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책분석평가와 성과감사

정책분석평가와 성과감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창현 김흥률, 저 왕재선, 저
서명 / 저자사항
정책분석평가와 성과감사 = Policy analysis, evaluation and performance auditing / 최창현, 김흥률, 왕재선
발행사항
서울 :   윤성사,   2018  
형태사항
319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88836130
서지주기
참고문헌(p. 310-315)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4400
005 20210319113201
007 ta
008 210318s2018 ulkad b 001c kor
020 ▼a 9791188836130 ▼g 93350
035 ▼a (KERIS)BIB000014932886
040 ▼a 247017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2.3 ▼2 23
085 ▼a 352.3 ▼2 DDCK
090 ▼a 352.3 ▼b 2018z2
100 1 ▼a 최창현
245 1 0 ▼a 정책분석평가와 성과감사 = ▼x Policy analysis, evaluation and performance auditing / ▼d 최창현, ▼e 김흥률, ▼e 왕재선
260 ▼a 서울 : ▼b 윤성사, ▼c 2018
300 ▼a 319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10-315)과 색인수록
700 1 ▼a 김흥률, ▼e
700 1 ▼a 왕재선,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3 2018z2 등록번호 1212568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다양한 그림과 표를 활용하여 정책분석평가를 공부하는 분들을 위해 쉽게 설명했다. 성과감사 부분은 공공부문 감사의 취업을 희망하시거나 현직에 계신 분들을 위해 국내외 성과감사 분야의 실제와 발전추세를 잘 설명하였다.

다양한 그림과 표를 활용하여 정책분석평가를 공부하는 분들을 위해 쉽게 설명했습니다.

성과감사 부분은 공공부문 감사의 취업을 희망하시거나 현직에 계신 분들을 위해 국내외 성과감사 분야의 실제와 발전추세를 잘 설명하였습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최창현(지은이)

뉴욕주립대학교 행정 및 정책학 박사 현 금강대학교 공공정책학부 초빙교수 전 한반도선진화재단 조사센터 소장 •한국조직학회 회장 •관동대 행정학과 교수 •뉴욕주립대 록펠러 행정대학원 객원교수 •RPI 테크노 경영대학원 초빙교수 •사우스 캐롤라이나 대학 경찰대학 교환교수 •파고다 외국어학원 TOEIC 강사 역임 SPSS, UCINET 활용 조사방법론(2011), Introducing Public Administration: Made Simple for TOEIC(2016), 국력이란 무엇인가(2015), 좋은 정부란 무엇인가?(2012), 복잡계로 바라본 조직관리(2005) 등 40여 권의 저서와 역서가 있고, 논문 40여 편이 있다.

김흥률(지은이)

경남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감사원 감사교육원 교수, 감사원 일반직고위감사공무원 교육운영부장, 감사교육원장 직무대행 등을 역임하였다. 대통령 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평가전문위원 겸 정부혁신지방분권과제 점검평가단장, 국무총리 국가평가인프라구축추진단 자문위원과 제도점검팀장을 역임하였으며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정 관련 유공자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공공감사연구회 부회장, 한국정치학회 상임이사, 한국행정학회 운영이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연구이사 등 주요 학회 임원으로 활동한 바 있으며, 제17차 세계감사원장회의(INCOSAI) 정부대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감사자문위원, 한국전기안전공사 감사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SUNY at Albany) 록펠러행정대학원에서 정책분석·사업평가전공으로 행정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키워드로 보는 정책학」(2019), 「정책분석평가와 성과감사」(2018),「정부성과관리와 평가제도」(2006),「성과관리를위한 논리모형의 개발과 활용」(2006),「현대 미국정치의 쟁점과 과제」(1996) 등 저서와“ 공공부문의 리스크기반 감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공공기관 청렴성 자가진단개선 방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Supreme Audit Institutions in Government Performance Management” 등 공공감사, 성과감사, 정책분석평가, 내부통제, 부패방지 분야 다수의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현재 (사)한국평가감사연구원(KIEA) 평가감사 아카데미에서 공공감사와 정책사업평가 관련 교육과 컨설팅을 통해 감사와 평가분야 발전에 헌신하고 있다.

왕재선(지은이)

2008년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호남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대우조교수 역임. 주요 학회활동으로 현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 (사)한국거버넌스학회 총무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사회활동으로 현 국가보훈처 자체평가위원, 전 경기도 정보공개심의회 심의위원, 현 농촌진흥청 정보공개심의위원, 보통징계위원회 위원, 국립식량과학원 고충심사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음. 주요 논문으로는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Attitudes toward Nuclear Power Energy across 27 European Countries by Applying the Multilevel Model”, “공공조직 정보공유 태도에 대한 영향요인: 개인 혹은 조직?”, “Individual perception vs. structural context: Searching for multilevel determinants of science-technology acceptance across 34 countries”, “신뢰와 원자력 수용성”, “전자정부의 효과: 거버넌스 지표를 중심으로” 등이 있음. 주요 연구 관심분야는 정부혁신, 비교정책, 과학기술과 정부신뢰 등이 있음

정보제공 : Aladin

목차

Chapter 01정책분석의 역사
1. 정책학의 등장과 정책분석
2. 정책분석의 기본 과정
3. 정책학과 복잡계 관점
1) 복잡계의 정의와 특성
2) 복잡계 관점이 정책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
생각해볼 문제

Chapter 02 정책분석
1. 정책분석의 필요성과 정의
1) 정책분석의 필요성
2) 정책분석의 정의
3) 정책분석, 체제분석, 그리고 관리과학의 관계
2. 정책대안의 개발과 분석
1) 정책대안의 개발
2) 정책대안의 예비분석
3) 정책문제의 분석기법
3. 정책결정 모형
1) 합리포괄모형
2) 만족모형
3) 연합모형
4) 점증모형
5) 최적모형
6) 쓰레기통 모형
7) 정책흐름모형
8) 상황적응모형
9) 엘리슨 모형
4. 정책분석 결과의 제시와 활용
1) 정책분석 결과의 제시
2) 정책분석 보고서의 내용
생각해볼 문제

Chapter 03 정책분석 기법
1. 예측기법
1) 정량적 예측기법
2) 정성적 예측기법
2. 상관관계분석
1) 상관관계의 개관
2) 상관관계의 대두배경
3) 표본의 상관관계
4) 상관관계의 적용 예
5) 상관관계의 종류
3. 회귀모형
1) 회귀분석의 개관
2) 회귀계수 추정방법
4. 정책논변모형
1) 논변(argument)의 용어
2) 법정의 변론구조와 정책논변
3) 툴민과 하버마스의 기본원리와 정책논변모형
4) 정책논변모형의 구성요소
5) 정책정보의 정책주장 전환의 양식
6) 정책논변모형의 적용 사례
생각해볼 문제

Chapter 04 정책평가의 의의와 논리
1. 정책평가의 의의
1) 정책평가의 정의
2) 정책평가의 유형
3) 정책평가와 사업평가
2. 정책평가의 논리
1) 정책평가의 인과관계
2) 허위변수(Spurious variable):외재변수
3) 정책의 타당도
생각해 볼 문제

Chapter 05 정책평가의 방법
1. 정책 실험
1) 정의
2) 종류
3) 실험설계의 유형
2. 사업평가측정기법
1) 사업평가측정기법
(Program Assessment Rating Tool: PART)의 추진배경
2) 사업평가측정기법
(Program Assessment Rating Tool : PART)의 체계
3) 사업평가측정기법과 관련된 쟁점들
생각해 볼 문제

Chapter 06 정책평가의 실제
1. 우리나라 정책평가제도
1) 역사적 배경
2) 정책평가 근거 법률
3) 정부업무평가 추진체계
4) 정부업무평가 종류
2. 해외의 정부업무평가
1) 일본
2) 호주
3) 영국
4) 미국
생각해 볼 문제

Chapter 07 성과감사의 개념과 특징
1. 성과감사의 개념
1) 성과감사의 개념 정의
2) 성과감사와 합법성감사 및 사업평가의 비교
2. 성과감사의 특징
3. 성과감사의 유형
1) 능률성감사
2) 사업효과성감사
3) 성과관리역량감사
4) 성과정보감사
5) ‘최고업무수행’평가
6) 위험평가
생각해 볼 문제

Chapter 08 성과감사와 정부개혁 추세
1. 신공공관리주의 정부개혁의 성격
1) 신공공관리주의의 성과책임성 강조
2) 성과중시 행정과 감사패러다임 변화
2. 주요 선진국들의 성과감사 확대 추세
1) 능률성감사
2) 성과관리역량감사
3) 사업효과성감사
3. 성과감사 확대 방안
1) 책임성과 성과개선의 딜레마
2) 딜레마 해결가능성의 모색
생각해 볼 문제

Chapter 09 성과감사의 수행절차
1. 성과감사의 기획단계
1) 성과감사 대상의 선정
2) 성과감사 대상기관의 이해
3) 감사중점의 파악
4) 감사목표와 범위의 설정
5) 감사준거의 수립
6) 감사증거
7) 감사접근방법의 결정
8) 감사실시계획의 수립
2. 성과감사의 실행단계
1) 감사증거의 수집
2) 감사증거의 분석
3. 성과감사의 보고단계
1) 예비 감사결론의 도출
2) 예비 감사결론의 소통
3) 감사보고서의 작성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