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6887 | |
005 | 20210414102938 | |
007 | ta | |
008 | 210409s2021 ulkd b 001c kor | |
020 | ▼a 9791191503012 ▼g 9335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1.0285 ▼2 23 |
085 | ▼a 351.0285 ▼2 DDCK | |
090 | ▼a 351.0285 ▼b 2021z1 | |
100 | 1 | ▼a 김구 |
245 | 1 0 | ▼a 전자정부 이론과 연구방향 = ▼x Theory and research direction of e-government / ▼d 김구 |
260 | ▼a 서울 : ▼b 윤성사, ▼c 2021 | |
300 | ▼a 219 p. : ▼b 도표 ; ▼c 25 cm | |
500 | ▼a 부록: 1. 2020년 UN 전자정부 평가, 2. 2020년 UN 전자정부 평가 설문지 | |
504 | ▼a 참고문헌(p. 203-216)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2020년도 강릉원주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0285 2021z1 | 등록번호 1118469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자정부 연구를 위한 토대와 방향을 제시한다. 전자정부 연구를 어떤 이론 및 모형에서 출발할 것이며, 어떤 방향으로 연구계획을 수립해야 하느지에 대한 물음에 대답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론을 정리하고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머리말]
2020년 사상 초유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하여 전 세계는 팬데믹 상태를 경험하고 있다. 그동안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혁신기술로 ‘디지털 전환을 넘어 문명적 전환’이라는 화두가 생길 정도로 인간사회의 생활 패턴을 모조리 바꿔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고, 아울러 경제구조 및 고용구조가 바뀌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새로운 생활의 틀과 공동체의 구조를 어떻게 짜야할지 고민이 깊어가는 불확실성의 시대에 살고 있다. 또한 예상하지 못한 ‘코로나19’로 인하여 일상생활은 불확실성의 연속이며 대면 관계에 익숙해져 있던 것에서 비대면?언택트라는 새로운 낯선 관계를 맞이하게 되었고 사상 처음으로 밀접.밀폐.밀집 ‘3밀’이라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경험하고 있다.
그동안 정보화 및 전자정부에서는 온라인 공간에서 비대면 관계와 활성화를 바탕으로 행정서비스의 전자화 및 자동화에 주목하면서 시민들의 참여와 이용에 관심을 두었다. 정보화 및 전자정부 연구자와 정부는 전자정부 이용 확산을 위하여 꾸준히 연구와 정책개발 및 확산에 주력해왔으나, 이용자인 일반시민은 전자정부를 행정서비스 제공 방식 중의 하나로만 여기는 경향이 있었고 전자정부에 대한 관심이 그다지 크지 않았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생활환경의 변화는 정보화 및 전자정부의 필요성을 실감하게 되었다. 직장인은 원격 재택근무를, 학교는 원격수업이 새로운 일상의 모습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행정서비스는 ICT 및 전자정부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갑작스런 상황 변화에도 불구하고 온택트(온라인과 접촉의 결합)로의 이동은 그동안 정보화 및 전자정부 인프라 구축과 ICT 기기의 이용 보급 및 활용으로 인한 자연스런 수용이라고 할 수 있다. 감염증과 같은 재난상황이 아니더라도 최근 지능정보기술과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디지털 시민의 니즈에 부응하기 위하여 전자정부는 지속가능하여야 하고, 진화되어야 하며, 보다 친숙하고 편리한 플랫폼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화 및 전자정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정부는 연구자의 성과물을 바탕으로 정책의 실제적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정책과정에 많은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이 책은 전자정부 연구를 위한 토대와 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집필하였다. 전자정부 연구자에게 또는 학습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전자정부 연구를 어떤 이론 및 모형에서 출발할 것이며, 어떤 방향으로 연구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인지에 관한 것이다. 이 책은 이런 물음에 대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자정부 이론을 정리하고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전자정부를 추진하는 정부의 모든 공공기관 종사자와 이해관계자는 전자정부의 발전된 성과를 기대하고 있고 체감하고 싶어 한다. 전자정부 연구자와 실무자는 그동안 노력한 결과가 어떤 성과를 가져왔는지, 보다 더 발전되고 고도화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어느 정도 준비하고 동원해야 하는지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관심을 연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좋은 이론과 모형이 존재하여야 한다. 전자정부 이론 및 모형은 선행연구의 결과물이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신의 연구목적과 연구내용에 적합한 이론과 모형을 찾게 되는데, 이 책은 전자정부 연구자 및 학습자에게 이론 목록과 내용적 특징을 소개함으로써 연구수행의 길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2021년 3월
저자 씀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구(지은이)
조선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를 취득하고 한국연구재 단이 선정·지원하는 학술연구교수를 거쳐 국립 강릉원주 대학교 자치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가직 및 지방직의 9급, 7급, 5급 시험위원(필기시험, 선정위원, 면접 위원)과 국회입법고시 시험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사회과학 계량분석의 이해와 활용」(2010) 「조직혁신의 이해」(2011) 「공무원 행정학 정리」(2012) 「한국사회와 공동체(공저)」(2008) 「스마트사회와 공동체」(2016) 「열린정부의 이해와 실제」(2018) 「인간과 공공사회」(2019) 「전자정부론」(2020) 「사회과학 연구조사방법론(제3판)」(2020) 「전자정부 이론과 연구방향」(2021) 「SPSS 활용 공공시계열 데이터분석」(2022) 「jamovi 활용 사회과학 데이터분석」(2022)

목차
제1장 연구와 이론의 본질 9 1. 이론의 의의 9 2. 전자정부에서 이론의 의미 16 제2장 전자정부 이론 19 1. 전자정부 이론 개요 19 2. 구조화 이론 22 3. 행위자 연결망 이론 29 4. 이해관계자 이론 35 5. 제도이론 48 6. 상황이론 51 7. 사회인지이론 55 8. 사회-기술의 시스템 이론 57 9. 기대일치이론 61 10. 기대불일치이론 63 11. 서비스품질모형 65 12. 이용자 만족모형 68 13. 혁신확산이론 70 14. 합리적 행동이론 73 15. 기술수용모형 74 16. 계획행동이론 77 17. 세분화된 계획행동이론 82 18. 통합행동모형 84 19. 정보시스템 성공모형 87 20. 기술수용과 이용의 통합이론 89 21. 통합적 전자정부 채택 모형 93 22. 전자정부 채택의 순환 모형 95 23. 리스크 지각이론 97 24. COBRA 모형 99 25. 조정이론 105 26. 문지기이론 105 27. 점증주의 108 28. 동기이론 109 29. 근거이론 112 30. 실행연구 114 31. 전망이론 116 32. 기타 여러 관점 118 제3장 전자정부 연구방향 135 1. 전자정부와 공공가치 135 2. 미래 전자정부 연구 틀 146 3. 전자정부 연구의 이슈와 연구동향 147 4. 전자정부 연구 방향을 위한 메가트랜드 157 5. 미래 전자정부 모형 : 디지털 정부 162 6. 디지털 뉴딜 평가 연구 186 부록 1. 2020년 UN 전자정부 평가 189 부록 2. 2020년 UN 전자정부 평가 설문지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