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플라톤의 『국가』 연구

플라톤의 『국가』 연구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득렬, 申得烈
서명 / 저자사항
플라톤의 『국가』 연구 / 신득렬
발행사항
대구 :   태일사,   2020  
형태사항
445 p. ; 23 cm
ISBN
9791187268451
일반주기
부록: 1. 플라톤의 저서 목록, 2. 플라톤 저작의 연대순  
서지주기
참고문헌(p. 421-432)과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Plato,   B.C. 427-347.   Politeia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4812
005 20210324172711
007 ta
008 210323s2020 tgk b 001c kor
020 ▼a 9791187268451 ▼g 93100
035 ▼a (KERIS)BIB000015701953
040 ▼a 243007 ▼c 243007 ▼d 211009
082 0 4 ▼a 321.07 ▼2 23
085 ▼a 321.07 ▼2 DDCK
090 ▼a 321.07 ▼b 2020z1
100 1 ▼a 신득렬, ▼g 申得烈
245 1 0 ▼a 플라톤의 『국가』 연구 / ▼d 신득렬
260 ▼a 대구 : ▼b 태일사, ▼c 2020
300 ▼a 445 p. ; ▼c 23 cm
500 ▼a 부록: 1. 플라톤의 저서 목록, 2. 플라톤 저작의 연대순
504 ▼a 참고문헌(p. 421-432)과 색인수록
600 0 0 ▼a Plato, ▼d B.C. 427-347. ▼t Politeia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1.07 2020z1 등록번호 1118459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플라톤은 행운과 불운을 함께 가지고 태어났다. 인류의 스승 소크라테스를 만나 교육받은 것은 행운이었고, 전쟁의 와중에 태어나 성장하고 활동하게 된 것은 불운이었다. 그는 조국의 패망을 경험하고 계속되는 정치적 무질서와 혼란 속에서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그는 이런 불운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교육과 연구를 통해 후진을 양성하고 불후의 저술을 남겼다. 그는 잃어버린 조국과 헬라스를 위해 문학적, 철학적 천재성을 발휘하여 이상 국가의 청사진을 만들어 발표했다. 하지만 오늘날까지도 그의 꿈은 실현되지 않고 있다.

몽테스키외는 『법의 정신』 서문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와 동시대에 태어난 것을 신에게 감사했다. 나 또한 내가 살고 있는 정부의 국민으로 태어나게 하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복종하도록 해준 데 대해 신에게 감사한다”고 했다. 플라톤은 위대한 스승을 만나도록 해준 신에게 감사했지만, 몽테스키외는 이웃 나라에서 벌어지는 정치적 불안정을 생각하며 안정된 정치적 질서가 있는 조국에 대해 감사했다.
플라톤은 행운과 불운을 함께 가지고 태어났다. 인류의 스승 소크라테스를 만나 교육받은 것은 행운이었고, 전쟁의 와중에 태어나 성장하고 활동하게 된 것은 불운이었다. 그는 조국의 패망을 경험하고 계속되는 정치적 무질서와 혼란 속에서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그는 이런 불운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교육과 연구를 통해 후진을 양성하고 불후의 저술을 남겼다. 그는 잃어버린 조국과 헬라스를 위해 문학적, 철학적 천재성을 발휘하여 이상 국가의 청사진을 만들어 발표했다. 하지만 오늘날까지도 그의 꿈은 실현되지 않고 있다.
나는 1991년 교양 교육기관인 ‘파이데이아 아카데미아’(Paideia Academia)를 설립하여 시민들과 함께 서양의 ‘위대한 저서’(Great Books)를 읽기 시작했다. 우리 회원들은 2년에 걸쳐 그리스 고전작가 호메로스,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아리스토파네스, 헤로도토스, 투키디데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를 읽고 토론하였다. 새 토론반이 매년 만들어지기 때문에 계속해서 같은 책을 읽어야 했다. 이 연구의 대상인 『국가』도 10여 차례 읽었다. 읽을 때마다 우리 회원들은 대화체로 되어 있는 이 책이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서사시, 비극시, 희극시를 쓴 시인들과는 달리 플라톤은 자기와 비슷한 지적 수준을 가진 사람들, 아카데미에 와서 함께 기숙하며 진리를 탐구하는 젊은이들을 위해 이 책을 썼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득렬(지은이)

계명대 교육철학 교수로 정년퇴임을 하였으며, 1991년에 교양교육기관인 ‘파이데이아 아카데미아’를 설립하여 현재까지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고전을 읽고 토론하는 파이데이아 아카데미아는 전국에 16개의 지부를 두고 있다. 주요 저서 『권위, 자율 그리고 교육』 (1997), 『교육사상사』 (2000), 『위대한 대화』 (2002) (2003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현대교육철학』 (2003), 『행복의 철학』 (2007), 『교양교육』 (2016)(2016 우수출판콘텐츠 선정,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플라톤의 「국가」 연구』 (202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플라톤의 생애와 저술활동
1. 플라톤의 생애
2. 사회적, 정치적 배경
3. 아카데미의 창설
4. 플라톤의 저작
5. 플라톤과 소크라테스
제2장 『국가』에 관한 일반적 사항
1. 대화 시기
2. 저술 시기
3. 저서 명칭
4. 저술의 목적
5. 전승 과정
제3장 『국가』의 탐구
1. 제1권
2. 제2권
3. 제3권
4. 제4권
5. 제5권
6. 제6권
7. 제7권
8. 제8권
9. 제9권
10. 제10권
참고문헌
부록
인명 색인
자주 나오는 주제어(그리스어-영어)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