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국제 바칼로레아 도입과 실행 : 글로벌 사례에서 배운다 (Loan 1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岩崎久美子, 편 장민주, 역 石村清則, 저 錦織嘉子, 저 奥出桂子, 저 吉田孝, 저 黄丹青, 저 大和洋子, 저 橋本八重子, 저 金藤ふゆ子, 저 坪谷ニュウェル郁子, 저 相良憲昭, 저
Title Statement
국제 바칼로레아 도입과 실행 : 글로벌 사례에서 배운다 / 이와사키 구미코 엮음 ; 장민주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교육을바꾸는사람들,   2020  
Physical Medium
549 p. : 삽화, 도표 ; 23 cm
Varied Title
国際バカロレアの挑戦 : グロ-バル時代の世界標準プログラム
ISBN
9791196744625
General Note
IB = International Baccalaureate  
저자: 이시무라 기요노리(石村清則), 니시고리 요시코(錦織嘉子), 오쿠데 게이코(奥出桂子), 요시다 다카시(吉田孝), 黄丹青, 야마토 요코(大和洋子), 하시모토 야에코(橋本八重子), 가네후지 후유코(金藤ふゆ子), 쓰보야 뉴웰 이쿠코(坪谷ニュウェル郁子), 사가라 노리아키(相良憲昭)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530-548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4302
005 20210319141749
007 ta
008 210318s2020 ulkad b 000c kor
020 ▼a 9791196744625 ▼g 93370
035 ▼a (KERIS)BIB000015539013
040 ▼a 211044 ▼c 211044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373.1262 ▼2 23
085 ▼a 373.1262 ▼2 DDCK
090 ▼a 373.1262 ▼b 2020
245 0 0 ▼a 국제 바칼로레아 도입과 실행 : ▼b 글로벌 사례에서 배운다 / ▼d 이와사키 구미코 엮음 ; ▼e 장민주 옮김
246 1 9 ▼a 国際バカロレアの挑戦 : ▼b グロ-バル時代の世界標準プログラム
246 3 ▼a Kokusai bakarorea no chosen : ▼b gurobaru jidai no sekai hyojun puroguramu
260 ▼a 서울 : ▼b 교육을바꾸는사람들, ▼c 2020
300 ▼a 549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0 ▼a IB = International Baccalaureate
500 ▼a 저자: 이시무라 기요노리(石村清則), 니시고리 요시코(錦織嘉子), 오쿠데 게이코(奥出桂子), 요시다 다카시(吉田孝), 黄丹青, 야마토 요코(大和洋子), 하시모토 야에코(橋本八重子), 가네후지 후유코(金藤ふゆ子), 쓰보야 뉴웰 이쿠코(坪谷ニュウェル郁子), 사가라 노리아키(相良憲昭)
504 ▼a 참고문헌: p. 530-548
700 1 ▼a 岩崎久美子, ▼e
700 1 ▼a 장민주, ▼e
700 1 ▼a 石村清則, ▼e
700 1 ▼a 錦織嘉子, ▼e
700 1 ▼a 奥出桂子, ▼e
700 1 ▼a 吉田孝, ▼e
700 1 ▼a 黄丹青, ▼e
700 1 ▼a 大和洋子, ▼e
700 1 ▼a 橋本八重子, ▼e
700 1 ▼a 金藤ふゆ子, ▼e
700 1 ▼a 坪谷ニュウェル郁子, ▼e
700 1 ▼a 相良憲昭, ▼e
900 1 0 ▼a 이와사키 구미코, ▼e
900 1 0 ▼a Iwasaki, Kumiko, ▼e
900 1 0 ▼a 이시무라 기요노리, ▼e
900 1 0 ▼a Ishimura, Kiyonori, ▼e
900 1 0 ▼a 니시고리 요시코, ▼e
900 1 0 ▼a Nishigori, Yoshiko, ▼e
900 1 0 ▼a 오쿠데 게이코, ▼e
900 1 0 ▼a Okude, Keiko, ▼e
900 1 0 ▼a 요시다 다카시, ▼e
900 1 0 ▼a Yoshida, Takashi, ▼e
900 1 0 ▼a Huang, Danqing, ▼e
900 1 0 ▼a 야마토 요코, ▼e
900 1 0 ▼a Yamato, Yōko, ▼e
900 1 0 ▼a 하시모토 야에코, ▼e
900 1 0 ▼a Hashimoto, Yaeko, ▼e
900 1 0 ▼a 가네후지 후유코, ▼e
900 1 0 ▼a Kanefuji, Fuyuko, ▼e
900 1 0 ▼a 쓰보야 뉴웰 이쿠코, ▼e
900 1 0 ▼a Tsuboya Newell, Ikuko, ▼e
900 1 0 ▼a 사가라 노리아키, ▼e
900 1 0 ▼a Sagara, Noriaki,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3.1262 2020 Accession No. 11184578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2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3.1262 2020 Accession No. 11187951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14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육을바꾸는사람들>의 IB 관련서 『국제바칼로레아의 모든 것- 왜 세계는 IB에 주목하는가』에 이어 두 번째 도서 『국제바칼로레아 도입과 실행- 글로벌 사례에서 배운다』가 나왔다. 첫 책 『국제바칼로레아의 모든 것』이 IB에 대한 개론서였다면, 『국제바칼로레아 도입과 실행』은 IB 도입의 노하우를 망라한 ‘실전 교과서’라 할 수 있다. 1999년부터 IB 전문가 11명이 현장에서 발로 뛴 20년 연구결과를 집대성했다. 이 책은 IB를 공립학교에 도입한 글로벌 사례, IB의 구체적인 수업과 평가방식, IB를 경험한 교사·학부모·학생의 생생한 육성인터뷰를 통해 IB란 무엇이며, IB 도입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다각도로 심층 분석한다.

IB는 과연 공교육을 부활시킬 최적의 프로그램인가. 공교육 현장에 IB를 도입한다면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할까. 초·중·고 프로그램 중에서 어느 단계의 프로그램을 우선 도입하는 것이 좋을까. 나라마다 상황은 다르지만 책에 실린 영국, 미국, 독일, 중국, 홍콩, 일본의 선례들이 위 질문에 대한 힌트를 줄 것이다. 도입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비결 또한 곳곳에 숨어 있다. IB의 도입 여부를 비롯해 발생 가능한 여러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게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들에겐 커다란 이점이 될 수 있다. 이 책이 그 후발주자 효과를 담보할 정보와 식견을 제공할 것이다. IB의 도입과 실행에 관심 있는 교육자에게 이 책을 필독서로 강력히 추천하는 이유이다.

공교육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IB
교육전문가들이 극찬하는 IB의 속살을 전격 해부한다!


많은 교육전문가들이 공교육 부활의 해법을 ‘IB’에서 찾는 이유는 세 가지 키워드 때문이다. 바로 ‘전인교육’, ‘평생교육’, ‘국제이해교육’이다. IB는 “지식 편향에 빠지지 않은 균형 잡힌 전방위 학습(전인교육), 학교를 마친 후에도 평생 학습의욕을 갖고 인생을 풍요롭게 만들어가는 학습(평생교육), 타문화와 타자에 대한 이해력을 키우는 학습(국제이해)”을 목표로 한다.
기본적으로 IB의 수업은 학생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가지고 교실에서 동료 학생들과 토론하는 방식이다. 수업의 전(全) 과정, 즉 수업태도, 과제물, 논술, 구두시험까지 포함해 국제바칼로레아기구(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IBO)의 엄격한 기준 아래 절대평가가 이루어진다. 거꾸로학습(flipped learning),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 슬로 리딩(slow reading) 등 이른바 주입식 교육의 대안으로 거론되는 최신 교육법들이 IB 프로그램 속에 총체적으로 녹아 있다고 할 수 있다.
IB를 경험한 학생과 교사들은 IB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과 자기주도적으로 인생을 꾸려가는 힘이 생겼다고 증언한다. 저자 역시 맺음말에서 “고령화와 더불어 학교와 대학을 졸업한 이후의 시간이 길어지고, 또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이 고용의 유지와 확보에 필수적인” 현 시대에 IB는 “평생에 걸친 학습자로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주장한다.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순간 누구나 무한지식을 얻을 수 있는 지금, 나의 진짜 재산은 그 지식에서 추출해낸 나만의 지혜와 가치뿐이다. 그런 관점에서 ‘스스로 생각하는 힘’이야말로 평균수명 100세 플러스알파 시대를 살아갈 아이에게 물려줄 수 있는 가장 든든한 ‘빽’이 아닐까.


교사와 학생이 함께 성장하는 프로그램
경험자(교사/학부모/학생)가 말하는 IB의 실체


책에는 IB 수강자들의 체험담과 IB 교사들의 인터뷰 등 귀한 자료가 망라돼 있다. 실제 경험해본 사람이 들려주는 생생한 육성 증언은 IB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더없이 값진 기회다.
우선 전 세계에서 IB를 가르치는 일본인교사 49명의 심층 인터뷰가 실려 있다. 또 IBDP(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고등학교프로그램)를 수료한 학생들의 이수 당시 3년 연속 인터뷰는 물론 10년 후까지 추적 조사해 다양한 이야기를 수집했다. 그리고 IB를 직접 경험한 학부모의 논고까지 실려 있어서 서로 다른 3자의 시선을 통해 IB를 다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00인 100색의 교육현장에 100퍼센트 완벽한 제도란 존재할 수 없다. IB도 예외는 아니다. 교사, 학생, 학부모들은 직접 경험한 당사자로서 IB의 장점은 물론 단점까지 적나라하게 쏟아낸다. 그런데 그들이 일관적이고 공통되게 증언하는 내용이 있다. IB 교실에선 교사와 학생 간의 신뢰도가 무척 높다는 점, 그리고 함께 공부하는 학생들의 사이가 돈독하다는 점이다. 서로를 경쟁자로서 견제하기보다는 학습을 도와주는 동료로서 대하는 것이다. 교사들의 인터뷰를 보면, 일은 고되지만 교사로서의 만족감과 자존감이 매우 높다는 걸 알 수 있다. 무엇보다 IB를 통해 ‘학생과 함께 성장해갈 수 있다’는 점에서 무척 보람 있다고 한목소리로 말한다. 교권이 땅에 떨어지고, 급우들끼리 경쟁해야 하는 일반적인 한국의 교실과 비교하면 딴 세상 이야기 같다.


IB 도입, 이것만은 알고 하자
선진국 공립학교들의 선례에서 배우기


IB는 과연 공교육을 부활시킬 최적의 프로그램인가. 다른 대안은 없는가. 공교육 현장에 IB를 도입한다면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할까. 초·중·고 프로그램 중에서 어느 단계의 프로그램을 우선 도입하는 것이 좋을까. 나라마다 학교들이 처한 조건과 상황은 다르지만, 책에 실린 영국, 미국, 독일, 중국(본토), 홍콩, 일본의 선례들이 이 질문들에 대한 힌트를 줄 수 있을 듯하다.
일본은 2018년까지 IB인정학교 200개를 목표로 국가 차원에서 적극 나섰지만 여러 이유로 난항을 겪고 있다. 그 와중에 일본의 도쿄도와 삿포로시 공립학교 두 곳의 IDBP 도입 과정을 준비 단계부터 상세히 정리한 부분은 사례연구의 훌륭한 자료가 된다.
미국은 IBDP 인정학교 중 공립학교가 차지하는 비율이 2017년 당시 87.1퍼센트에 이를 정도로 IB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 다만, “난이도 높은 커리큘럼이라서 성적 우수자들이 모여 있는 교내의 일부 상위권 클래스에서만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영국의 경우 IB 공립학교 수는 국가 차원의 대대적인 지원이 이루어진 노동당 집권 하에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줄고 있다. 정권이 바뀌면서 재정지원이 끊긴 결과 경비문제가 발목을 잡은 것이다.
현재의 공교육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에 이견은 없을 것이다. 물론 그 대안이 IB가 될 수 있는지는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 IB의 도입 여부를 비롯해 발생 가능한 여러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게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들에겐 커다란 이점이 될 수 있다. 바로 이 책이 그 후발주자 효과를 담보할 알찬 정보와 깊이 있는 식견을 제공할 것이다.


저자 소개

이시무라 기요노리(石村淸則)
파리국제대학 IB 일본어교론

니시고리 요시코(錦織嘉子)
분쿄대학 생활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오쿠데 게이코(奥出桂子)
케이국제학교도쿄 대학진학 카운슬러

요시다 다카시(吉田孝)
뒤셀도르프국제학교 IB 일본어교사

황 단청(黃 丹青)
목백대학 외국어학부 교수

야마토 요코(大和洋子)
아오야마학원대학 국제정치경제학부 강사

하시모토 야에코(橋本八重子)
전 암스테르담국제학교 IB 일본어교사

가네후지 후유코(金藤ふゆ子)
분쿄대학 인간과학부 교수

쓰보야 뉴웰 이쿠코(坪谷ニューウェル都子)
도쿄국제학교 창립자/이사장, IB 일본대사

사가라 노리아키(相良憲昭)
전 교토노트르담여자대학 학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와사키 구미코(엮은이)

방송대학 교양학부 교수

장민주(옮긴이)

나고야대학 정보문화학부를 졸업하고 출판사에서 여러 해 동안 기획편집 일을 했다. 옮긴 책으로 《엄마가 돌아가셨을 때 그 유골을 먹고 싶었다》 《철학이라 할 만한 것》 《착한 집에 살다》 《채소 한 그릇》 《가족의 나라》 《슬로 리딩》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4

1장 IB(국제바칼로레아)의 개요

1 국제바칼로레아의 개요 21

머리말 21
1. IB커리큘럼 22
2. 일본어ㆍ일본문학의 교육내용 31
3. 일본어ㆍ일본문학으로 살펴보는 평가방법 37
맺음말 46

2장 외국 공립학교들의 IB 도입 시도

2-1 영국: 공립학교의 교육개혁과 IBDP의 도입 49
머리말 49
1. 영국 공립학교의 IBDP 도입과 사회적 배경 50
2. 영국의 IBDP 도입 상황 55
3. 공립학교의 IBDP 도입 상황: 켄트 주의 사례 65
맺음말: 공립학교의 IBDP 운영에 따른 과제와 향후 전망 80

2-2 미국: 공립교육의 질적 보장에 대해 83
머리말 83
1. 미국 교육제도의 개요 84
2. IB 도입의 목적 89
3. 경비 92
4. 교원 채용방법 및 연수 93
5. 학생, 학부모 95
6. IB마그넷프로그램(IB준비과정)의 예 98
맺음말: 과제와 향후 전망 104

2-3 독일: 유럽화에 대비해 106
머리말: 독일 교육제도의 특징 106
1. 독일의 IBDP 108
2. IBDP 도입의 목적: 괴테슐레의 사례 117
맺음말: 과제와 향후 전망 127

2-4 중국: 서구(西歐)대학 진학 붐에 대비해 129
머리말 129
1. IB 도입 학교의 확산과 그 배경 130
2. 국제학교와 현지 학교 국제부 133
3. 교육의 글로벌화와 정책에 따른 촉진 135
4. IB 도입과 관련된 제반 요인 141
5. IB 도입의 목표와 졸업생의 진로 151
맺음말 157

2-5 홍콩: 왜 공립학교에서 IBDP를 도입하지 않는가 159
머리말 159
1. 홍콩의 역사적 배경 및 국제학교의 수요 160
2. 홍콩의 교육에 대한 개관 162
3. 홍콩의 IB학교 171
4. 왜 국제학교와 IB학교의 수요가 커지는가 179
맺음말: IBO와 공동으로 리더십 연구과정 개강 181

2-6 일본: 글로벌화와 커리큘럼 개혁 183
머리말 183
1. 공립학교의 IB 도입 188
2. 글로벌화: 도쿄도립국제고등학교 192
3. 커리큘럼 개혁: 시립삿포로가이세중등교육학교 196
맺음말 203

2-7 IB 도입의 국가별 비교 204
머리말 204
1. IB의 발족 205
2. IB의 확대 211
3. IB의 도입과 관련한 각국의 움직임 215
맺음말 220

3장 IB를 가르치는 일본인교사

3-1 일본인교사의 실태 225
머리말 225
1. 조사자의 속성 226
2. IB 일본인교사의 경력 237
3. 수업, 연수에 대해 242
4. 바라는 점 252
5. 일본의 교육, 입시제도, 학교 전반에 대해 257
맺음말 261

3-2 일본인교사로서의 보람과 스트레스 262
머리말 262
1. IB 일본인교사의 직무에 대한 긍정적 의식:
일본 공립초등학교 교원과의 비교 263
2. IB 일본인교사의 직무에 대한 부정적 의식:
일본 공립초등학교 교원과의 비교 266
3. IB 일본인교사와 일본 공립초등학교 교원의 직무상 의식구조 270
4. IB 일본인교사의 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검토 272
맺음말 274

3-3 일본인교사에 대한 조사 결과의 고찰 277
머리말 277
1. 일본인교사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278
2. 일본의 국어교육과 무엇이 다른가 280
3. 조사 개요 283
맺음말 289

3-자료 IB 교원 조사 결과 291
IB를 가르치는 일본인교사에 관한 조사(협력 의뢰) 291
IB를 가르치는 일본인교사에 관한 조사(집계표) 292

4장 IB 수강자의 그 후

4-1 수강자 조사 - IBDP 수강 전부터 졸업까지 367
1. 조사 목적 367
2. 조사 방법 368
3. 조사 결과 373
4. IB교육의 특징 396

4-2 학부모들이 본 IB교육 401
머리말 401
1. IB 이수 상황과 그 후: IB점수가 만점인 사례 402
2. IB 이수 상황과 그 후: 필자의 딸의 경우 405
3. CAS(창조성ㆍ활동ㆍ봉사)의 의의와 그 실태에 대해 408
4. TOK(지식론)는 무엇인가 410
5. EE(과제논문)는 무엇인가 411
6. 왜 IBDP를 선택했고, 무엇을 배웠는가 413
7. IB 교원의 중요성 415
결론을 대신해 418

4-3 IB 졸업생의 사회진출 조사 420
1. 졸업생의 사회진출에 대한 조사의 목적 421
2. 조사 방법 421
3. 조사 결과 424
4. 졸업생은 어떤 인생을 지향하는가 490

5장 일본의 글로벌화를 위해

5-1 IB 정책 추진 관계자의 목소리 495
1. 고교시절의 체험 496
2. 미국에서의 대학생활과 창업 497
3. 두 개의 학교를 세우다 499
4. 아시아태평양지구의 위원으로 501
5. IB의 미래를 향해 503

5-2 교육의 국내성과 국제성 506
1. 머리말: 교육이란 무엇인가 506
2. 교육의 주체 507
3. 학교의 설립자 508
4. 학교교육의 목적 509
5. 좋은 국민 510
6. 가치관의 계승으로서의 교육 511
7. 언어교육 512
8. 역사교육 514
9. 국내교육에서 국제교육으로 515
10. 글로벌 이슈 516
11. ‘문명의 충돌’과 교육 518
12. 국가사회의 다양화 519

IB 용어 해설 523
맺음말 527
주석 및 참고문헌 530
저자소개 54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용정중학교. 용정 20년사 편찬위원회 (2023)
마산용마고등학교. 백년사 편찬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