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3453 | |
005 | 20210315114014 | |
007 | ta | |
008 | 210309s2021 ggkd b 000c kor | |
020 | ▼a 9791166033490 ▼g 9333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3.482 ▼2 23 |
085 | ▼a 303.482 ▼2 DDCK | |
090 | ▼a 303.482 ▼b 2021 | |
100 | 1 | ▼a 이경윤 |
245 | 1 0 | ▼a 건강한 다문화사회의 이해 : ▼b 문화의 초월과 경계를 넘어 건강한 다문화사회를 만들어가다 / ▼d 이경윤 지음 |
260 | ▼a 파주 : ▼b 이담books, ▼c 2021 | |
300 | ▼a 361 p. : ▼b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어울누리 학술연구 ; ▼v 23 |
504 | ▼a 참고문헌: p. 348-361 | |
830 | 0 | ▼a 어울누리 학술연구 ; ▼v 23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2 2021 | 등록번호 11184537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처음에는 낯선 ‘타자’를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개체적인 자아의 정체성과 문화의 정체성을 근본적인 파헤침과 심층적 관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다문화’라는 용어가 함의하는 의도와 일치하게 다 학문 간의 접근을 활용하여 문학·철학·문화인류학·사회학·심리학·간호학 등에서 다루는 측면을 동시에 살펴보고자 했다.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들을 바라보는 다수 국민의 편견과 차별에 대한 인식을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절대로 무시하면 안 되는 것이 사회 각 다문화 관련 분야에서 전문성이 요구되는 업무처리 능력이다. 그런 면에서 점점 더 증가하는 다양한 구성원들을 대할 수밖에 없는 간호 분야의 영역에서 유능한 업무처리 함양을 위해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이 책이 건강한 다문화사회를 만들어나가는 데 좋은 지침서로 자리매김하길 희망한다.
다문화와 단일문화 그리고 문화상대주의
한국의 다문화 현황과 다문화정책의 개선방향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건강과 포용대책
이 책은 처음에는 낯선 ‘타자’를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개체적인 자아의 정체성과 문화의 정체성을 근본적인 파헤침과 심층적 관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다문화’라는 용어가 함의하는 의도와 일치하게 다 학문 간의 접근을 활용하여 문학·철학·문화인류학·사회학·심리학·간호학 등에서 다루는 측면을 동시에 살펴보고자 했다.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들을 바라보는 다수 국민의 편견과 차별에 대한 인식을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절대로 무시하면 안 되는 것이 사회 각 다문화 관련 분야에서 전문성이 요구되는 업무처리 능력이다. 그런 면에서 점점 더 증가하는 다양한 구성원들을 대할 수밖에 없는 간호 분야의 영역에서 유능한 업무처리 함양을 위해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이 책이 건강한 다문화사회를 만들어나가는 데 좋은 지침서로 자리매김하길 희망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책머리에 01_ 다문화사회 제1장 다문화와 다문화이론 제2장 다문화사회 02_ 문화와 자아의 정체성 제1장 문화의 정체성 제2장 자아와 문화 03_ 다문화와 단일문화 제1장 단일문화와 다문화 제2장 다문화주의 04_ 문화상대주의 제1장 문화의 초월ㆍ경계를 넘어서 제2장 문화상대주의 제3장 문화와 심리 05_ 사회와 정의 제1장 정의 제2장 국민정체성과 시민의식 제3장 정의와 도덕-심리학적 접근 06_ 지구촌 이동과 한국의 다문화 현황 제1장 지구촌 이동 제2장 한국의 다문화 현황 07_ 다문화감수성과 인식의 실제 제1장 다문화수용성 제2장 다문화 감수성과 인식 08_ 국가정책으로서의 다문화주의 제1장 국가정책으로서의 다문화주의 제2장 다문화정책의 추진 및 실태 제3장 다문화정책에 대한 추진체계 및 법령의 문제점 제4장 다문화정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향 09_ 다문화가족 제1장 다문화가족 제2장 한국생활과 사회적 관계 제3장 다문화가족의 자녀 제4장 국내에 거주할 수 있는 체류자격 10_ 다문화 경계선상의 외국인 근로자 제1장 동남아와 유럽의 이주 제2장 한국사회의 외국인 근로자 제3장 외국인 근로자 현황 및 근로상태 제4장 방문취업제 및 외국인 근로자의 영향 11_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건강 제1장 다문화사회 구성원들 문화의 다각적 이해 제2장 문화사정과 간 문화 적용 효능 12_ 다문화 포용대책 제1장 다문화 포용대책과 정책 제2장 4대 지원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