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6172 | |
005 | 20210407133505 | |
007 | ta | |
008 | 210405s2006 ulkd b 001c kor | |
020 | ▼a 8956541094 ▼g 93690 | |
035 | ▼a (KERIS)BIB000010360043 | |
040 | ▼a KYOBO ▼c KYOBO ▼d HYUA ▼d 24105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2/.044 ▼2 23 |
085 | ▼a 612.044 ▼2 DDCK | |
090 | ▼a 612.044 ▼b 2006f4 | |
245 | 2 0 | ▼a (건강관련 연구를 위한) 신체활동 측정평가 / ▼d Gregory J. Welk 편저 ; ▼e 이경옥 [외]공역 |
246 | 1 9 | ▼a Physical activity assessments for health-related research |
260 | ▼a [서울] : ▼b 대한미디어, ▼c 2006 | |
300 | ▼a xi, 455 p. : ▼b 도표 ; ▼c 29 cm | |
500 | ▼a 부록: A. 신체활동과 건강에 관한 공중위생국 보고서에 실린 주요 결론, B. 건강한 사람들 2010 목표 - 핵심영역 22 : 신체활동과 체력(Fitness), C. 신체활동과 건강에 관한 공중위생국 보고서에 명시된 연구 권고사항 | |
500 | ▼a 공역자: 임호남, 전혜자, 진행미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Exercise ▼x Measurement |
650 | 0 | ▼a Exercise ▼x Health aspects ▼x Research ▼x Methodology |
700 | 1 | ▼a Welk, Greg, ▼e 편 |
700 | 1 | ▼a 이경옥, ▼e 역 |
700 | 1 | ▼a 임호남, ▼e 역 |
700 | 1 | ▼a 전혜자, ▼e 역 |
700 | 1 | ▼a 진행미, ▼e 역 |
900 | 1 0 | ▼a 웰크, 그레고리,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2.044 2006f4 | 등록번호 11184668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건강 관련 연구를 위한 신체활동 측정평가』는 신체활동에 관한 자료의 수집, 채점, 해석 등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과 이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인 원리에서부터 보다 구체적인 응용과 개념을 소개한다. 그래서 이 책은 운동과학(exercise science)과 신체활동역학 (physical activity epidemiology)분야에서의 신체활동 측정평가 기법을 자신의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어, 신체활동역학 대학원 과정이나 신체활동 측정평가(physical activity assessment)에 관한과목에도 적절하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제1부 신체활동 측정평가의 개론과 개요 신체활동연구 개론 1 신체활동 측정평가 방법과 연구의 난제 제2부 신체활동 측정평가의 측정 및 분석상의 문제 2 신체활동 측정평가의 측정상의 문제 3 신체활동 연구의 구인 타당도 4 신체활동 자료: 이상한 분포는 이상한 답을 이끌어낸다 5 신체활동 질문지의 동등화와 연결 6 신체활동 연구에서의 표본 크기와 검증력 고찰 제3부 신체활동 측정평가 기법 7 자기보고식 도구 8 가속도계 측정법을 기초로 하는 활동 모니터 9 심박률 모니터 10 만보계 11 직접 관찰법 12 이중표지물과 간접 열량 측정법 제4부 신체활동 측정평가를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 13 신체활동 측정평가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 적용 14 인구집단을 기초로 하는 개입에서의 신체활동 측정평가에 관한 문제: 접근법 15 신체활동 연구의 환경 및 정책 측정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