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세계를 흥 넘치게 하라 : 세계를 놀라게 한 한국 문화의 힘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최준식
Title Statement
세계를 흥 넘치게 하라 : 세계를 놀라게 한 한국 문화의 힘 / 최준식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샘터,   2021  
Physical Medium
243 p. : 천연색삽화 ; 20 cm
Series Statement
다음 세대를 생각하는 인문교양 시리즈 아우름 ;48
ISBN
9788946421769 9788946418851 (세트)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3663
005 20210312110850
007 ta
008 210312s2021 ulka 000c kor
020 ▼a 9788946421769 ▼g 04080
020 1 ▼a 9788946418851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01.3 ▼a 306.09519 ▼2 23
085 ▼a 001.3 ▼2 DDCK
090 ▼a 001.3 ▼b 2014z23 ▼c 48
100 1 ▼a 최준식
245 1 0 ▼a 세계를 흥 넘치게 하라 : ▼b 세계를 놀라게 한 한국 문화의 힘 / ▼d 최준식 지음
260 ▼a 서울 : ▼b 샘터, ▼c 2021
300 ▼a 243 p. : ▼b 천연색삽화 ; ▼c 20 cm
490 1 0 ▼a 다음 세대를 생각하는 인문교양 시리즈 아우름 ; ▼v 48
830 0 ▼a 아우름 ; ▼v 48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1.3 2014z23 48 Accession No. 1118453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각계 명사에게 '다음 세대에 꼭 전하고 싶은 한 가지'가 무엇인지 묻고 그 답을 담는 인문교양 시리즈 '아우름'의 마흔여덟 번째 주제는 '한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한국 문화'이다.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더욱 긍정적인 것은 단순히 서구 문화의 모방에 그치는 작품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문화에 기반을 둔 작품들이 세계인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방탄소년단 슈가는 한국의 전통 음악인 대취타를 샘플링하여 만든 노래로 50개국 음악 차트에서 1위에 올랐고, 블랙핑크는 뮤직비디오에서 한복을 입은 모습으로 세계인의 관심을 끌었다. 그런가 하면 퓨전 사극 드라마 [킹덤]의 영향으로 갓이 서구인들에게 인기를 얻기도 했다.

그런데 정작 우리는 한국 문화에 대해 잘 모르고 있으며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 서구 문화를 세련된 것으로, 우리 문화를 촌스러운 것으로 생각하거나 더 나아가 열등감이나 패배감을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한국은 인류가 같이 보호해야 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 순위로 세계 4위이다. 인류의 4대 문명 발상지인 중국마저 따돌렸다.

이 같은 사실은 한국이 지난 역사 동안 세계적인 문화 국가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책은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오류를 바로잡고, 한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한국 문화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한류의 성공 요인과 미래의 한류에 대해서도 생각해 본다.

“다음 세대에 전하고 싶은 한 가지는 무엇입니까?”

다음 세대가 묻다
“국제화 시대에 한국 문화를 반드시 알아야 할까요?”

최준식이 답하다
“한국 문화를 아는 것은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해 줄 뿐 아니라 다른 나라의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되어 진정한 세계인으로 거듭날 수 있게 해줍니다.”


각계 명사에게 ‘다음 세대에 꼭 전하고 싶은 한 가지’가 무엇인지 묻고 그 답을 담는 인문교양 시리즈 ‘아우름’의 마흔여덟 번째 주제는 ‘한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한국 문화’이다.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더욱 긍정적인 것은 단순히 서구 문화의 모방에 그치는 작품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문화에 기반을 둔 작품들이 세계인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방탄소년단 슈가는 한국의 전통 음악인 대취타를 샘플링하여 만든 노래로 50개국 음악 차트에서 1위에 올랐고, 블랙핑크는 뮤직비디오에서 한복을 입은 모습으로 세계인의 관심을 끌었다. 그런가 하면 퓨전 사극 드라마 <킹덤>의 영향으로 갓이 서구인들에게 인기를 얻기도 했다.

그런데 정작 우리는 한국 문화에 대해 잘 모르고 있으며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 서구 문화를 세련된 것으로, 우리 문화를 촌스러운 것으로 생각하거나 더 나아가 열등감이나 패배감을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한국은 인류가 같이 보호해야 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 순위로 세계 4위이다. 인류의 4대 문명 발상지인 중국마저 따돌렸다. 이 같은 사실은 한국이 지난 역사 동안 세계적인 문화 국가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책은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오류를 바로잡고, 한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한국 문화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한류의 성공 요인과 미래의 한류에 대해서도 생각해 본다.

스스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한국 문화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한국인


한류가 전 세계로 퍼져 나가면서 세계인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또한 부쩍 늘었다. 한국 문화를 직접 경험하고 한국어를 공부하기 위해 수많은 외국인이 한국을 찾고 있다. 그런데 한글이 왜 가장 과학적인 문자인지, 금속활자의 최초 발명국이 왜 한국인지, 대취타가 어떤 음악인지, 한식의 특징은 무엇인지 등 한국 문화에 관해 질문하는 외국인에게 제대로 답할 수 있는 한국인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한국 문화에 대한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를 접할 길이 없을뿐더러, 한국인 스스로도 한국 문화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는 생각에 더 알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인이 한국 문화를 제대로 알아야 하는 이유는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정립하게 되어 우리가 현재 살아가고 있는 한국 사회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고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낯선 외국의 문화를 접할 때에도 한국 문화가 기준 문화가 되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국제화 시대에 걸맞은 진정한 세계인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자국의 문화를 제대로 알아야 하는 것이다.

전 세계를 놀라게 한 한류의 원천은
오랜 역사 동안 이어온 세계적 수준의 한국 문화


1장과 2장에서는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것을 바로잡는다.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강대국 사이에 끼여 있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아직도 다수의 한국인이 한국을 동방에 위치한 힘없는 작은 나라로 생각하며 불필요한 열등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릇된 국가관 혹은 문화관을 바로잡기 위해 영토, 인구, 언어, 경제, 정치 등의 측면에서 현재 한국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객관적 수치를 통해 확인한다. 또한 한국인의 겉모습과 내면세계를 살펴 한국인은 과연 어떤 사람인지 알아본다.

3장부터 본격적으로 한국이라는 나라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인 측면을 살펴본다. 먼저 한국 역사의 흐름에 따라 한국인이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하는 한국 문화를 정리한다. 아슐리안형 돌도끼와 고인돌로 대표되는 선사 시대부터 가장 과학적인 글자인 한글을 창제하고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 다수의 세계기록유산을 만들어낸 조선 시대까지 한국의 문화유산을 살피다 보면, 한국이 오랜 역사 동안 높은 문화와 기술을 보유한 문화 선진국이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4장과 5장에서는 현대 한국의 문화에 대해 한류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21세기에 들어 전 세계적으로 한국이 차지하는 문화적 위상이 달라졌다. 드라마 〈대장금〉이 아시아를 넘어 아랍과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에서 엄청난 인기몰이를 했고, 싸이가 빌보드 차트 2위에 오르더니 결국 방탄소년단이 빌보드 차트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또한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고 권위인 작품상을 비롯해 4개 부문을 석권했다. 이러한 한류 현상이 일어날 수 있었던 요인을 알아보고, 한식, 화장품, 성형 등 미래의 한류에 대해서도 생각해 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여는 글
한국인이 한국 문화를 알아야 할 이유에 대하여
- 한국인과 한국 문화에 대한 오해와 진실

1장. 한국은 어떤 나라인가?
한국은 작은 나라다?
한국인은 소수 민족?
한국은 여전히 개발도상국가?
한국은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했다?
과거에 한국이 선진국일 수밖에 없는 증좌들
한국은 경제 성장과 더불어 민주주의도 실현한 나라
조선은 뛰어난 정치 문화를 가졌다!

2장. 한국인은 누구인가?
한국인은 무슨 인종에 속할까?
한국의 사회 문화는 개인주의가 아닌 집단주의 문화
유교에서 영향받은 한국의 사회 문화 - 혈연주의 문화의 탄생
나이로 아래위를 구분하는 한국인들 - 권위주의 문화의 탄생

3장.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한국의 선사 시대
단군이 고조선을 세운 것은 기원전 2333년이 아니다
삼국 시대의 시작 . 고구려가 선두에!
한국 문화의 원형이 만들어지다! - 백제의 역사적 의미
한국 문화의 틀이 만들어지다 - 신라의 문화적 통일
통일 신라에서 완성되는 한국의 불교문화
사상적으로도 최고봉이었던 통일 신라
코리아는 고려에서 유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은 고려가 만든 것!
동아시아 최고의 불교대장경을 만든 나라도 고려!
그러나 조선은 만만한 왕조가 아니다!
그러면 조선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 조선은 文의 나라
인류 최고의 문자인 한글의 탄생
한글의 진정한 과학성은 여기에!
인문학과 과학이 세계 최고 수준이었던 조선 초
세계가 놀라는 조선의 기록 문화
조선의 기록 정신 1 - 《조선왕조실록》
조선의 기록 정신 2 - 《승정원일기》

4장. 현대 한국이 선도하는 세계의 대중문화
한국의 미래는 통일보다 문화에서?
어느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한류의 부상
스멀스멀 전 세계로 파급되는 한류 문화
한류를 이끌어낸 한국인의 신기
한국인의 신기가 촉발한 가무 사랑
한류의 성공을 설명해 주는 이론들
한류의 성공을 설명해 주는 마지막 이론? - 이른바 냄비 이론

5장. 한국 문화의 미래는?
한국인의 생활 문화 중 가장 돋보이는 한국 음식
서서히 부상하는 한국 음식
한식은 밥이다?
한식은 과연 어떤 경쟁력을 갖고 있을까? - 한식의 특징에 대해
한국인은 생각하는 것보다 느끼는 것을 더 잘한다!
한국인의 감각은 미용과 성형에서 뜻밖의 성공을!

닫는 글
미래의 한류는 K-밸류의 창출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강태규 (2023)
Miller, Peter 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