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3398 | |
005 | 20220809172934 | |
007 | ta | |
008 | 210309s2021 ggk b 001a kor | |
020 | ▼a 9791130817699 ▼g 936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155.89519 ▼2 23 |
085 | ▼a 155.8953 ▼2 DDCK | |
090 | ▼a 155.8953 ▼b 2021 | |
100 | 1 | ▼a 김재은, ▼g 金在恩, ▼d 1931- ▼0 AUTH(211009)117143 |
245 | 1 0 | ▼a 떼창의 심리학 : ▼b 한국인의 한, 흥, 정 그리고 끼 = ▼x The psychology of peculiar emotional complexity of Korean / ▼d 김재은 |
246 | 3 1 | ▼a Psychology of peculiar emotional complexity of Korean |
260 | ▼a 파주 : ▼b 푸른사상, ▼c 2021 | |
300 | ▼a 381 p. ; ▼c 24 cm | |
490 | 1 0 | ▼a 학술총서 ; ▼v 55 |
504 | ▼a 참고문헌(p. 373-374)과 색인수록 | |
650 | 0 | ▼a National characteristics, Korean |
650 | 0 | ▼a Popular culture ▼z Korea (South) ▼x Psychological aspects |
650 | 0 | ▼a Arts ▼x Psychological aspects |
830 | 0 | ▼a 학술총서 (푸른사상) ; ▼v 55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8953 2021 | 등록번호 1118453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8953 2021 | 등록번호 5110540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5.8953 2021 | 등록번호 5210069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8953 2021 | 등록번호 1118453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8953 2021 | 등록번호 5110540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5.8953 2021 | 등록번호 5210069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김재은 교수(이화여대 심리학과 명예교수)의 <떼창의 심리학 : 한국인의 한, 흥 ,정 그리고 끼>가 푸른사상사의 '학술총서 55'으로 출간되었다. 전 세계를 열광의 도가니로 빠져들게 하고 세계인들을 행복하게 해주고 있는 한류의 물결과 떼창 현상의 배경과 뿌리를 우리의 문화적 DNA인 한, 흥, 정 그리고 끼를 중심으로 추적하고 있다.
한국의 문화가 폭발적인 열풍을 불러일으키기 시작하면서 전 세계는 열광의 도가니로 빠져들었다. 이른바 ‘한류’라고 한다. 전 세계로 퍼져나가는 한류 신드롬에 K-Pop뿐만 아니라 K-Food, K-Beauty, K-Trot도 가세하여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으로 K-Cinema도 합세했다. 한국의 대표적인 뮤지션 BTS는 유럽과 미주, 아시아를 휩쓸고 있으며 빌보드 차트를 석권하기도 했다. 심리학자인 김재은 교수는 전 세계의 대중문화 흐름을 선도하고 있는 우리 문화 현상의 배경과 뿌리를 파헤쳐보고, 그 토대가 된 우리의 문화적 DNA를 ‘떼창’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예로부터 노래와 가락, 춤사위를 즐기던 한민족답게 한국의 공연장에서는 환호과 열기 속에서 떼창을 부르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떼창은 말 그대로 무리를 뜻하는 ‘떼’와 노래하는 것을 의미하는 ‘창(唱)’이 합성된 단어로, 가수와 관객이 하나 되어 하모니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이 책에서는 떼창을 역사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고찰하여 우리의 문화적 DNA인 한, 흥, 정 그리고 끼가 우리의 대중예술 성취와 어떻게 관계되는지 살폈다. 한국인의 정서적 특징으로서 ‘한의 민족’ ‘흥의 민족’이라고 이르는 만큼 네 가지의 상반된 정서가 어우러지며 지금의 문화현상을 이룩해나간 것이다.
이 책에서는 예술의 심리적·사회적 기능도 살펴보며, 예술이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치료 효과도 살펴보았다. 음악을 비롯한 예술을 향유함으로써 인간의 정신적·신체적 장애를 바로잡아 주고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예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큰 기쁨의 감정과 영적 고양 상태인 엑스터시 문제에 관해서도 짚어보았다. 달리 말해 무아지경, 절정적 경험이라고도 하는데, 궁극적으로 우리의 일상적인 삶이 지향하는 바는 행복이기에, 행복의 극치가 바로 엑스터시라는 것을 보여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재은(지은이)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교육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휴스턴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종이접기협회 부회장, 한국청소년문화연구원 이사장, 우리문화가꾸기회 이사장, 한국아동미술교육학회 고문, 한국어린이문화진흥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천재, 그 창조성의 비밀』 『어린이에게 예술을』 『예술이 어떻게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키는가』 『유아를 위한 예술교육』 『떼창의 심리학』 등, 역서로 『예술심리학』 『예술 창조의 심리학』 등 130여 권을 저술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이며 한국청소년연극협회 이사, 대한음악치료학회·한국무용교육학회·한국종이문화재단·무용동작치료학회 고문이다.

목차
■ 책머리에 제1부 왜 떼창을 하는가 제1장 보헤미안 랩소디와 떼창 1. 〈보헤미안 랩소디〉 소동 2. 〈보헤미안 랩소디〉에 무엇이 있길래? 3. 떼창의 진풍경 4. 퀸이 또 한 번 일을 냈다 제2장 떼창 한류는 이미 있었다 1. 고대의 떼창 문화 2. 고증 자료가 말하는 것 3. 군취가무(群聚歌舞)가 떼창이다 4. 고대의 한류 제3장 떼창과 동조성(同調性) 1. 중요한 실험 2. 한국인의 동조행동 3. 동조행동은 일종의 분위기 메이킹이다 4. 비동조행동의 결과는? 제4장 한(恨)과 흥(興)은 풀어야 1. 한(恨)의 정체 2. 우리 문학에 나타나 있는 한 3. 한은 왜 생기나? 4. 한과 원한 5. 한풀이는 어떻게 하는가? 6. 트로트의 해한(解恨) 기능 7. 흥과 한의 관계 8. 흥의 심리-생리적 구조 제5장 한·흥·정·끼의 관계 1. 한국문화·한국인의 속성들인가? 2. 한·흥·정은 문화적 특성인가 심리적 특성인가? 3. 끼란 무엇인가? 4. 한·흥·정·끼의 기능 5. 정의 의미와 용법 제2부 우리는 다르다 제6장 K-Culture는 언제까지 유효한가? 1. 이것이 문화 DNA의 표상인가? 2. K-Cinema와 봉준호 생각 3. K-Pop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4. 다이내미즘과 대중예술 5. 흥과 신명의 DNA 제7장 K-Culture의 정체성과 독창성 1. 다른 나라에서는 안 되는 건가? 2. 우리는 이래서 다르다 3. 비빔밥 문화의 위력 4. K-Trot도 세계화를 꿈꾸고 있다 제3부 예술과 힐링 제8장 예술의 심리적·사회적 기능 1. MoMA에 대하여 2. 예술은 자기 확장을 가져다준다 3. 예술의 힐링 기능 4. 인류의 기억을 도와준다 5. 희망을 주고 슬픔을 다룰 수 있게 한다 6. 균형 감각과 이해력을 높인다 7. 개인 성장을 풍요롭게 해준다 8. 감상 능력을 키워준다 제9장 예술 심리치료란? 1. 예술로도 심신을 힐링한다 2. 예술치료의 역사적 근거 3. 예술치료의 심리학적 근거 4. 해독(解讀)과 예술치료 5. 표현 → 해독 → 창조로 제10장 록과 재즈와 팝 1. 여러 음악 축제가 가능한 이유 2. 재즈의 자유로움과 창조성 3. 다이아몬드 박사의 록 실험 4. 록과 청각 문제 5. 팝 음악의 치유력 제11장 뇌는 리듬에 약하다 1. 음악은 소리 이상이다 2. 진화(進化) 현상에 관하여 3. 왜 우리는 춤추기를 멈출 수 없는가? 4. 뇌는 시각적 리듬에도 주파수를 맞춘다 제4부 예술과 엑스터시 제12장 예술과 엑스터시 1. 엑스터시란? 2. 극치의 경험의 원천 3. 또 다른 현실로 들어가는 발걸음 : 의식의 흐름 4. 최적의 경험상태란? 5. 엑스터시의 효용가치 6. 엑스터시 그 자체는 도덕적이지도 비도덕적이지도 않다 제13장 엑스터시와 축제와 초월의 세계 1. 축제란 무엇인가? 2. 축제의 여러 형태 3. 감각의 유물주의 4. 엑스터시와 콘택트십 5. 엑스터시를 약물에서 찾으려는 사람들 제14장 엑스터시에 이르는 길 1. 고집멸도(苦集滅道) 2. 적극적 상상력 발휘하기 3. 꿈을 꿔라 4. 창조적 꿈 작업은 이렇게 하라 5. 의식(儀式)과 행사 : 기쁨을 내 안에 6. 예술과 의식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