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u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3779 | |
005 | 20210316202305 | |
007 | ta | |
008 | 210315s2020 ko 001 eng d | |
020 | ▼a 9791155702123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5666661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327.519 ▼2 23 |
084 | ▼a 327.53 ▼2 DDCK | |
090 | ▼a 327.53 ▼b H251k | |
100 | 1 | ▼a 한승주. |
245 | 1 0 | ▼a Korea triangles 1945-2020 : ▼b treading a tightrope / ▼c essays by Han Sungjoo. |
260 | ▼a Seoul, Korea(South) : ▼b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c 2020. | |
300 | ▼a 155 p. ; ▼c 24 cm. | |
500 | ▼a Includes index. | |
900 | 1 0 | ▼a Han, Sung-joo.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Western Books/ | Call Number 327.53 H251k | Accession No. 11184555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Korea is a country surrounded by powerful and contending neighbors such as China, Japan and Russia. Due to its geopolitical circumstance, it often experienced in its history being caught in a triangular relationship between two other powers such as China and Japan. Toward the end of the 16th century, Korea was invaded by Japan which attempted to use it as a pathway to China.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Korea was a prize that two victors of the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Russia), sought to place it under their influence if not control. Eventually, they agreed to a shared occupation, dividing the country into two halves. Today, seven and a half decades later, Korea (still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has become the focal point of the Sino-American rivalry. The fateful predicament of being the third leg of various triangular relationships has taught Koreans to tread a tightrope of conducting international politics in order to keep their country intact and safe. Sometimes they succeeded, other times they couldn't. This book traces back how Korea has dealt with the challenges and how they will cope in the years ahead.
과거와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과의 삼각관계가 어떻게 변모해왔으며 미래에는 어떤 관계를 형성할지에 관한 통찰을 담고 있다. 한국은 지정학적 특성 때문에 역사적으로 중국, 일본과 같은 강대국 사이에서 삼각관계를 경험해왔다. 16세기 말 일본은 한국을 중국으로 향하는 교두보로 이용하려고 침략을 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승자인 미국과 소련은 한국을 자신들의 영향력하에 두려고 했다. 결국 한국을 두 개의 국가로 나누면서 공유 점령에 동의까지 했다.
반세기가 지난 오늘날 여전히 남북으로 갈라진 한반도는 미·중 경쟁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이렇듯 수 세기 동안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과의 삼각관계는 변모되어 왔다. 저자는 세계대전 이후 75년이 지난 현재까지 한국을 둘러싼 삼각관계가 어떻게 변화되어왔고 한국이 당면한 도전을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를 되짚어주며,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 한국의 현 위치를 더 깊게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Korea is a country surrounded by powerful and contending neighbors such as China, Japan and Russia. Due to its geopolitical circumstance, it often experienced in its history being caught in a triangular relationship between two other powers such as China and Japan. Toward the end of the 16th century, Korea was invaded by Japan which attempted to use it as a pathway to China.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Korea was a prize that two victors of the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Russia), sought to place it under their influence if not control. Eventually, they agreed to a shared occupation, dividing the country into two halves. Today, seven and a half decades later, Korea (still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has become the focal point of the Sino-American rivalry. The fateful predicament of being the third leg of various triangular relationships has taught Koreans to tread a tightrope of conducting international politics in order to keep their country intact and safe. Sometimes they succeeded, other times they couldn't. This book traces back how Korea has dealt with the challenges and how they will cope in the years ahead.
KOREA TRIANGLES, 1945-2020는 과거와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과의 삼각관계가 어떻게 변모해왔으며 미래에는 어떤 관계를 형성할지에 관한 통찰을 담고 있다. 한국은 지정학적 특성 때문에 역사적으로 중국, 일본과 같은 강대국 사이에서 삼각관계를 경험해왔다. 16세기 말 일본은 한국을 중국으로 향하는 교두보로 이용하려고 침략을 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승자인 미국과 소련은 한국을 자신들의 영향력하에 두려고 했다. 결국 한국을 두 개의 국가로 나누면서 공유 점령에 동의까지 했다. 반세기가 지난 오늘날 여전히 남북으로 갈라진 한반도는 미·중 경쟁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이렇듯 수 세기 동안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과의 삼각관계는 변모되어 왔다. 저자는 세계대전 이후 75년이 지난 현재까지 한국을 둘러싼 삼각관계가 어떻게 변화되어왔고 한국이 당면한 도전을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를 되짚어주며,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 한국의 현 위치를 더 깊게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외무부 장관 재임 시절 1차 북핵 위기를 경험한 저자는 한반도를 둘러싼 치열한 국제정세의 흐름 속에서 외교 현장을 직접 체험한 외교관이자 학자이다. 저자는 외교 일선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1980년부터 2020년까지 약 40년간 강연, 기고, 기조 연설 등을 하며 작성한 글을 모아 이번에 직접 책으로 출간했다. 저서에는 각 시대 상황 속에서 한국을 둘러싼 삼각관계 요소와 형태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국제정치 및 외교의 주요 이슈까지 담겨있다. 시대를 뛰어넘어 책을 관통하는 하나의 주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한국이라는 나라가 주변 강대국들과 벌이고 있는 삼각관계라는 팽팽한 밧줄 위를 아슬아슬하지만 끝까지 걸어가는 모습이다. 저자는 그간 한국이 딛고 있던 밧줄 위의 외교사를 돌아보며 향후 격변하는 시대에 우리가 누구와 어디로 걸어가야 할지를 고민하게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한승주(지은이)
현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전직으로는 외무부 장관(1993-94), UN 사무총장 특별 대표(사이프러스 담당, 1996-97), UN르완다 인종학살 조사위원(1999), 주미대사(2003-2005), 재단법인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를 졸업(1962)하고 UC Berkeley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1970)를 취득하였다. 고려대학교에 재직하기 이전에 뉴욕시립대학교 부교수(1970-78)로 재직하였으며, 미 콜럼비아대 초빙교수 겸 록펠러형제기금 명예연구원(1986-87), 스탠포드 대학교 교환교수(1992, 1995)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Korean Diplomacy in an Era of Globalization》(1995), 《Korea in a Changing World》(1995), 《Changing Values in Asia》(1999), 《남과 북 그리고 세계》(2000), 《외교의 길》(2017), 《ON THE BRINK(A Korean Diplomat’s Journey for Peace)》(2018), 《한국에 외교가 있는가》(2000)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Acknowledgements Preface | Chapter 1 | The Emerging Triangle I: Korea and China in Historical Perspective Early China-Korea Relations Consequences of the Korean War (1950-53) The Road to Normalization China and South Korea: Approaching a New Century China-Korea Relations and the Other Major Powers Some Concluding Observations | Chapter 2 | The Emerging Triangle II: The U.S.-Korea Relations The Early Decades: A Slow Start Post-Independence Relationship South Korean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in the Post-Korean War Period South Korea-United States Relations in the 1960s Bilateral Relations in the 1960s Korean Reaction to Carter Troop Withdrawal Plan Korea-U.S. Relations in the Post-Park Period Korea and the Carter Administration The Reagan Administration’s Korea Policy The North Korea Question Future Perspective Conclusion | Chapter 3 | The Emerging Triangle III: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North Korean Policy Toward the United States and Nuclear Weapons Nineteen Months: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of 1993-94 Fast Forward, 2020 North Korea, Today The Korea Focus: The Influence of the Major Powers A New Triangle Takes Shape: Korean Attitudes Toward the U.S. and the PRC The Unification Question Conclusion | Chapter 4 | An Uneasy Triangle: Korea Between China and Japan The Geopolitical Situation in Northeast Asia Korea’s Role in China-Japan-Korea Triangle The Northeast Asia Triangle and North Korean Nuclear Issue Rise of China and Resurgent Nationalism in Northeast Asia | Chapter 5 | Division Management and Unification: Korea vs. Germany Status of Inter-Korea Relations Possibility for Duplication? Persuading Major Powers China’s Interests and Reasons for Its Stance Conclusion | Chapter 6 | A Grand Strategy for South Korea? The Regional Landscape: South Korea and the Major Powers Strategic Choices Conclusion Afterword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