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4790 | |
005 | 20210330152645 | |
007 | ta | |
008 | 210323s2021 ulk 001c kor | |
020 | ▼a 9791130312507 ▼g 9333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1 ▼2 23 |
085 | ▼a 301 ▼2 DDCK | |
090 | ▼a 301 ▼b 2021z2 | |
100 | 1 | ▼a 배규한, ▼g 裵圭漢 |
245 | 1 0 | ▼a 자유로운 미래를 위한 사회학 / ▼d 배규한 지음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21 | |
300 | ▼a 378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 2021z2 | Accession No. 11184609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05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1세기는 사회학의 시대다. 이제는 정치적 권력이나 경제적 부(富)를 넘어 누구나 인간다운 삶을 원하기 때문이다. 졸업생들을 만나다 보면 사회학 강의 시간에 배운 내용들이 직장생활은 물론 일상생활에서도 매우 유용하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실제로 사회학은 인간과 사회에 관한 지식의 보고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회학 책을 좀 읽어 보려는데 너무 딱딱하고 복잡하다”고 한다. 사회학의 관심분야가 워낙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보니 “사회학은 공부할수록 더 모르겠다”고 한다. 사회학을 관통하는 핵심주제는 인간.사회.미래이다. 이 책은 세 주제를 중심으로 핵심내용들을 일관되게 정리함으로써, 누구나 사회학의 지혜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 쓴 교양서이다.
머리말
21세기는 사회학의 시대다. 이제는 정치적 권력이나 경제적 부(富)를 넘어 누구나 인간다운 삶을 원하기 때문이다. 졸업생들을 만나다 보면 사회학 강의 시간에 배운 내용들이 직장생활은 물론 일상생활에서도 매우 유용하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실제로 사회학은 인간과 사회에 관한 지식의 보고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회학 책을 좀 읽어 보려는데 너무 딱딱하고 복잡하다”고 한다. 사회학의 관심분야가 워낙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보니 “사회학은 공부할수록 더 모르겠다”고 한다. 사회학을 관통하는 핵심주제는 인간.사회.미래이다. 이 책은 세 주제를 중심으로 핵심내용들을 일관되게 정리함으로써, 누구나 사회학의 지혜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 쓴 교양서이다.
인간에 대해 많이 알수록 가정이나 사회생활이 부드러워지고, 사회에 대해 많이 알수록 일과 직업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커진다. 개념을 알면 현상이 보이고, 개념을 모르면 그러한 현상이 있는지조차 모른다.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은 인간?사회?미래에 관한 주요 개념들을 이해함으로써, 21세기를 올바르게 살아갈 지혜를 얻을 뿐 아니라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고 창조해 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인류역사는 “자유를 위한 투쟁의 역사”라고 한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디지털 원형감옥에 갇혀 오히려 자유로운 삶을 살지 못하고 있다. 21세기에 우리는 어떤 자유를 누릴 것인가? 이 책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 사회적 자유와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사회학적 삶의 양식을 설명하며 널리 알리고자 한다.
이 글은 오랫동안 강의실에서 학생들과 실제로 대화하고 토론했던 내용들이다. 강의에 함께 했던 모든 학생들이 사회학의 지혜를 얻어 훌륭한 사회생활을 해 나갈 것으로 기대하며, 모두에게 그리움과 고마움을 전한다. 아울러 우리 세대와 미래 세대 모든 사람이 사회적 자유를 누릴 수 있길 기원한다.
2021. 3. 1.
대모산 기슭에서
배규한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배규한(지은이)
現在 국민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백석대 석좌교수, 경희대 객원교수 주요경력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Ph. D. in Sociology) ●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학생처장·사회대 학장 ● 中國靑年政治學院 客座敎授 ● 한국연구재단 초대 사무총장, 한국학술진흥재단 이사장 직무대행 ●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원장 ● 대통령자문 21세기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 위원 ● 교과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장, 교육부 소식지 편집자문위원장 ● 『미래사회학』 『사회학적 통찰과 상상』 등 저서 22권 ● 「한국사회학」, 「청소년정책」,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Social Forces, Pacific Affairs 등에 논문 51편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사회적 자유와 미래를 향한 여정 14 1. 21세기는 사회학의 시대다_14 2. 사회학은 어떻게 태어났나?_18 3. 사회학은 관점의 학문이다_22 4. 사회학은 과학인가?_26 PART 01|가장 중요한 세 가지 질문 |chapter 01|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33 1. 어떻게 지금 내가 있는가?_33 생명의 기원_34 성장의 신비_36 2. 미미하지만 위대한 인간의 모습 39 생물학적 존재_39 인간의 이원성_40 문명사적 시각_41 3. 선하고 악한 인간의 본성 42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_42 경험과 환경에 따라 다르다_44 이해관계에 따라 변한다_46 4. 인간에 대한 올바른 인식 48 무엇보다 소중한 생명_48 왜 사는가?_50 타인에 대한 감사와 헌신_51 인간에 대한 실망과 진실_53 |chapter 02|사회란 어떤 곳인가? 57 1. 사회란 무엇인가? 57 2. 무엇이 사회를 만드는가? 59 인구_59 자연환경과 사회환경_60 의식구조와 테크놀로지_62 조직과 제도_63 3. 사회를 보는 세 가지 패러다임 64 사회실재론과 사회명목론_64 사회체계론적 패러다임_66 갈등론적 패러다임_67 상호작용론적 패러다임_68 4. 사회를 보는 올바른 시각 69 |chapter 03|미래는 어떻게 창조되는가? 73 1. 시간이란 무엇인가? 73 시간의 개념과 종류_73 세 가지 시간_76 2. 미래란 무엇인가? 78 미래의 종류_78 미래전망의 원리_80 3. 미래는 어떻게 연구하는가? 83 미래에 대한 관심_83 미래연구의 중요성_86 미래연구의 의의와 영역_89 한국의 미래준비_91 4. 미래학은 과학인가? 92 미래에 대한 인식의 변화_92 미래학의 출발_95 미래학은 과학이다_97 PART 02|사회는 어떻게 존속하는가? |chapter 04|문화는 사회 성립의 토대이다 103 1. 문화는 사회의 내용물 103 문화의 개념_103 문화의 특성_105 2. 문화의 기능 107 개인적 차원_108 사회적 차원_110 3. 문화의 다양한 모습 111 내용에 따른 분류_111 채용범위에 따른 분류_114 형성과정에 따른 분류_116 4. 문화는 어떻게 변하는가? 117 5.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 120 보편성과 다양성_120 절대성과 상대성_121 문화결정론과 인간주의_124 |chapter 05|사회화는 사회 존속의 통로이다 127 1. 사회화가 사람을 만든다 127 사회화란 무엇인가?_127 사회화의 대행자_130 사회화의 시기별 유형_133 2. 사회화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134 기본행동과 가치관_134 사회적 지위와 역할_136 역할수행과 인상관리_138 역할갈등과 지위불일치_141 3. 사회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143 정신분석학적 이론_144 인지발달이론_146 상호작용이론_147 학습이론_152 4. 사회화의 쟁점들 153 문화와 퍼스낼리티_153 희생자 사회화_157 노인의 사회화_158 [자녀양육의 11가지 원리] ① 깊이 사랑하라 ② 예단하지 말라 ③ 천성대로 양육하라 ④ 질문하게 하라 ⑤ 스스로 하게 하라 ⑥ 오로지 후원하라. ⑦ 삶의 뿌리를 튼튼히 가꿔라 ⑧ 자녀의 미래는 자녀에게 맡겨라 ⑨ 경쟁보다 상생을 가르쳐라 ⑩ 건강이 지식보다 중요하다 ⑪ 부모가 롤 모델이다 |chapter 06|사회의 기본조건은 인구와 환경이다 168 1. 인구란 무엇인가? 168 인구성장_169 인구구조_171 인구분포_173 2. 인구문제에 대한 논쟁 174 맬서스의 인구론_174 인구론에 대한 비판과 이후의 논쟁_176 로마클럽의 경고와 인구변천이론_178 3. 한국의 인구문제는 무엇인가? 181 4. 생태계와 환경운동 183 생태계의 이해_183 환경문제의 쟁점_185 환경운동의 전개과정_186 5. 지역공동체와 도시화 189 농촌과 도시_189 도시화와 도시성_191 도시의 생태학적 과정_194 한국의 도시화_195 PART 03|사회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chapter 07|사회생활의 단위는 집단과 조직이다 201 1, 사회집단이란 무엇인가? 201 집단의 개념과 중요성_201 집단의 요건과 기능_202 2. 사회집단의 다양한 모습 203 일차집단과 이차집단_203 내집단과 외집단_205 준거집단 _207 3. 공식조직이란 무엇인가? 209 개념과 배경_209 관료제의 특성_211 관료제의 순기능과 역기능_213 관료제의 미래_217 4. 자발적 결사체란 무엇인가? 219 개념과 특징_219 자발적 결사체의 종류_220 중요성과 한계_221 |chapter 08|사회제도는 일상생활의 틀이다 223 1. 사회제도란 무엇인가? 223 사회제도의 의미_223 사회제도의 기능_225 2. 사회제도의 변천과 주요 제도 226 제도의 형성과 전문화_226 사회제도의 종류_227 3. 가족제도 230 가족의 개념과 기능_230 가족의 유형_232 산업화와 핵가족_233 제도의 변화와 위기_234 4. 종교제도 236 개념과 기본요소_236 발생원인_237 순기능과 역기능_239 세속화와 미래 전망_240 5. 정치제도 241 정치제도와 권력_241 정치제도의 유형_243 순기능과 역기능_244 6. 경제제도 246 개념과 유형_246 자본주의 경제제도_248 사회주의 경제제도_249 순기능과 역기능_251 7. 교육제도 252 개념과 유형_252 순기능과 역기능_254 현행 제도의 문제점_255 한국의 교육개혁_256 |chapter 09|사회계층은 이기적 본능의 결과이다 258 1. 사회적 불평등은 언제부터인가? 258 2. 불평등은 어떻게 생기나? 262 마르크스의 시각_262 베버의 시각_263 계급과 계층_264 3. 사회계층은 왜 생기는가? 267 사회구조를 보는 시각의 차이_267 기능론적 계층이론_267 갈등론적 계급이론_268 기능론과 갈등론에 대한 평가_270 4. 사회계층의 결과와 연구방법 271 사회불평등의 정도_271 계층의 결과_273 계층의 연구방법_275 5. 사회이동이란 무엇인가? 277 사회이동의 개념_277 사회이동의 개인적 요인_279 사회이동의 구조적 요인_281 PART 04|사회는 어떻게 변하는가? |chapter 10|일탈행동은 개인과 사회의 충돌이다 287 1. 일탈이란 무엇인가? 287 2. 일탈은 왜 생기는가? 288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설명_288 사회학적 접근_291 3. 사회는 왜 일탈을 통제하는가? 299 사회통제의 뜻_299 사회통제의 종류와 역기능_300 4. 일탈행동은 다 나쁜 것일까? 303 사회규범과 집단 내부의 응집력 강화_303 사회변동의 근원_303 |chapter 11|집합행동은 어떻게 사회를 바꾸는가? 305 1. 집합행동이란 무엇인가? 305 집합의 종류_305 집합행동의 의미_308 군중의 집합행동_309 2. 어떻게 군중행동이 가능할까? 310 심리학적 접근_311 사회심리학적 접근_312 사회학적 접근_313 3. 매스미디어와 집합행동 316 대중에 의한 집합행동_316 공중에 의한 집합행동_317 선입견과 고정관념_318 여론조작과 선전_320 광고와 PR_323 4. 사회운동이란 무엇인가? 324 개념과 특성_324 발전단계_325 사회운동의 종류_327 신 사회운동_329 |chapter 12|무엇이 세상을 바꾸는가? 331 1. 사회변동을 알아야 할 이유 331 2. 고전적 사회변동이론 332 순환론_333 진화론_334 고전적 변동이론의 시각_336 3. 현대 사회변동이론 337 사회변동의 요인_33 근대화이론_338 종속이론_339 현대 사회변동이론의 퇴조_341 4. 과학기술적 사회변동론 342 탈이념과 산업주의_342 사회기술과 『제3물결』_344 제4물결(또는 제4차 산업혁명)_345 5. 제5물결은 어디서 시작될까? 348 제5물결은 무엇일까?_348 제5물결과 한국_351 에필로그: 사회적 자유의 10가지 원리 354 ① 나는 귀중한 존재다 ② 인간은 문화의 창조자다 ③ 사회화가 사람을 만든다 ④ 사람을 믿지만 인간은 변한다 ⑤ 정신이 육체를 이긴다 ⑥ 자녀는 인생 최고의 선물이다 ⑦ 세상은 끊임없이 변한다 ⑧ 미래는 생각과 상상의 실현이다 ⑨ 꿈은 행복과 열정을 낳는다 ⑩ 미래항해의 선장은 자신이다 색 인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