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문학의 미적 담론과 시학

문학의 미적 담론과 시학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조병무, 曺秉武
Title Statement
문학의 미적 담론과 시학 = Aesthetic discourse in literature and poetics / 조병무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푸른생각,   2021  
Physical Medium
431 p. ; 23 cm
Series Statement
푸른생각신서
ISBN
9788991918900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4714
005 20210326144543
007 ta
008 210323s2021 ulk 001c kor
020 ▼a 9788991918900 ▼g 038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895.709004 ▼2 23
085 ▼a 897.09006 ▼2 DDCK
090 ▼a 897.09006 ▼b 2021
100 1 ▼a 조병무, ▼g 曺秉武
245 1 0 ▼a 문학의 미적 담론과 시학 = ▼x Aesthetic discourse in literature and poetics / ▼d 조병무
260 ▼a 서울 : ▼b 푸른생각, ▼c 2021
300 ▼a 431 p. ; ▼c 23 cm
490 1 0 ▼a 푸른생각신서
500 ▼a 색인수록
830 0 ▼a 푸른생각신서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09006 2021 Accession No. 1118460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문학평론가이자 시인인 조병무 교수의 <문학의 미적 담론과 시학>. 저자가 발표했던 문학론과 비평들을 모은 이 책은 한국 현대문학의 흐름을 이끌어온 중진들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고 앞으로 한국문학의 향방을 모색하여 문학사의 정립을 시도했다.

한국 시단의 문학사적 정립과 앞으로의 향방

문학평론가이자 시인인 조병무 교수의 『문학의 미적 담론과 시학』이 푸른생각에서 출간되었다. 저자가 발표했던 문학론과 비평들을 모은 이 책은 한국 현대문학의 흐름을 이끌어온 중진들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고 앞으로 한국문학의 향방을 모색하여 문학사의 정립을 시도했다.

한국 현대문학사는 역사의 긴 여정을 거쳐 수많은 우여곡절과 논쟁의 연속에서 성숙되어왔다. 일제 식민지의 수난과 해방 공간에서의 이념 문제, 한국전쟁과 같은 민족의 고통은 문학작품의 성장을 수반하기도 했다. 이렇듯 문학은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를 어느 관점에서 파악하느냐 하는 문제의식으로부터 비롯된다. 물질문명으로 인해 황폐화되어가는 현 시대에서도 우리는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를 좇고 어떠한 문학을 추구해야 할지 되돌아보아야 할 시점에 다다랐다.
문학평론가이자 시인인 조병무 교수의 『문학의 미적 담론과 시학』은 한국 현대문학의 흐름을 이끌어온 원로들의 작품 세계를 탐구했다. 아울러 앞으로 한국문학이 나아갈 향방을 모색하고 문학사를 정립하고자 했다. 시대의 흐름이 빠르게 변하듯이, 문학의 변화도 무궁무진할 것이다. 디카시, 민조시, 풍시조, 디지털시, 하이퍼시 등과 같이 시 창작의 형식이 독특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만큼 현 문학사를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1부에서는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 석재 조연현 문학평론가를 비롯하여 한국문학의 세계화에 큰 기여를 한 영문학자이자 수필가인 변영로, 소설가 정비석, 조흔파 등의 작품과 그들이 우리 문학사에 남긴 족적을 탐구했다. 특히 한국 문단사와 문학지에 관한 석재 조연현의 공적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2부에서는 우리 시단의 문학상과 각 문학 장르에 관련된 문제점을 기술했다. 3, 4부에서는 우리 문학에서 다각도로 작품의 질적 향상을 이끌어온 문인들에 대한 평설을 다루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조병무(지은이)

호는 평리(平里), 『현대문학』에서 문학평론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동덕여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한국현대시인협회 회장, 96문학의해 기획팀장 및 기획분과 회장을 역임했다. 시집으로 『꿈 사설』 『떠나가는 시간』 『머문 자리 그대로』 『숲과의 만남』, 시선집으로 『큰길 위의 사람들』, 문학평론집 및 연구서로 『가설의 옹호』 『새로운 명제』 『존재와 소유의 문학』 『시짜기와 시쓰기』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문학작품의 사고와 표현』 『문학의 환경과 변화의 시대』 『조운 평전-구름다리 위를 거닐다』 『한국소설묘사사전』(전6권), 수필집으로 『니그로오다 황금사슴』 『꽃바람 불던 날』 『기호가 말을 한다』 『내 마음속의 숲』 『소통과 배려』 등 다수가 있다. 울산대학교 중앙도서관에 ‘평리문고’를 개설했다. 현대문학상, 시문학상, 윤동주문학상 본상, 동국문학상, 조연현문학상, PEN문학상, 군포문학상, 제3회 녹색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현대시인협회 평의원, 한국문학평론가협회 고문, 한국문인협회 고문,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문학의집 서울 이사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 책머리에

제1부
불교문학이 포교에 미친 영향
서울, 삶을 끌어가는 공존의 도시
이 시대 인물의 표정 그리기
소설가 정비석의 작품 세계
전후 폐허 속에 피어난 조흔파의 명랑소설
변영로의 시와 수필의 정신
조연현이 한국 문단에 남긴 것
가야국 혼백의 소리

제2부
문학작품 창작에 따른 환경 문제
미디어 속의 언어 파괴
문학작품 속의 아버지상
수필문학의 변화와 개혁
녹색문학상의 주제의식
이형기, 파토스적인 언어 감동과 새로운 도전
함혜련, 공존의 법칙
이야기로 풀어가는 시
한국전쟁의 고통과 비무장지대

제3부
자연의 해석, 인간 욕구와 문명의 충돌
인생의 가치와 진면목
소부리의 영원한 기도와 향수
역사의 흐름에 대한 고뇌와 고발
교감과 소통의 깊은 사랑
원초적 우주의 환상적 언어감각
우리말 방언의 억양과 음고의 효용성
시인의 시적 영감과 믿음의 세계
순수한 사랑에 대한 명상의 세계
꽃과 자연, 생명력의 조화
시와 그림을 통한 영감의 미적 감성
시인과 수리산의 일체감
소망과 간절한 기도의 마음
사랑과 삶에 대한 긍정적인 열정
삶의 의지와 집념의 화두
‘나’에 대한 일상의 사랑과 열정
미망과 은자의 땅을 넘나드는 명상의 세계

제4부
시곡(時曲)이 흐르는 시대의 강물
일상의 삶에서 교감되는 행복
기도하는 서정의 심상
감성 언어의 생명력
삶의 현장에서의 기다림과 비움
긍정적 언어 기법의 새로운 화두
폭넓은 교감의 세계 접근법
순수한 정감과 삶의 이상향
생명력의 사계와 현실적 고뇌
역사와 전통이 깃든 순례 현장
감성적인 언어 감각과 자연 친화

■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연여름 (2023)
이병철 (2023)
가람기념사업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