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인숙
서명 / 저자사항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 조인숙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21  
형태사항
288 p. : 삽화, 도표 ; 25 cm
ISBN
9791166850073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4333
005 20210319165313
007 ta
008 210318s2021 ulkad b 001c kor
020 ▼a 9791166850073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5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21z1
100 1 ▼a 조인숙
245 1 0 ▼a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 ▼x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 ▼d 조인숙 지음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1
300 ▼a 288 p. : ▼b 삽화, 도표 ; ▼c 25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21z1 등록번호 11184581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2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원자격증 취득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교사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교육기관에서 아동·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하는 종사자들에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교육과정이 무엇이고 어떠한 형태가 있는지,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철학과 이론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살펴본다.

무엇을 가르치고무엇을 배워야 할 것인가?
이 책은 교원자격증 취득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교사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교육기관에서 아동·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하는 종사자들에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교육과정이 무엇이고 어떠한 형태가 있는지,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철학과 이론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살펴본다. 더불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 교육목표의 설정과 진술,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교육과정 설계 및 평가를 다루며 교과서와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해 논의한다. 실제 현장에서 요구하는 필수 교육과정 지식은 물론, 다양한 읽을거리로 사고의 지평을 넓혔으며 본문에 삽입된 QR코드는 교육과정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교재 이용법
1. 개념정리 교재


· 각 장의 핵심개념을 이해하고 다음과 같이 자신의 언어로 정리한다.
- 키워드 ( 주제 핵심내용 나의 생각 질문)

· 교육학논술을 대비하기 위해 ‘1) 서론 2) 본론 3) 결론’으로 글쓰기 연습을 한다!
· 좋은 글쓰기는 좋은 글을 읽는 데서 시작된다.
예) 학교도서관 홈페이지 → RISS → 검색어입력 → 학위논문/학술지/단행본 → 관련 학술지 찾아 읽기

2. 핵심질문 답변자료
· ‘잠재적 교육과정’과 ‘영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 교육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역량중심교육과정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창의적 체험활동’은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 OECD 교육 2030의 목표인 ‘개인과 사회의 웰빙’을 추구하는 데 적합한 교육과정개발모형 또는 관점이나 이론은 무엇인가?
· 지역수준교육과정의 목표는 무엇을 반영하고 어떠한 절차를 거쳐 설정되어야하는가?
· 21세기 사회에 적응하고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데 가장 가치 있는 지식은 무엇인가?
· 백워드 설계(UbD)모형의 특징은 무엇인가?
· 교육과정실행에 요구되는 교사의 전문성이란 무엇인가?
· 교육과정평가란 무엇이며 학교현장에서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 또는 환경은 무엇인가?
· 교육과정재구성의 목적과 의미는 무엇인가?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

3. QR코드로 쉽고 편하게 풍부한 자료접속
(과거와 현재의 교육과정 총망라): QR코드로 접속하여 국가별 교육과정, 국내 교육청 소식, 교육과정관련 법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4. 능동적인 참여 학습
· 제0강 학습전략세우기 · 각 장의 탐구과제 해결하기
· 탐구문제 만들기 · 곳곳의 질문 찾아 해결하기

↑위의 예시를 토대로
· 비주얼씽킹 익히기 · 수업계획안 작성하기
· 성취기준 이해하기 · 교육프로그램 개발하기
·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시도해보기

5. 관점의 확장, 발산적 사고, 판단능력 향상
1) <들어가는 이야기> 속 교육관련 영화 감상하기
2) 스토리은행 만들기(제목, 줄거리, 감상평 등의 기록)
3) 전공교과관련 학회 검색 및 학회지 읽기 (교육과정학회-교육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한국교원교육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초등교육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유아교육연구 등)


머리말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육과정 이야기

교육과정이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이다. 특히 학교라는 교육기관에서 교사들이 실행해야할 교육정책의 대부분이 교육과정과 관련된다. 학생들은 지금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 국어, 수학, 과학, 사회, 영어를 배우고 있다면 이 교과목은 왜 배우는 것인가? 어떠한 내용이 담겨있으며, 이것은 누구 혹은 무엇의 영향을 받아 어떠한 절차를 거쳐 선정되고 조직되는 것인가? 교육과정은 이러한 질문에 답하 는 교직이론과목 중의 하나다.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 사범대학, 교직이수, 교육대학원 및 교육부장관이 지정하는 대학원 교육과 석사과정을 이수해야 하며, 공통적으로 이수 해야 하는 것이 ‘교직과목’ 22학점이다. 교직과목은 교직이론과 교직소양 및 교육실습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교직이론은 교육학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생활지도 및 상담, 기타교직이론에 관한 과목 중에서 6과목 12학점을 이수해야한다.
이 책은 교원자격증 취득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교사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교육기관에서 아동·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하는 종사자들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무엇을 배워야 할 것인가?’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교육과정이 무엇이고 어떠한 형태가 있는지,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철학과 이론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본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 교육목표의 설정과 진술,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교육과정 설계 및 평가를 다루며 교과서와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해 논의한다. 각 장별로 읽을거리를 수록하여 호기심을 유발하고 사고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하였으며,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QR코드로 방대한 정보를 수록할 지면을 대신하였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요구하는 필수적인 교육과정 지식을 수록하였다. 가령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라는 원리제시에 그치지 않고 성취기준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석하는 것인지를 상세히 소개하였다. 모쪼록 이 작은 서적이 교사의 꿈을 꾸고, 학습자가 성장·발전하는 가르침을 실현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유익한 경험이 되길 바란다.

2021년 2월
소복소복한 한 해를 시작하며
조인숙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4

교재 이용법 6

목차 8

제0강 기질파악과 학습전략 수립
1. 기질검사
2. 검사결과 해석
제1강 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
1. 교육과 교육과정
2. 교육과정의 개념
3. 교육과정의 유형
제2강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교육철학
2. 교육과정의 철학적 관점
3. 교육법규
제3강 교육과정의 변화
1. 교육과정의 변화
2. 한국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3. 미래 교육과정
제4강 교육과정 개발모형
1.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2. 교육과정 개발모형
3. 교육과정 관점 및 이론
제5강 교육과정 목표의 설정과 진술
1.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을 위한 상황분석과 요구사정
2. 교육과정 목표설정의 기초자원
3. 교육목표 설정의 원리와 절차
4. 교육목표 진술 및 분류
제6강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 및 조직
1.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
2. 교육내용의 선정 원리
3. 교육내용의 조직
제7강 교육과정 설계
1. 교육과정 설계의 유형
2. 백워드 단원 설계
3. 수업설계 사례
제8강 교육과정 실행
1.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
2.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 및 원리
3.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9강 교육과정 평가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및 목적
2. 교육과정 평가 모형
3. 과정중심평가
제10강 교과서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
1. 교과서의 이해
2. 교육과정 재구성
3.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제

찾아보기 28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