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과정 연구 : 이론과 실제의 대립과 메타프락시스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채형
Title Statement
교육과정 연구 : 이론과 실제의 대립과 메타프락시스 / 박채형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21  
Physical Medium
xxxvi, 331 p. ; 27 cm
ISBN
978899972313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15-32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6742
005 20210409153903
007 ta
008 210409s2021 ulk b 001c kor
020 ▼a 9788999723131 ▼g 93370
035 ▼a (KERIS)BIB000015810882
040 ▼a 211021 ▼c 211021 ▼d 211009
082 0 4 ▼a 375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21z5
100 1 ▼a 박채형
245 1 0 ▼a 교육과정 연구 : ▼b 이론과 실제의 대립과 메타프락시스 / ▼d 박채형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1
300 ▼a xxxvi, 331 p. ; ▼c 27 cm
504 ▼a 참고문헌(p. 315-326)과 색인수록
900 1 0 ▼a Park, Chae-hyeong,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21z5 Accession No. 1118468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채형(지은이)

부산교육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 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못다 쓴 단상을 모아서

제1부 교육과정 연구의 성격과 대립의 서막

제1장 교육과정의 학문적 성격
1. 교육과정의 개념
2. 교육과정 연구의 성격
3. 교육과정 연구의 판도
4. 미리 보는 진단과 처방

제2장 교육과정의 선구적 논의
1. 예일 보고서
2. 10인 위원회의 보고서
3. 스펜서의 마치는 간주곡
4. 교과와 교과의 반목
5. 오래된 오류의 부상

제2부 실제적 접근의 독주와 마음의 비운

제3장 보비트: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
1. 테일러와 과학적 경영의 원리
2.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의 논리
3.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의 명암
4. 오래된 오류의 진화

제4장 타일러: 종합적 교육과정 모형
1. 종합적 교육과정 모형의 표면
2. 종합적 교육과정 모형의 이면
3. 종합적 교육과정 모형의 난점
4. 오래된 오류의 절정

제5장 슈왑과 워커: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제적 논의
1.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방향
2.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제적 연구
3. 자연주의 모형과 마음의 운동
4. 오래된 오류의 탈출과 한계

제6장 아이즈너: 교육과정의 개발과 예술적 논의
1. 교육목표의 대안적 갈래
2.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의 구도
3. 영 교육과정과 마음의 운동
4. 오래된 오류의 탈출과 한계의 종점

제3부 이론적 접근의 출현과 실재의 비운

제7장 브루너: 지식의 구조와 인식론적 논의
1. 지식의 구조와 중간 언어
2. 지식의 구조와 나선형 교육과정
3. 지식의 구조와 발견학습
4. 새로운 한계의 출현

제8장 피터즈와 허스트: 지식의 형식과 윤리학적 논의
1. 정당화의 성격과 발단
2. 외재적 정당화와 내재적 정당화
3. 지식의 형식과 선험적 정당화 논의
4. 새로운 한계의 정점

제9장 영과 애플: 교육과정 사회학
1. 지식과 교육
2. 지식과 마음과 교육
3. 교육과정 사회학의 구도
4. 오래된 오류의 전이

제10장 잭슨: 잠재적 교육과정
1. 개인적 맥락의 잠재적 교육과정
2. 사회적 맥락의 잠재적 교육과정
3. 잠재적 교육과정과 교사의 과업
4. 오래된 오류의 재연

제4부 이론과 실제의 대립과 교육과정의 학문적 과제

제11장 파이너: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
1.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성격
2.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노선
3.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확장
4. 넘지 못한 한계

제12장 교육과정 연구와 메타프락시스
1. 메타프락시스의 논리
2. 메타프락시스와 중층구조
3. 메타프락시스와 교육이론
4. 메타프락시스와 교육과정 연구
5. 교육과정 연구의 미래

공부할 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