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글문화사

한글문화사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동언, 金東彦, 1955-
서명 / 저자사항
한글문화사 / 김동언 지음
발행사항
하남 :   박이정,   2021  
형태사항
634 p. : 삽화 ; 24 cm
ISBN
9791158486068
서지주기
참고문헌: p. 623-634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5354
005 20230510094032
007 ta
008 210326s2021 ggka b 000c kor
020 ▼a 9791158486068 ▼g 937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95.711 ▼2 23
085 ▼a 497.11 ▼2 DDCK
090 ▼a 497.11 ▼b 2021z2
100 1 ▼a 김동언, ▼g 金東彦, ▼d 1955- ▼0 AUTH(211009)103974
245 1 0 ▼a 한글문화사 / ▼d 김동언 지음
260 ▼a 하남 : ▼b 박이정, ▼c 2021
300 ▼a 634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 p. 623-634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21z2 등록번호 1118463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21z2 등록번호 5110569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11 2021z2 등록번호 1513626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21z2 등록번호 1118463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21z2 등록번호 5110569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11 2021z2 등록번호 1513626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동언(지은이)

<국어비속어사전>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5

제1편 서설

제1장 한글과 한글문화
1.1. 국어와 한글
1.2. 한글문화와 한글 역사

제2편 한글의 토대

제2장 한글과 향문
2.1. 한자 차용과 우리말 표기
2.2. 향문의 특성과 종류
2.3. 향문과 한글

제3장 한글과 성운학
3.1. 성운학과 한음
3.2. 조선 한자음과 ≪동국정운≫
3.3. 성운학과 한글

제4장 한글과 동아시아 문자
4.1. 표음 문자의 성립
4.2. 동아시아의 문자
4.3. 동아시아 문자와 한글

제3편 한글의 창제

제5장 한글 창제 기록과 목적
5.1. ≪세종실록≫의 한글
5.2. 한글 창제 목적과 한글의 지위

제6장 ≪훈민정음≫ 이본
6.1. 책의 형태와 이본
6.2. ≪훈민정음≫의 종류

제7장 한글의 문자와 운용
7.1. 한글 창제의 원리
7.2. 제자 원리와 한글 자모
7.3. 운용 원리와 자절

제4편 한글의 성장

제8장 한글 자모와 서체 변화
8.1. 한글 자모와 운용의 변화
8.2. 한글 자형과 서체의 변화

제9장 한글 사용과 문체 형성
9.1. 한글 교육과 사용
9.2. 한글과 문체 형성

제10장 한글 고문헌 종류와 특징
10.1. 고문헌의 이해
10.2. 한글 고문헌의 전개 양상

제5편 한글의 정비

제11장 국문의 등장과 사용
11.1. 애국 계몽과 국문 사용
11.2. 기독교 전파와 한글 사용

제12장 국문 교육과 교재
12.1. 개화기 교육과 국어
12.2. 일제강점기 교육과 조선어
12.3. 러시아 극동 지방의 한글 교육

제13장 어문 정리와 국어사전
13.1. 어문 혼란과 통일 사업
13.2. 국어사전의 편찬

제6편 한글의 규범

제14장 〈한글 맞춤법〉
14.1. 〈한글 맞춤법〉 구성
14.2. 총칙과 맞춤법의 원리
14.3. 발음과 표기
14.4. 형태와 표기
14.5. 준말
14.6. 띄어쓰기
14.7. 문장 부호

제15장 〈표준어 규정〉과 국어사전
15.1. 〈표준어 규정〉의 구성
15.2. 총칙과 표준어 개념
15.3. 표준어 사정 원칙
15.4. 표준 발음법
15.5. 표준어 사례
15.6. 표준어의 집대성 ≪표준국어대사전≫

제16장 외래어와 로마자 표기법
16.1. 〈외래어 표기법〉
16.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7편 맺음말
제17장 한글과 민족어의 미래
17.1. 한글의 과거와 현재
17.2. 미래를 위하여

사진 출처
인터넷 사이트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