제8장 마을평생교육
1. 마을평생교육 개념의 등장 맥락
2. 마을평생교육을 통한 마을의 재구조화
3. 마을평생교육 관련 정책사업과 접속 지점
4. 마을평생교육 실천의 쟁점

제9장 마을과 학교의 연계
1. 마을에서 학교의 위상
2. 학교와 마을의 관계맺음
3.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접속
4. 마을교육공동체 담론

제10장 학습상담/평생교육기관 컨설팅
1. 평생교육에서 상담의 맥락
2. 평생교육에서 컨설팅의 맥락
3. 평생교육에서 상담 및 컨설팅의 중요성
4. 평생교육상담 및 컨설팅에서 요구되는 전문성

제11장 지속가능발전과 평생교육
1.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
2. 평생교육 흐름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위상
3. 평생교육학적 차원에서의 지속가능발전
4. 사회의 미래태와 평생교육의 시급성

제12장 평생교육 실천연구
1. 평생교육현장을 드나드는 연구
2. 평생교육연구와 개선적 실천
3. 교육생애의 기록과 연구
4. 평생교육 정책 수행과정에 대한 연구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미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