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과정행정 : 이론과 실제

교육과정행정 : 이론과 실제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창언
Title Statement
교육과정행정 : 이론과 실제 = Curriculum administration / 박창언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동문사,   2021  
Physical Medium
397 p. ; 26 cm
ISBN
979116328279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79-388)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6139
005 20210406113305
007 ta
008 210405s2021 ulk b 001c kor
020 ▼a 9791163282792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5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21z3
100 1 ▼a 박창언
245 1 0 ▼a 교육과정행정 : ▼b 이론과 실제 = ▼x Curriculum administration / ▼d 박창언 저
260 ▼a 서울 : ▼b 동문사, ▼c 2021
300 ▼a 397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379-388)과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8S1A6A4A01036268)
900 1 0 ▼a Park, Chang-un,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21z3 Accession No. 1118466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국가와 지역에서의 교육과정 기준과 내용을 정하는 것과 단위학교가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편성하고 운영하는 것은 국가적 통제와 단위학교 자율 간의 긴장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긴장 관계를 조화로운 관계로 이끌어 나가는 것이 교육과정행정의 임무가 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이 글은 정책결정에서부터 집행, 그리고 평가와 시정조치에 이르는 교육과정행정의 제반 과정에 입각해 엮어나간 것이다.

교육과정행정을 이해하는 방법은 일반행정과 달리 교육의 기본성격(본질)을 고려할 때 그 특성이 가잘 잘 파악될 수 있다. 교육의 기본성격이 인간의 성장에 유의미한 장을 마련하는 것에 있다면, 교육과정행정은 인간의 성장을 위해 지도·조언하고 지원하는 사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된다고 생각한다.
국가와 지역에서의 교육과정 기준과 내용을 정하는 것과 단위학교가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편성하고 운영하는 것은 국가적 통제와 단위학교 자율 간의 긴장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긴장 관계를 조화로운 관계로 이끌어 나가는 것이 교육과정행정의 임무가 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이 글은 정책결정에서부터 집행, 그리고 평가와 시정조치에 이르는 교육과정행정의 제반 과정에 입각해 엮어나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창언(지은이)

현)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부 교과서 자유발행제 추진위원회 위원장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 국정과제평가 전문위원 교육부 교육과정심의회 심의위원 교육부 일반재정평가 전문위원 교육부 인공지능교육정책자문단 교육부 남녀평등교육심의회 심의위원 교육부 한국형 무크(K-MOOC) 기획위원회 위원 교육과학기술부 자체평가위원 외 [주요 저서] ● 교육과정과 교육법(학지사, 2019) ● 진로교육학개론(공저, 교육과학사, 2019) ● 현대교육과정학(학지사, 2017) ● 교육과정실행연구(공역, 교육과학사, 2015) ● 통합연구방법의 기초(공역, 아카데미프레스, 2015) ● 교육과 교육학(공저, 학지사, 2015) ● 교육과정: 이론과 실천(교육과학사, 2012) 외 [학위/수상] ●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및 교육학 박사 ● 프랑스 프랑쉬-콩테 대학교 사회학, 인류학, 인구학 분야 박사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한국학술진흥재단 Post-Doc. 이수 ● 한국연구재단 2016년도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우수평가자 인증(2017년) ● 부총리겸 교육부장관 표창(2014년, 2016년, 2020년) ● 부산대학교 Premier 교수(2012년) 외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PART 01 교육과정행정의 이해
Chapter 01 교육과정행정의 발전
01 교육과정행정의 의의
02 한국의 교육과정행정의 발전
03 현대 교육과정행정의 특징

Chapter 02 교육과정행정의 의의
01 교육과정행정의 여러 의미
02 교육과정행정의 용어 규정에서 고려사항
03 현대 교육과정행정의 정의
04 교육과정행정의 과정

CHAPTER 03 교육과정행정 이론의 발달
01 교육과정행정 이론의 발달
02 교육과정행정의 정치성
03 교육과정행정의 경영(관리)성
04 교육과정행정과 경영(관리)의 차이
05 교육과정행정의 지도원리

PART 02 교육과정정책의 결정
CHAPTER 04 교육과정행정의 목표
01 의의와 기능
02 교육과정행정 목표의 형성과 방향
03 교육과정행정 목표의 유형
04 교육과정행정 목표의 변동

CHAPTER 05 정책결정
01 정책과 정책과정
02 참여자
03 결정과정
04 공익: 규범적 기준

CHAPTER 06 기 획
01 의의
02 유형
03 기획의 수립과 제약요인

PART 03 역할분담과 자원의 동원
CHAPTER 07 교육과정행정 조직의 의의
01 조직의 정의와 관점
02 관료제
03 공식조직과 비공식 집단
04 조직문화

CHAPTER 08 분업체제
01 조직형성의 원리
02 집권과 분권
03 계선기관과 막료기관
04 위원회 제도

CHAPTER 09 인적 자원의 충원과 배분
01 인사행정의 관점
02 인사담당기관과 공직의 분류
03 채용과 능력발전
04 공직윤리

CHAPTER 10 재원의 동원과 배분
01 의의
02 교육재정의 확보와 배분
03 예산담당기관과 예산의 종류
04 예산의 과정
05 교육과정 재정의 고려사항

PART 04 교육과정 운영의 지도ㆍ조언
CHAPTER 11 조직의 동태적 측면
01 의사전달
02 지도성
03 동기 부여

CHAPTER 12 교육과정 개발과 지원행정
01 의의
02 교육과정 개발의 구조와 절차
03 교육과정 개발 행정의 합리화 방안
04 교육과정 운영과 지원행정

CHAPTER 13 교육과정 장학행정
01 의의
02 장학이론의 발달과 교육과정
03 교육과정 컨설팅 장학의 영역과 절차
04 교육과정 컨설팅 장학의 기법

CHAPTER 14 교과서의 개발과 사용
01 의의
02 교과서 제도와 종류
03 교과서 개발에서 사용까지의 과정
04 교과서 질 관리와 환류 체계

CHAPTER 15 교육과정 교원연수
01 의의
02 교육과정 연수의 자주성과 특수성
03 교육과정 연수의 효율화 방안

PART 05 평가와 조정
CHAPTER 16 교육과정행정의 통제와 책임
01 의의
02 통제의 기준과 실적 비교
03 통제방법

CHAPTER 17 교육과정행정의 개혁
01 의의
02 교육과정행정 개혁의 접근방법
03 교육과정행정 개혁의 과정과 저항

CHAPTER 18 교육과정행정의 발전과 거버넌스
01 교육과정행정의 흐름
02 교육과정의 통제와 자율
03 교육과정 거버넌스와 한국의 교육과정행정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