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5274 | |
005 | 20210329153820 | |
007 | ta | |
008 | 210326s2021 ggk 001c kor | |
020 | ▼a 9788925415642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0.114 ▼2 23 |
085 | ▼a 370.114 ▼2 DDCK | |
090 | ▼a 370.114 ▼b 2021 | |
245 | 0 0 | ▼a 도덕철학과 도덕교육 : ▼b 열두 가지 질문과 대답 / ▼d 이재호 [외] |
246 | 1 1 | ▼a Moral philosophy & moral education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1 | |
300 | ▼a 291 p. ; ▼c 23 cm | |
500 | ▼a 공저자: 박준식, 한찬희, 박대호, 임병덕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재호, ▼g 李在浩, ▼e 저 |
700 | 1 | ▼a 박준식, ▼g 朴俊植, ▼e 저 |
700 | 1 | ▼a 한찬희, ▼g 韓贊熙, ▼e 저 |
700 | 1 | ▼a 박대호, ▼g 朴大虎, ▼e 저 |
700 | 1 | ▼a 임병덕, ▼g 林炳德,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14 2021 | 등록번호 1118462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도덕철학과 도덕교육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장차 도덕과 수업을 담당하게 될 예비교사와 현재 도덕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공부에 도움이 될 만한 읽을거리를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도덕철학과 도덕교육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열두 가지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대한 만족스러운 대답을 제시하는 데 주된 관심과 노력을 기울였다.
이 책은 도덕철학과 도덕교육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장차 도덕과 수업을 담당하게 될 예비교사와 현재 도덕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공부에 도움이 될 만한 읽을거리를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열두 가지 질문과 대답’이라는 책의 부제가 시사하고 있듯이, 저자는 도덕철학과 도덕교육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열두 가지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대한 만족스러운 대답을 제시하는 데 주된 관심과 노력을 기울였다. 이 책에서 저자가 제시하는 대답은 어디까지나 질문에 대한 예시 답안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여기에는 또 다른 대답의 가능성이 언제나 열려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임병덕(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키에르케고르S. Kierkegaard의 간접전달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로 키에르케고르의 교육이론과 그의 실존윤리학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초등학교 도덕과교육론(교육과학사, 1998, 공저),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성경재, 2003), 도덕과교육방법론(교육과학사, 2019, 공저) 등이 있고, 주요 번역서로는 키에르케고르의 교육이론(R. J. Manheimer, 교육과학사, 2003, 공역), 키에르케고르의 철학: 이 시대의 자기기만과 비겁(J. D. Mullen, 아바벨출판사, 2017, 공역)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윤리학: 도덕교육의 이론으로서의 윤리학”, “소크라테스와 키에르케고르: 교육원리로서의 아이로니”, “키에르케고르의 자아이론: 자아실현의 계기로서의 절망” 등 다수가 있다.
이재호(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에서 비고츠키(L. S. Vygotsky)의 도덕심리학에 관한 연구로 교육학석사와 폴 리쾨르(Paul Ricoeur)의 해석학에 관한 연구로 교육학박사를 취득하였다. 2012년에 초등교사양성 국립대학인 광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에 부임한 이래 현재까지 교수로 재직하면서, 예비교사와 가르침과 배움을 함께 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에 기반을 둔 도덕교육이며, 특히 도덕과 수업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로는 리쾨르와 현대 도덕교육(단독, 2010, 교육과학사), 초등학교 인성교육 살리기(공저, 2011, 인간사랑), 도덕과교육방법론(공저, 2019, 교육과학사), 도덕철학과 도덕교육(공저, 2021, 교육과학사) 등이 있다.
박준식(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에서 피터즈R. S. Peters의 동기이론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스피노자B. Spinoza의 윤리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 조치원중학교 도덕 교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교원대학교와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서양윤리사상, 초등도덕교육론 등을 강의하였다. 윤리학과 도덕교육이론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교과서 윤리와 사상(비상출판사, 2019, 공저), 주요 논문으로는 “도덕발달의 최종국면에 대한 탐색: 스피노자 윤리학을 토대로”, “도덕교육에서 습관화의 의미” 등이 있다.
한찬희(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에서 마리탱J. Maritain의 인격 이론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토마스 아퀴나스T. Aquinas의 자기인식이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가 제기하는 윤리적 문제들과 도덕교육에 관련된 이론적 질문들을 토미즘Thomism의 관점에서 해명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여가schola의 도덕교육적 의미: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마리탱 인격 이론에 비추어 본 인격과 지식의 관계”,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의 ‘가치’” 등이 있다.
박대호(지은이)
광주교육대학교에서 칸트I. Kant의 윤리학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교원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전남 강진중앙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광주교육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로 헤르바르트J. F. Herbart의 도덕교육이론을 탐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헤르바르트 취미 개념의 도덕교육적 의의”, “Kant 윤리학: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자유” 등이 있다.

목차
질문 1 덕은 가르칠 수 있는가 7 질문 2 여가는 도덕의 기반이 될 수 있는가 29 질문 3 자연주의의 오류는 오류인가 49 질문 4 도덕의 근거는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는가 69 질문 5 취미는 도덕의 안내자인가 95 질문 6 도덕적 존재는 자기선택의 결과인가 117 질문 7 도덕교육은 교사에게 어떤 기예를 요구하는가 143 질문 8 합리적 열정은 어디에서 오는가 165 질문 9 위대한 것에 대한 습관적 상상은 어떻게 가능한가 183 질문 10 목적론적 윤리관은 회복될 수 있는가 203 질문 11 미메시스는 어떻게 자기이해로 귀결되는가 221 질문 12 교육윤리학은 성립 가능한가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