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2], 중학교](https://image.aladin.co.kr/product/25860/48/cover/k952737468_1.jpg)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3333 | |
005 | 20210311111638 | |
007 | ta | |
008 | 210309m20209999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88910458 ([v.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746005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371.26 ▼2 23 |
085 | ▼a 371.26 ▼2 DDCK | |
090 | ▼a 371.26 ▼b 2020z2 ▼c 2 | |
245 | 0 0 | ▼a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n [2], ▼p 중학교 / ▼d 조한무 [외]지음 |
260 | ▼a 서울 : ▼b 지식플랫폼, ▼c 2020- | |
300 | ▼a 책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장준걸, 양희석, 조채희, 홍명기 | |
500 | ▼a 기획: 교육상상프로젝트 <행복한 교육을 위한 착한 사람들>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505 | 1 0 | ▼n [1]. ▼t 체육 ▼g (251 p.) |
700 | 1 | ▼a 조한무, ▼e 저 |
700 | 1 | ▼a 장준걸, ▼e 저 |
700 | 1 | ▼a 양희석, ▼e 저 |
700 | 1 | ▼a 조채희, ▼e 저 |
700 | 1 | ▼a 홍명기, ▼e 저 |
940 | ▼a 중학교 체육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26 2020z2 2.1 | Accession No. 11184522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포트폴리오 기법을 활용하면 학생이 무엇을 아는지, 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여기에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관리·조직하기 때문에 교사의 일감을 줄여줄 수 있고, 포트폴리오 체계를 활용하여 누가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생의 성과를 성찰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교수와 평가를 함께 하는 수업의 도구로써 포트폴리오 제작물이 지닌 가치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을 돕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을 이해하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의 방향을 찾아내는 평가의 길로 안내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대부분 평가는 평가 결과를 가지고 학생들의 우열을 가리거나 점수로 인간을 규정하여 온 측면이 강하다. 결과 중심의 평가는 인간을 이해하고 그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부족함이 많았고, 학습자 중심에 대한 폭넓은 배려가 힘든 것이었다. ‘교육’이 학생의 잠재 능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학생이 지닌 위대한 장점을 펼치게 하는 것이 ‘학습’이라고 할 때 ‘평가’는 학생들의 숨은 보화를 캐내는 일이 분명한데도 지금까지 그 몫을 다하지 못해 왔다.
전통적인 표준화 검사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난을 받는 이유는 성적이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치중되고 그 다양성이 무시되어 왔기 때문이다. 학교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규준 지향 검사나 준거 지향 검사는 사람들을 줄 세우고 비교하는 데 유용했지만, 일상적인 수업 현상에 대해서는 유용한 정보를 주지 못했다. 즉, 학생들은 자신이 배우는 자료에 대해서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 어떤 것을 정보화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알기 어려우며, 자기 생각을 어떻게 수정해 나가는지, 학습에 대한 자세는 주도적인지 등도 알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대안 평가가 수행평가이다. 수행평가의 특성 중 과정중심평가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과거의 지식이나 가치관을 그대로 암기하거나 받아들이는 선언적 지식 습득보다는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이를 습득하는 절차적 지식을 중시한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이 아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을 어떻게 도와줄지를 고민해 봐야 한다. 교사가 도와줄지, 동료가 도와줄지, 아니면 자신의 성찰 과정을 통해 도와줄지 선택해야 한다.
학생을 도와주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요한 진주가 학생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역량 찾기라고 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생의 미래를 위한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일선 학교에서는 평가지를 가지고 과정중심평가를 한다고 하면서 점수 내기에 급급하다. 또한, 철 지난 평가를 답습하면서 교사들은 점점 쌓여가는 평가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에 대하여 걱정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포트폴리오 기법을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기법을 활용하면 학생이 무엇을 아는지, 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여기에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관리·조직하기 때문에 교사의 일감을 줄여줄 수 있고, 포트폴리오 체계를 활용하여 누가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생의 성과를 성찰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교수와 평가를 함께 하는 수업의 도구로써 포트폴리오 제작물이 지닌 가치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을 돕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을 이해하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의 방향을 찾아내는 평가의 길로 안내하고자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장준걸(지은이)
경기도혁신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 경인교대교육대학원 석사 경기도미래학교융합교육과정연구회 회장 교육상상나눔프로젝트 <행복한 교육을 위한 착한 사람들> 대표 저서 『10대 덕목 중심의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조한무(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한국교실수업개선 자문위원 한국 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회장, 한국 초등체육학회 회장 과정평가 연구소 소장 저서 『수행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교수와 평가의 통합적 접근』,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와 방법』, 『수업 방법』, 『수업 길라잡이』, 『과정평가 디자인하기』 외 다수 연구분야 : 대안평가,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 과정평가, 꿈너머 꿈의 교육 평가
홍명기(지은이)
솔터초등학교 교사 경인교대교육대학원 체육교육 박사과정 꿈너머 꿈 과정평가연구원 저서 『과정평가 디자인하기』
양희석(지은이)
경기폴리텍고등학교 교사 경인교대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석사과정 안양과천 체육교과연구회 회장
조채희(지은이)
산본중학교 교사 인천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Table of Contents
머리말 5 차례 9 제1장 ㆍ 미래 사회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래 사회 전망 12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18 역량 중심 교육과정 26 제2장 ㆍ 미래를 위한 평가 평가의 새로운 변화 32 대안평가로서의 수행평가 34 성장을 지향하는 과정중심평가 38 제3장 ㆍ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의 의미 46 포트폴리오의 가치 53 교수와 평가의 통합 도구 72 제4장 ㆍ 과정중심평가 도구 구안 및 활용 포트폴리오 제작물 사용 목적 81 포트폴리오 제작물 내용 83 포트폴리오 제작물 기법 선택 86 포트폴리오 제작물 평가 95 제5장 ㆍ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체육과 교과 역량 112 체육과 교과 목표 및 성취기준 117 체육과 평가 계획 126 제6장 ㆍ 중학교 체육과 포트폴리오 제작물 설계 세부목표 설정 132 세부목표별 수업 배정 139 포트폴리오 제작물 설계도 작성 141 구안된 제작물의 교수·평가 적용 145 체육과 포트폴리오 제작물의 실제 152 참고문헌 239 찾아보기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