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3812 | |
005 | 20230314101528 | |
007 | ta | |
008 | 210315s2020 ulkag 000c kor | |
020 | ▼a 9791166840067 ▼g 9336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8.519 ▼a 951.903 ▼2 23 |
085 | ▼a 378.53 ▼2 DDCK | |
090 | ▼a 378.53 ▼b 2020z2 | |
245 | 0 0 | ▼a 1919년 보성전문, 시대·사회·문화 : ▼b 1919년 3·1운동의 원천 보성전문(普成專門), 그 역사를 학문으로 조망하고 음악으로 새기다 / ▼d 명순구 [외] |
246 | 3 | ▼a 1919년 3·1운동의 원천 보성전문, 그 역사를 학문으로 조망하고 음악으로 새기다 |
260 | ▼a 서울 : ▼b 세창출판사, ▼c 2020 | |
300 | ▼a 396 p. : ▼b 삽화, 악보 ; ▼c 23 cm | |
490 | 1 0 | ▼a 고려대학교 파안연구총서 공감 ; ▼v 03 |
500 | ▼a 공저자: 구자훈, 김성철, 김자중, 류성룡, 민경찬, 배종석, 신지영, 이신화, 장영수, 한민섭, 한용진 | |
536 | ▼a 파안연구총서는 명위진 회장이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 기부하여 조성된 파안연구기금을 재원으로 함 | |
700 | 1 | ▼a 명순구, ▼g 明淳龜, ▼d 1962-, ▼e 저 ▼0 AUTH(211009)16984 |
700 | 1 | ▼a 구자훈, ▼g 具貲訓, ▼e 저 ▼0 AUTH(211009)33107 |
700 | 1 | ▼a 김성철, ▼g 金成鐵, ▼d 1964-, ▼e 저 ▼0 AUTH(211009)93247 |
700 | 1 | ▼a 김자중, ▼g 金慈中, ▼d 1982-, ▼e 저 ▼0 AUTH(211009)74636 |
700 | 1 | ▼a 류성룡, ▼g 柳成龍, ▼d 1966-, ▼e 저 ▼0 AUTH(211009)149996 |
700 | 1 | ▼a 민경찬, ▼g 閔庚燦, ▼d 1957-, ▼e 저 ▼0 AUTH(211009)92598 |
700 | 1 | ▼a 배종석, ▼g 裵鍾碩, ▼d 1964-, ▼e 저 ▼0 AUTH(211009)115763 |
700 | 1 | ▼a 신지영, ▼g 辛志英, ▼d 1967-, ▼e 저 ▼0 AUTH(211009)49205 |
700 | 1 | ▼a 이신화, ▼g 李信和, ▼d 1965-, ▼e 저 ▼0 AUTH(211009)141864 |
700 | 1 | ▼a 장영수, ▼g 張永洙, ▼d 1960-, ▼e 저 ▼0 AUTH(211009)62083 |
700 | 1 | ▼a 한민섭, ▼g 韓苠燮, ▼d 1975-, ▼e 저 ▼0 AUTH(211009)137503 |
700 | 1 | ▼a 한용진, ▼g 韓龍震, ▼d 1959-, ▼e 저 ▼0 AUTH(211009)5936 |
830 | 0 | ▼a 고려대학교 파안연구총서 공감 ; ▼v 03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8.53 2020z2 | Accession No. 1118455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8.53 2020z2 | Accession No. 1118455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19년 11월 9일 오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는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회의 및 음악회를 개최했습니다. 주제는 “1919년 보성전문, 시대·사회·문화”였습니다. 부제는 “1919년 3·1운동의 원천 보성전문, 그 자랑스러운 역사를 학문으로 조망하고 음악으로 새기다”였습니다.
독립운동사·사회문화사·국제정치사 등의 시각에서 3·1운동의 의미는 그야말로 묵직한 사건이며, 그 중심부에 보성전문학교가 있었습니다. 보성전문의 역사를 이은 고려대학교가 오늘날 3·1운동을 각별하게 기념해야 할 이유입니다.
학술회의의 주제는 인문·사회과학을 넘어 건축·음악에 이르는 예술 분야까지 확장되어 진행되었습니다. 학술회의의 주된 흐름을 정리하면 대강 이러합니다. 첫째, 3·1운동의 가장 큰 배경으로서 국제정치적 시각을 관찰하고 3·1운동의 원인·결과와 관련하여 헌법 내지 공법적 의미를 검토했습니다. 둘째, 3·1운동 시대 고등교육제도 일반을 검토하고 그 토대 위에서 보성전문학교의 교육체제를 사료를 발굴하면서 관찰했습니다. 셋째, 3·1운동 시대 보성전문에서 이루어진 교육 내용을 법학, 경영·경제학의 분야에서 검토했습니다. 넷째, 3·1운동 시대에서 역사적 의미를 가지는 특별한 분야로서 미디어, 건축, 음악을 선정하여 당시 보성전문이 담당한 각별한 역할을 학술적으로 논증했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신지영(지은이)
언어의 세계를 탐험하며 발견한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는 것을 좋아하는 언어 탐험가다. 언어 탐험가 신지영의 베이스캠프는 고려대학교다. 이 대학의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빛나는 학생들에게 언어의 세계를 탐험하는 즐거움을 가르치고 있다.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한글의 창제 원리를 배운 후, 국어학자가 되겠다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진학하여 공부를 이어간다. 하지만 박사과정 수료 즈음, 돌연 런던으로 가서 말소리의 세계를 더 깊이 있게 탐험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힌다. 런던대학에서 박사를 끝내고 서울로 돌아와서는 음성 공학과 언어병리학의 세계로 탐험의 영역을 확장한다. 궁금하고 흥미롭고 재미있는 일이 너무 많아서 사는 게 늘 신나고 즐거운 사람이며, 좋은 어른들과 성숙한 지음(知音)들 속에서 성장해 온 운이 좋은 사람이다. 천하의 인재를 얻어 가르치는 즐거움을 누리며 반짝이는 제자들과 늘 새로운 공부를 이어갈 수 있는 행복한 학자이기도 하다. 비현실적 존재로 살면서 현실적 존재들을 위해 꿈을 꾸는 것이 인문학자의 소명이라 믿으며 언어의 탐험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려 하는 인문학자다. 꿈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꾸 키워 물려주는 것이라고 믿으며 꿈을 키워 물려주는 꿈을 꾸고 있는 사람이다. 지금까지 쓴 책으로는 『말소리의 이해』, 『한국어의 말소리』, 『The Sounds of Korean』,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 『(조카 현진이와 떠나는 신지영 교수의) 한국어 문법 여행』, 『열려라, 말』, 『한국어 발음 교육의 이론과 실제』, 『말소리 장애』 등이 있다. [학력] - 박사(언어학): University of London 언어학 전공(1997년 8월) - 박사수료(국어학):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1993년 8월) - 석사(국어학):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1991년 2월) - 학사(국어학):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1989년 2월) 주요 교내외 경력 <교내> * 보직: 2015년 3월 ~ 2016년 8월 고려대학교 학생처장 2006년 8월 ~ 2008년 7월 고려대학교 여학생감 겸 양성평등센터장 2001년 10월 ~ 현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음성언어정보연구실장 * 수상: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15회, 우수강의상 2회, 명강의상 1회 수상 <교외> * 대검찰청 과학수사 음성분석 제8기, 제9기 자문위원 (2014년 11월 14일 ~ 2019년 11월 13일) * 서울시 국어바르게쓰기위원회 위원 2018년 9월 1일 ~ 2020년 8월 31일 * 방송심의위원회 방송언어특별위원회 위원 (2011년 10월 21일 ~ 2014년 10월 20일) *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Review Board, 비상근 PM, 2012년 6월 1일 ~ 2015년 5월 31일) * 서울시 정신건강 홍보대사(서울시, 2014년 4월 ~ 현재) * 어문규범 영향평가단 위원(문화체육관광부, 2007. 9 ~ 2009. 9) * MBC 우리말위원회 위원(2003년 - 2009년) 접기
명순구(지은이)
고려대학교 법학사, 법학석사 프랑스 파리제1대학교 법학박사 프랑스 교육문화훈장(팔므아카데믹) 기사장 수훈 민법 등 법률개정위원회 위원 사법·행정·외무고시 등 시험위원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고려대학교 교무처장, 법과대학장, 법학전문대학원장 주요 저서 〈역〉 물권법 제2부(보성전문교과서)(2021) 민법학원론(2015) 전세제도에 관한 새로운 시각(2015) 미술품의 거래법과 세금(2012) 역사와 해설 국민건강보험법(2011) 실록 대한민국민법 1,2,3(2008, 2010) 법의 눈으로 안중근 재판 다시 보기(2010) 국적과 법, 그 기원과 미래(2010) 러시아법입문(2009) 미국계약법입문(2008) 아듀, 물권행위(2006) 세계화지향의 사법: 그 배경과 한국·프랑스의 적응(2006) 법률가의 회계학(2006) 〈역〉 법경제학(2006) 민법총칙(2005) 〈역〉 현대미국신탁법(2005) 미국계약법입문(2004) 프랑스민법전(2004) 민법학기초원리(2002) La rupture du contrat pour inexécution fautive en droit coréen et français(1996)
한용진(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사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에 재직 중이다. 한일비교교육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교육사상과 교육개념사에 관심을 갖고 근대 이래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서구적 교육개념이 한자로 번역되며 일본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 교육개념이 어떻게 단절되거나 변화되는가를 확인하며 교육의 본질에 접근하고자 한다. 주요 논저에 <일본의 지역교육력>(공저, 학지사, 2017) <비교교육학: 접근과 방법>(공역서, 교육과학사, 2017), 한용진, 「관제기(1894-1906) 관립 외국어학교 연구」(<한국교육학연구< 23-1, 2017),한용진,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 관련 용어 분석」(<민족문화연구> 74, 2017),?한용진·조문숙, 「근대 '학교' 개념의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 대한제국기 중학교 개념을 중심으로-」(<한국교육사학< 39-2, 2017), 한용진, 「일본국 군주호칭에 관한 일고」(<한국교육사학> 38-2, 2016)등이 있다.
장영수(지은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법학박사 사법시험 및 변호사시험 출제위원 등 역임 국회 개헌특위, 정치개혁특위 등 자문위원 역임 (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현)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비상임위원 (현) 한국헌법학회, 한국공법학회 자문위원 저서: 민주헌법과 국가질서, 헌법총론, 기본권론, 국가조직론, 헌법학 등
김성철(지은이)
현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이며 미디어산업과 뉴미디어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미디어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SK에서 정보통신분야 신규사업을 담당했고 개방형 직위인 서울특별시 정보시스템담당관을 거쳐 카이스트(구-한국정보통신대학교) IT 경영학부 부학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초빙연구원, 고려대학교 부설 정보문화연구소장, 고려대학교 도서관장,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한국정보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지능정보기술과 사회문제 연구센터와 미디어산업 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급변하는 지능정보사회의 문제와 미디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략과 정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배종석(지은이)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일리노이 대학(UIUC)에서 인사 조직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경영 철학’과 ‘인적 자원 관리’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기독경영연구원 원장(2010-2015)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공동 대표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건강한 교회, 이렇게 세운다』(공저, 한국 IVP), 『기독 경영 JUST ABC』(공저), 『기업이란 무엇인가』(공저, 이상 예영), 『인적 자원론』(홍문사) 등이 있다.
이신화(지은이)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메릴랜드 주립대 국제정치학박사 2021. “Foreign Policy Dilemma in South Korean Democracy.” The New Dynamics of Democracy in South Korea (New York: Routledge) 2021. “미·중 패권경쟁시대 인태 지역의 자유주의 국제질서: 도전과 전망.” 『국제지역연구』
한민섭(지은이)
고려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서명응(徐命膺) 일가의 박학(博學)과 총서(叢書)·유서(類書) 편찬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漢籍室) 고서(古書) 전문사서로 재직 중이다. 옮긴 책으로 《좌소산인문집(左蘇山人文集)》(공역, 2020), 《온계선생 북행록(溫溪先生 北行錄)》(탈초·국역, 2019), 《기백재일기(己百齋日記)》(탈초·국역, 2019), 《식물본초 식치편(食物本草 食治篇)》(공역, 2018), 《식료본초 식치편(食療本草 食治篇)》(공역, 2018) 등이 있다.
구자훈(지은이)
고려대학교(문학박사)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서 전문사서
김자중(지은이)
한국 근현대 고등교육 연구자, 교육자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교육사를 전공하여 2018년, 〈일제 강점기 전문학교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학회로부터 2019년 교육학박사학위논문상을, 2020년 제1회 지식의날개 교육학술콘텐츠상을 수상했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일제 식민지기 고등교육기관의 입시제도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로 박사 후 연수를 했고, 현재는 여러 대학에서 강의하면서 한국 근현대 고등교육사, 구체적으로는 한국 고등교육문제의 역사적 기원을 탐색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1919년 보성전문, 시대·사회·문화》(2020) 등의 책을 함께 썼으며, 〈일제 식민지기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 사례연구: 경성법정학교의 설립과 운영〉(2021), 〈제2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의 고등교육기관 입학시험의 성격〉(2021)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류성룡(지은이)
고려대학교(공학박사)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민경찬(지은이)
동경예술대학교(음악학석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

Table of Contents
머리말·3 3·1운동 시대의 헌법의식과 헌법교육 _장영수 Ⅰ. 문제제기: 일제강점기, 헌법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었나?·15 Ⅱ. 국가가 있으면 헌법도 있다. 그러면 국권을 상실한 경우에는?·18 1. 헌법의 의미와 그 전제로서의 국가·18 2. 일제강점기, 대한제국과 그 헌법은 존속하고 있었나?·21 3. 일제강점기의 한반도에서 일본헌법은 어떤 의미였나?·23 Ⅲ. 3·1운동과 국권회복 노력에서 헌법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었나?·24 1. 3·1운동의 의미와 그 배경·24 2. 민족계몽운동과 법의식, 헌법의식·27 3. 독립운동세력들의 시대의식과 헌법의식·29 Ⅳ.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 및 임시헌법의 제정·30 1.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자기 이해와 1919년 4월 11일의 임시헌장·30 2. 1919년 9월 11일의 임시헌법과 그 의미·32 3. 대한민국임시정부 헌법이 헌법의식에 미친 영향·34 Ⅴ. 3·1운동 시대의 헌법교육·36 1. 일제강점기의 법학교육과 헌법교육·36 2. 헌법에 대한 관심의 부족과 그 파급효·38 3. 해방 이후 헌법전문가의 부족과 유진오 박사의 활약·39 Ⅵ. 맺음: 나라도, 헌법도 준비하는 자에게 길이 열린다·41 3·1운동 전후 고등교육제도 _한용진·김자중 Ⅰ. 들어가며·55 Ⅱ. 3·1운동 이전 근대적 고등교육제도의 부침·58 1. 개화기 조선 정부의 근대적 고등교육제도의 도입·58 2. 1910년대 일제의 차별적·억압적 전문학교제도의 시행·64 Ⅲ. 3·1운동 이후 고등교육정책과 고등교육제도·69 1. 식민지 고등교육정책의 변화·69 2. 사학의 대학 설립과 민립대학설립운동·73 3. 경성제국대학의 설립과 관립전문학교의 증설 억제정책·80 Ⅳ. 맺음말·85 3·1운동 시대 보성전문학교의 교육체계 _명순구·한민섭 Ⅰ. 서 설·88 II. 시대 구분과 핵심 자료·90 1. 시대 구분의 기준·90 2. 핵심 자료: 학칙·91 III. 보성전문의 설립 구도와 현실·93 1. 보성전문의 원설립계획·93 2. 보성전문의 실제 설립 모습·95 3. 교육 목표를 넘어 학문적 비전을 품은 보성전문·97 IV. 보성전문 교육제도의 시대별 비교·101 1. 「학교규칙」(1905)과 「校典一覽」(1915)의 비교·101 2. 「校典一覽」(1915)과 「普成專門學校一覽」(1925)의 비교·112 V. 맺음말·120 3·1운동 100주년에 돌아보는 법학교육 100년 -普成專門學校와 京城專修學校를 중심으로 _명순구 Ⅰ. 서 설·123 Ⅱ. 3·1운동 시대의 법제 및 교육 관련 규범·124 1. 일제강점기 한반도의 법체계·124 2. 3·1운동 시대 교육 관련 법령 체계·127 Ⅲ. 3·1운동 이전 근대 교육기관과 법학교육·138 1. 갑오개혁 이후 학교 설립과 초보적 법학교육 138 2. 전문적 법학교육 기관·141 Ⅳ. 3·1운동 이후 전문 법학교육·157 1. 민립대학 설립운동과 그 좌절·157 2. 사립학교: 보성법률상업학교/보성전문학교·159 3. 관립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160 Ⅴ. 맺음말·164 3·1운동 시대 국제정치적 배경과 한국의 ‘독립외교’ _이신화 Ⅰ. 서 론·166 II. 3·1 운동의 국제정치적 배경·169 1.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169 2. 파리강화회의와 베르사유평화체제·177 3. 만주 무오독립선언서와 동경 2·8 독립선언서·181 III. 3·1 운동의 국제적 의의와 영향·185 IV. 결 론·190 근대기업의 생성과 보성전문의 상학 교육 _배종석 Ⅰ. 들어가며·193 Ⅱ. 3·1운동 시대 전후의 경제상황과 근대적 기업의 등장·196 1. 경제상황·196 2. 근대적 기업의 생성·198 3. 근대적 은행의 등장·207 4. 근대 기업에서의 경영활동·211 Ⅲ. 보성전문학교와 상학·216 1. 학교와 학과의 명칭·216 2. 학생의 입학과 졸업·223 3. 교수 및 강사·226 4. 교과과정과 교과목·230 5. 상업학 관련 교재·237 6. 상업학 교재의 주요 내용·239 Ⅳ. 보성전문에서의 상업학 교육의 의의·248 1. 일본의 상업학 교육과 보성전문·248 2. 동시대의 미국 경영학 교육·251 3. 보성전문학교의 상업학 교육의 의의·254 3·1운동 시대 출판 미디어 그룹으로서의 보성사와 보성관 그리고 보성전문학교 _ 구자훈· 김성철 I. 시작하며·261 II. 보성사와 보성관의 설립·262 1. 보성사의 설치·263 2. 보성관의 성립·274 3. 전문학교 교과서의 제작과 보성전문·282 III. 마무리·299 3·1 운동 시대 보성전문과 언어 문화 -김기전, 방정환, 박승빈을 중심으로 _신지영 I. 서론: 왜 언어 문화인가?·301 II. 배경: 3·1 운동 시대의 언어 환경·305 1. 한글의 공식 문자 채택 그리고 정서법 확립을 위한 노력·305 2. 한국어 글쓰기를 통한 새로운 문어(글말) 전통의 수립·306 3. 신분제 폐지와 평등·인권 의식의 시작·307 4. 김기전, 방정환, 박승빈에 주목하는 이유·308 III. 생 애·310 1. 김기전·310 2. 방정환·312 3. 박승빈·314 IV. 언어 문화에 끼친 영향·316 1. 언어를 통한 평등 사상의 실현: 경어 사용의 문제·316 2. 방정환이 발굴하고 보급한 ‘어린이’의 의미·325 3. 경칭의 문제 및 2인칭 대명사 사용의 문제: 박승빈·332 V. 마무리하며·335 지도로 보는 3·1운동 시대 종로의 보성전문 _류성룡 1. 보성학교가 표기되지 않은 근대 지도들(1905-1910)·339 2. 1910년 지도에 등장하는 보성학교(普成學校)·342 3. 1914년 수송동(壽松洞) 보성사(普成社)·345 4. 1918년부터 1922년까지 낙원동·348 5. 1922년부터 1933년까지: 송현동(松峴洞) 보성전문학교·351 6. 1934년 종로에서 안암동으로·353 7. 안암정에서 안암동으로: 고려대학교 그리고 Korea University·354 보성전문학교와 음악 -3·1운동 전후 보성전문과 천도교 그리고 음악 _민경찬 1. 들어가는 말·356 2. 천도교와 보성중학을 통해 음악 습득·358 3. 보성전문학교의 노래와 이각종의 창가운동·362 4. 한국동요의 탄생·371 5. 창가 활동·378 6. 인촌 김성수 선생과 창가·379 7. 조지훈의 〈3·1절 기념가〉와 〈선열추모가〉·383 8. 나가는 말·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