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도덕교육 연구 및 실천의 방향과 과제 : 도덕과 교육과정 논의를 중심으로

도덕교육 연구 및 실천의 방향과 과제 : 도덕과 교육과정 논의를 중심으로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창우
서명 / 저자사항
도덕교육 연구 및 실천의 방향과 과제 : 도덕과 교육과정 논의를 중심으로 / 정창우 저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20  
형태사항
214 p. ; 20 cm
ISBN
9788925415185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99-214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5273
005 20210329153406
007 ta
008 210326s2020 ggk b 000c kor
020 ▼a 9788925415185 ▼g 93370
035 ▼a (KERIS)BIB000015675553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0.114 ▼2 23
085 ▼a 370.114 ▼2 DDCK
090 ▼a 370.114 ▼b 2020z5
100 1 ▼a 정창우
245 1 0 ▼a 도덕교육 연구 및 실천의 방향과 과제 : ▼b 도덕과 교육과정 논의를 중심으로 / ▼d 정창우 저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0
300 ▼a 214 p. ; ▼c 20 cm
504 ▼a 참고문헌: p. 199-214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14 2020z5 등록번호 1118462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래 사회와 교육생태계를 고려하면서 도덕과의 새로운 비전과 책무성, 향후 교육과정 개선의 방향성 등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미래 사회를 조망하고 이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도덕과의 지향과 과제를 체계적으로 설계해 보고자 한다.

이 책에서는 미래 사회와 교육생태계를 고려하면서 도덕과의 새로운 비전과 책무성, 향후 교육과정 개선의 방향성 등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미래 사회를 조망하고 이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도덕과의 지향과 과제를 체계적으로 설계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미래는 단순히 ‘예상(예측)되는 세계’가 아니라 우리가 ‘만들어 가야 할 세계’를 의미하며, 이를 위해 도덕과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로드맵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정창우(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인성교육연구센터장, 국가 인성교육진흥위원회 위원, 국회인성교육실천포럼 자문위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 자문위원, 국가교육과정기술자문회의 교육과정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인성교육 지도자료인 『마음아람 프로젝트(중학교용)』(2015), 『안다미로 프로젝트(고등학교용)』(2016) 개발의 책임자로 참여하였다. 또한 중학교 『도덕 1, 2』, 고등학교 『통합사회』, 『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 『인문학적 상상여행』, 『인문학적 감수성과 도덕적 상상력』 과목의 교과용 도서 개발 책임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는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2판)』, 『21세기 인성교육 프레임』,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사, 인성교육을 생각하다』(공저),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쟁점』,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공저), 『도덕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공저), 『윤리와 논술Ⅰ』, 『질문하는 십대, 대답하는 인문학』(공저),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공저), 『Teacher Effectiveness』(공저), 『Critical Perspectives on Values Education in Asia』(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시민성, 시민적 우정과 의무』(공역),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공역), 『도덕 발달의 이론과 적용』, 『도덕철학과 도덕교육』,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공역), 『도덕·가치교육을 위한 100가지 방법』(공역),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공역), 『정의와 배려』(공역), 『실패하는 학교』(공역), 『날마다 만나는 10분 윤리 동화』(공역), 『다문화주의 윤리학』(공역)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여는 글: 도덕 교과,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 5

1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따른 도덕과의 역할 탐구 - 11
1. 미래 사회 조망과 새로운 교육 수요의 창출 / 12
2. 미래 인재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도덕과의 역할 / 32

2 학문적 요구를 반영한 도덕과의 역할 탐구 - 39
1. 디퍼 러닝 / 43
2. 학습 및 발달을 저해하는 인지 편향 / 50
3. 마음챙김 기반 교육 / 56
4. 세 가지 연구 주제의 도덕교육적 관련성 및 함의 / 61
5. 세 가지 연구 성과에 기초한 도덕과 교육의 개선 방향 82

3 도덕과에서 인성교육과 윤리적 시민교육의 중요성 및 교과 위상 - 95

4 도덕과에서 인성교육과 윤리적 시민교육의 실천 방향 - 105

5 인성교육 및 윤리적 시민교육 중심의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 159

닫는 글 / 197
참고문헌 / 199

관련분야 신착자료

日本. 文部科学省 (2022)
남강서원 (2022)
Freire, Paulo (2022)
Illich, Ivan D.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