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과 교육법

교육과정과 교육법 (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창언, 1966-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과 교육법 = Curriculum & education law / 박창언 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9  
형태사항
486 p. ; 24 cm
ISBN
9788999715518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6138
005 20210406112807
007 ta
008 210405s2019 ulk 001c kor
020 ▼a 9788999715518 ▼g 93370
035 ▼a (KERIS)BIB000015099602
040 ▼a 221016 ▼c 221016 ▼d 211009
082 0 4 ▼a 375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19z4
100 1 ▼a 박창언, ▼d 1966-
245 1 0 ▼a 교육과정과 교육법 = ▼x Curriculum & education law / ▼d 박창언 저
246 3 1 ▼a Curriculum and education law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9
300 ▼a 486 p. ; ▼c 24 cm
500 ▼a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6S1A6A4A01019986)
900 1 0 ▼a Park, Chang-un,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19z4 등록번호 11184664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23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창언(지은이)

현)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부 교과서 자유발행제 추진위원회 위원장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 국정과제평가 전문위원 교육부 교육과정심의회 심의위원 교육부 일반재정평가 전문위원 교육부 인공지능교육정책자문단 교육부 남녀평등교육심의회 심의위원 교육부 한국형 무크(K-MOOC) 기획위원회 위원 교육과학기술부 자체평가위원 외 [주요 저서] ● 교육과정과 교육법(학지사, 2019) ● 진로교육학개론(공저, 교육과학사, 2019) ● 현대교육과정학(학지사, 2017) ● 교육과정실행연구(공역, 교육과학사, 2015) ● 통합연구방법의 기초(공역, 아카데미프레스, 2015) ● 교육과 교육학(공저, 학지사, 2015) ● 교육과정: 이론과 실천(교육과학사, 2012) 외 [학위/수상] ●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및 교육학 박사 ● 프랑스 프랑쉬-콩테 대학교 사회학, 인류학, 인구학 분야 박사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한국학술진흥재단 Post-Doc. 이수 ● 한국연구재단 2016년도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우수평가자 인증(2017년) ● 부총리겸 교육부장관 표창(2014년, 2016년, 2020년) ● 부산대학교 Premier 교수(2012년) 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 머리말

제1부 교육과정과 법의 이해

제1장 교육과정의 법적 대상화
1. 교육과정과 법의 관계
2. 교육법학과 교육과정
3. 교육과정 관련 법의 연구 범위와 방법

제2장 교육과정의 법적 체계와 규율 원리
1. 법의 분류와 해석에서 고려 사항
2. 교육과정 관련 법 체계
3. 교육과정에 대한 법의 규율 원리

제3장 교육과정과 판례
1. 입법, 사법, 행정의 관계
2. 사법의 체계와 그 역할
3. 판례의 역할과 교육과정 관련 재판

제2부 교육과정의 기본 사항과 교육법

제4장 교육과정의 의미와 법적 대상화
1. 교육과정의 의미와 법적 측면의 사용
2. 공교육과 교육에 대한 권리
3. 교육과정 결정 과정과 기구

제5장 교육목적상 법적 규정의 타당성
1. 교육목적 체제의 개관
2. 법률상 교육목적의 근거와 내용
3.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목적 구조와 내용

제6장 교육과정의 법적 문제와 쟁점
1. 의의
2. 교육과정의 법적 성격과 구속력
3. 교육과정의 기준과 지도·조언 행정
4. 교육과정 편성권의 주체

제7장 교과서의 법적 문제와 쟁점
1. 교과서의 법적 규정
2. 국정교과서와 교육의 자주성 문제
3. 교과서 검정 기준의 문제
4. 인정교과서 정의의 문제
5. 자유발행 교과서제도의 도입 법안과 정부정책

제3부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법

제8장 교육과정 운영과 그 법제
1. 의의
2. 민주적 교육과정 운영 방식
3. 교육부·교육청과 학교의 관계
4. 교직원회의와 교육과정 운영

제9장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주민의 요구
1. 의의
2. 교육의 자주성 원리와 주민의 교육 요구
3. 교육과정 결정·운영과 주민 요구의 법적 현황
4. 주민의 요구와 교육과정 편성

제10장 고등학교 교육과정 법제
1. 의의
2. 고등학교 교육목적과 체제의 다양성
3.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근거와 내용 구조
4.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법적 측면에서 본 문제

제11장 교육평가에 대한 법적 문제
1. 의의
2. 교육평가권과 교육과정 운영
3. 교육평가에 대한 법 규정의 변천과 구조
4. 교육평가권에 대한 제 문제

제12장 자주적 교육과정 연수
1. 의의
2. 교육과정 연수의 자주성
3. 교육과정 연수에서 법해석상의 쟁점
제4부 특수교육과 초·중등교육 이외의 교육과정과 교육법

제13장 영재교육 교육과정과 교육법
1. 의의
2. 영재의 개념과 법의 제정
3. 영재교육 관련 법과 특별법적 성격
4. 영재교육 교육과정의 법적 규정
5. 영재교육 교육과정 법 규정의 과제

제14장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교육법
1. 의의
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대상자의 권리와 법적 성격
3.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법적 구조와 내용
4.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의무교육

제15장 영유아 교육과정과 법
1. 의의
2. 영유아 교육과정의 국가기준과 보육·교육의 자유
3. 영유아 교육과정과 교육조건의 정비
4. 영유아교사의 양성·연수·관리와 전문적 역량 형성

제16장 고등교육·평생교육 교육과정과 교육법
1. 고등교육 교육과정과 교육법
2. 평생교육 교육과정과 교육법

제17장 다문화 교육과정, 북한의 교육과정과 교육법
1. 다문화 교육과정
2. 북한의 교육과정

◎ 후주
◎ 주요 용어 해설
◎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