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쉽게 쓴) 행정학 = 개정판(2판)

(쉽게 쓴) 행정학 = 개정판(2판) (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주운현, 朱雲鉉, 1970-, 저 김형수, 金亨洙, 1967-, 저 임정빈, 任正彬, 1966-, 저 정원희, 1975-, 저 최유진, 저 이동규, 李東奎, 저
서명 / 저자사항
(쉽게 쓴) 행정학 = Public administraion / 주운현 [외]
판사항
개정판(2판)
발행사항
서울 :   윤성사,   2021  
형태사항
516 p. : 삽화, 도표 ; 25 cm
ISBN
9791188836888
일반주기
공저자: 김형수, 임정빈, 정원희, 최유진, 이동규  
서지주기
참고문헌(p. 496-50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3283
005 20210913091811
007 ta
008 210309s2021 ulkad b 001c kor
020 ▼a 9791188836888 ▼g 93350
035 ▼a (KERIS)BIB000015768274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351 ▼2 23
085 ▼a 351 ▼2 DDCK
090 ▼a 351 ▼b 2021z1
245 2 0 ▼a (쉽게 쓴) 행정학 = ▼x Public administraion / ▼d 주운현 [외]
250 ▼a 개정판(2판)
260 ▼a 서울 : ▼b 윤성사, ▼c 2021
300 ▼a 516 p. : ▼b 삽화, 도표 ; ▼c 25 cm
500 ▼a 공저자: 김형수, 임정빈, 정원희, 최유진, 이동규
504 ▼a 참고문헌(p. 496-506)과 색인수록
700 1 ▼a 주운현, ▼g 朱雲鉉, ▼d 1970-, ▼e▼0 AUTH(211009)84075
700 1 ▼a 김형수, ▼g 金亨洙, ▼d 1967-, ▼e▼0 AUTH(211009)61000
700 1 ▼a 임정빈, ▼g 任正彬, ▼d 1966-, ▼e▼0 AUTH(211009)69334
700 1 ▼a 정원희, ▼d 1975-, ▼e▼0 AUTH(211009)63846
700 1 ▼a 최유진, ▼e▼0 AUTH(211009)5234
700 1 ▼a 이동규, ▼g 李東奎,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21z1 등록번호 1118451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21z1 등록번호 1118531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포스트코로나시대에 대비해 행정의 역할 변화를 강조하면서, 초판에 대해 전체적으로 중복된 부분 정리와 법 또는 제도의 신설, 폐지로 인한 내용을 추가 정리했다. 그리고 현재의 상황에 맞는 사례를 들어 추가 설명을 했다.

<개정판 머리말>

『쉽게 쓴 행정학』이 나온 지 벌써 3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이 책을 행정학 교재로 선택해 강의해 주신 여러 교수님과 학생들께 감사한 마음뿐이다.

초판 머리말에서 행정학 전반에 관해 학생들에게 좀 더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했지만, 그 목적을 달성하려고 애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미진한 부분도 있었다. 그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개정판을 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2020년 갑자기 닥친 코로나19로 인해 모든 사회 영역에서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 특히 비대면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환경의 변화는 현장의 교수님과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점들을 반영한 개정판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전체적으로 각 장에 중복된 부분을 덜어내고 법 또는 제도의 신설 및 개정, 폐지로 인한 내용을 추가했다. 그리고 더 알아보기와 사례 토론의 주제를 시대에 맞춰 반영하고, 각주와 더 알아보기를 활용해 본문에 대한 추가 설명을 보완했다. 특히 제11장이었던 행정과 미래를 기존의 각 장에 나눠 집필한 후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재난관리 분야를 제11장의 내용으로 추가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장에서는 행정 참여자를 보완했고, 제2장에서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행정의 역할 변화를 추가했으며, 제3장에서는 행정이론을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주요 행정이론을 시대별로 정리했다.

제4장에서는 행정가치의 현대적 적용을 추가했고, 제5장에서는 정책 변동과 종결 부분을 추가했다. 제6장은 탈관료제론과 현대 조직이론을 보완했고, 갈등관리 부분을 추가했으며, 제7장은 내용의 구성을 조정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을 추가했으며, 제8장에서는 국가재정법의 개정 내용을 반영했다.

제9장에서는 지방자치법과 지방재정법의 주요 개정 내용과 중앙-지방간 재정 관계 이론을, 제10장에서는 공기업 경영평가를 추가했다. 제11장은 새롭게 집필한 분야로 재난의 개념과 국민 안전의 관리 및 개별 안전관리 체계를 비롯한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재난관리 체계를 쉽게 설명하고자 했다.

개정판을 발간하면서도 여전히 행정학이라는 방대한 분야의 지식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는지에 대한 아쉬움이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정판 출간을 위해 힘써준 윤성사의 정재훈 대표, 수고해 준 편집진과 공동 저자분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고 싶다. 특히 이 책의 완성도를 위해 이번에 공동 저자로 참여해 주신 이동규 교수님께 더욱 감사드린다.

2021년 2월
저자들을 대표해서 주운현 씀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최유진(지은이)

Cleveland State University에서 도시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강남대학교 정경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Politicization of a disaster and victim blaming: Analysis of the Sewol ferry case in Korea”(2022), “협동조합이 사회적기업의 입지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일반화 선형 모형을 활용한 협동조합의 구분별, 유형별, 업종별 영향 추정”(2021), “지방재정의 특성과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음이항 회귀모형을 활용한 시군구 수준의 분석”(2021), “사회적기업의 성과 요인 분석: 외부자원의 효과와 복합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021),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조건에 관한 실증 분석”(2020) 등이 있고, 『지방자치의 이해』(2015), 『R을 활용한 계량분석 강의노트』(2017), 『도시, 다시 기회를 말하다 : 쇠퇴하는 도시의 일곱 가지 난제 풀이』(2017), 『쉽게 쓴 행정학』(2018), 『도시, 다시 살다』(2021) 등의 저서가 있다(echoi0816@icloud.com).

주운현(지은이)

건국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건양대학교 국방경찰행정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방재정, 지방행정, 환경행정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지방재정 환경변화와 보통교부세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구구조 및 경제여건 변화를 중심으로”(2022),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 간 사무이양배분원칙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2021), “지방자치단체 공공도서관 수요 추정 개선방안: 중력모형을 중심으로”(2021),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 영향요인: 공간패널회귀분석을 중심으로”(2021), 저서로 쉽게 쓴 행정학 (2018), 『지방자치와 행정』(2021) 등이 있다(joowh@konyang.ac.kr).

김형수(지은이)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문화행정과 문화정책, 정책공동체, 동북아문화공동체등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마르티네스의 상호작용 모델을 활용한 남북접경지역의 평화적 활용 방안”(2017), “다문화정책공동체’의 효율적 운영 방안”(2016),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외교 활성화 방안”(2016), “한민족 통일 개념의 재구성 논의 : 한민족 이산과 한국 사회 다문화현상의 특징을 중심으로(2014),” “ '창의적 문화콘텐츠관광' 기반 조성을 위한 정책공동체 모형”(2013) 등이 있다(songmook@dankook.ac.kr).

임정빈(지은이)

건국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성결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방자치, 갈등관리, e-거버넌스, 조직성과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사회서비스 공공성 확대를 위한 사회서비스원 설립 인식차이 분석”(2019), “출입국관리공무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2018), “지방의회 의원의 집행부 감시역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7), “SNS는 정치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정치정보, 신뢰, 지지의 전환 및 참여효능감을 중심으로”(2016) 등이 있고, 저서로는 『쉽게 쓴 행정학』(2018, 공저) 등이 있다.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지방자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책과학학회 부회장, 경인행정학회 부회장, 한국정책과학학회 회장을 역임했다(jbyim@sungkyul.ac.kr).

정원희(지은이)

경희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건양대학교 국방경찰행정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인사, 조직, 과학기술정책, 기후변화, 갈등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Socio-ecological resilience of Oil spill: Focusing on the hebei spirit oil spill on the west coast of Korea”(2016),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K 대학교를 중심으로”(2017), “공공재로서의 안전과 안전복지 강화 방안: 충청남도를 중심으로”(2017), “IPA 매트릭스를 활용한 국립관리공단의 목표 및 과제 우선순위 분석: 보호지역 관리에 대한 TBL 지속가능성이론을 중심으로”(2017), 저서로 『쉽게 쓴 행정학』(2017) 등이 있다(chung0405@konyang.ac.kr).

이동규(지은이)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행정의 이해
제1절 행정이란 무엇인가?
1. 행정의 개념 /
2. 행정학의 주요 분야 /
제2절 정부의 구성과 행정이 하는 일
1. 정부의 구성 /
1) 정부 구성의 의의 /
2) 중앙행정기관의 구성 /
3) 청와대의 조직 구성 /
2. 정부의 역할과 기능 /
1) 작은 정부와 큰 정부 /
2) 작은 정부의 역할과 기능 /
3) 큰 정부의 역할과 기능 /
3. 행정이 하는 일 : 공적 사무 /
1) 국가가 하는 일과 지방이 하는 일 /
2) 지출을 통해 본 행정이 하는 일 /
제3절 행정에 참여하는 사람들
1. 행정 참여자 /
1) 행정 참여자의 개념 /
2) 행정 참여자의 역할 /
2. 내부 참여자 /
1) 내부 참여자의 의의 /
2) 우리나라 공무원의 역할 /
3. 외부 참여자 /
1) 외부 참여자의 의의 /
2) 비영리 민간단체 현황 /
3) 비영리 민간단체 활성화의 조건 /

제2장 행정과 환경
제1절 행정환경의 변동
1. 포스트코로나 시대 : 펜데믹 /
2. 기후 변화 : 지속 가능한 발전 /
3. 저출산 및 고령화시대 /
4. 미래의 혁명 : 4차 산업혁명 /
제2절 행정환경의 구성 요소 : 행정과 정치, 경제, 법, 시민
1. 행정과 정치 /
1) 정치와 행정의 기능적 관계 : 규범과 실제 /
2) 행정부와 입법부 및 정당의 관계 /
2. 행정과 경제 : 정부와 시장 /
1) 전통적인 관계 /
2)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관계 /
3. 행정과 법 /
4. 행정과 시민 /

제3장 행정학의 발달 : 행정이론
제1절 이론과 행정
제2절 한국 행정이론의 변화 과정
1. 1950년에서 1970년까지의 행정이론 /
2. 1971년에서 1990년까지의 행정이론 /
3. 1990년에서 2010년까지의 행정이론 /
4. 2010년 이후의 행정이론 /
제3절 행정이론의 주요 내용
1. 정치행정이원론 /
2. 과학적 관리론 /
3. 행정관리론 /
4. 정치행정일원론 /
5. 관료제론 /
6. 행정행태론 /
7. 체제이론 /
8. 비교행정론 /
9. 발전행정론 /
10. 신행정론 /
11. 공공선택론 /
12. 신제도론 /
13. 신공공관리론 /
14. 사회자본론 /
15. 신공공서비스론 /
16. 뉴거버넌스론 /

제4장 행정과 가치
제1절 행정가치의 의의
1. 행정가치의 개념 /
2. 행정가치의 특징 /
3. 행정가치의 분류 /
제2절 본질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
1. 본질적 행정가치 /
1) 공익 /
2) 정의 /
3) 형평성 /
4) 자유와 평등 /
2. 수단적 행정가치 /
1) 능률성과 효과성 /
2) 민주성 /
3) 합리성 /
4) 가외성 /
제3절 행정가치의 현대적 적용
1. 민간 부문의 가치와 행정가치 /
2. 행정가치와 조직 개편 /
1) 질병관리본부의 청 승격과 행정가치 /
2) 고위공직자범죄 수사처(공수처) 설치와 행정가치 /

제5장 행정과 정책
제1절 정책이론의 기초
1. 정책의 개념과 정책 연구의 특징 /
1) 정책의 개념과 필요성 /
2) 정책학의 등장 배경 /
3) 정책 연구의 특징 /
2. 정책의 유형 분류 /
1) 로위의 정책 유형 분류 /
2) 앨먼드와 파월의 정책 유형 분류 /
3) 리플리와 프랭클린의 정책 유형 분류 /
3. 국가 권력과 정책의 관계 /
1) 국가의 필요성과 권위 /
2) 국가 권력과 권위의 정당성 /
3) 국가에 대한 관점 /
4) 권력의 유형 /
제2절 정책 과정의 이해
1. 정책 과정의 개념 /
1) 라스웰의 정책 과정 /
2) 앤더슨의 정책 과정 /
3) 존슨의 정책 과정 /
2. 정책 과정의 참여자 /
1) 공식적 참여자 /
2) 비공식적 참여자 /
3. 정책 네트워크 /
1) 정책 네트워크의 의미와 요소 /
2) 정책 네트워크의 유형과 특성 /
제3절 정책의제
1. 정책 문제와 정책의 창 /
1) 사회 문제와 정책 제 /
2) 정책의 창 /
2. 정책의제의 의미와 영향 요인 /
1) 정책의제의 의미와 성격 /
2) 정책의제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
3. 정책의제 형성모형 /
1) 콥과 엘더의 체제의제와 제도의제 /
2) 콥과 로스의 주도 집단에 따른 의제형성모형 /
제4절 정책결정과 분석
1. 합리적 의사결정과 정책결정 /
1) 합리적 의사결정과 전략적 의사결정 /
2) 정책결정의 의의와 특성 /
2. 정책결정 과정과 정책결정의 기준 /
1) 정책결정 과정 /
2) 정책결정의 기준 /
3. 정책결정에 관한 이론모형 /
1) 합리모형 /
2) 합리모형에 대한 대안적 모형 /
4. 정책분석 /
1) 정책분석의 정의 /
2) 정책분석의 단계 /
제5절 정책집행과 평가
1. 정책집행의 의의와 영향 요인 /
1) 정책집행 이론의 등장 배경 /
2) 정책집행의 개념과 특징 /
3) 정책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 정책집행의 모형과 유형 /
1) 정책집행의 모형 /
2) 정책집행의 유형 /
3. 정책평가의 의미와 기준 /
1) 정책평가의 의미 /
2) 정책평가의 기준 /
4. 우리나라의 평가 제도 : 정부업무평가기본법 /
1) 정부업무평가기본법의 제정과 시행의 목적 /
2) 정부업무평가기본법의 주요 내용 /
제6절 정책변동과 종결
1. 정책변동 /
1) 정책변동의 개념 /
2) 정책 유지와 승계 /
2. 정책 종결 /
1) 정책 종결의 개념과 원인 /
2) 정책 종결의 의의 /

제6장 행정과 조직
제1절 조직이론
1. 조직의 개념과 정의 /
1) 조직의 개념 /
2) 조직의 정의 /
2. 조직이론의 변천과 발달 /
1) 행정이론의 전개와 조직이론의 발달 /
2) 고전적 조직이론 /
3) 신고전적 조직이론 /
4) 이론의 분화 과정에서 탈관료제론 /
5) 현대 조직이론 /
3. 조직의 유형 /
1) 조직의 내부적 속성을 기준으로 한 조직 유형 /
2)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분류한 조직 유형 /
3) 존재 형태를 기준으로 한 조직 유형 /
제2절 조직 구조와 환경
1. 조직의 원리와 구조 /
1) 조직 구조의 의의 /
2) 조직 구조의 기본 변수(구성 요소) /
2. 조직 구조의 설계 /
1) 조직 규모와 조직 구조 /
2) 조직 기술과 조직 구조 /
3) 조직환경과 조직 구조 /
4) 구조 변수와 조직의 처방 /
3. 조직환경 /
1) 조직환경의 의의 /
2) 조직환경의 유형 /
4. 조직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
1) 환경 변화에 대한 조직의 적응 /
2) 조직의 환경에 대한 영향 /
제3절 행정조직의 관리
1. 조직 내 개인의 동기부여와 관리 /
1) 동기부여 /
2) 동기부여이론의 주요 내용 /
2. 효과적 목표 달성과 리더십 /
1) 리더십의 의의 /
2) 리더십의 존재 이유와 기능 /
3) 리더십 이론의 변천과 평가 /
3. 조직의 의사소통과 갈등관리 /
1) 의사소통 /
2) 공공관계 /
3) 갈등 /
4. 조직관리의 환경으로서 조직문화 /
1) 조직문화의 의의와 특징 /
2) 조직문화의 특징 /
3) 조직문화의 유형 /
4) 조직문화의 변동 /
제4절 조직혁신
1. 조직혁신 /
1) 조직혁신의 의의 /
2) 조직혁신의 특징 /
3) 조직혁신의 대상 변수와 담당자 /
4) 조직혁신의 과정 /
2. 조직 발전 /
1) 조직 발전의 의의 /
2) 조직 발전의 특징 /
3) 조직 발전의 문제점과 성공 요건 /
3. 조직학습 /
1) 지식과 지식관리 /
2) 지식관리 프로세스 /
3) 지식관리와 학습조직 /

제7장 행정과 인사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이론
1. 인사행정의 의의와 특성 /
1) 인사행정의 개념 /
2) 인사행정과 인사관리의 비교 /
3) 현대 인사행정의 특징 /
2. 인사행정 제도의 변천과 발달 /
1) 인사행정 제도의 변천 /
2) 엽관주의와 정실주의 /
3) 실적주의 /
4) 직업공무원제 /
5) 대표관료제 /
3. 인사기관 /
1) 인사기관의 의의 /
2) 중앙인사기관의 역할과 기능 /
3) 부처인사기관 /
제2절 공직 분류
1.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
1) 직위분류제 /
2) 계급제 /
3)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조화 /
2. 공무원의 종류 /
1)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
2) 고위공무원단 /
제3절 인적자원관리
1. 임용관리 /
1) 인력 기획 /
2) 인적 자원의 확보 /
2. 역량관리 /
1) 교육훈련 /
2) 경력개발 제도 /
3. 성과관리 /
1) 성과평가 제도 /
2) 성과계약 등 평가 /
3) 근무성적평정 /
4) 경력평정 제도 /
4. 보수관리 /
1) 보수 /
2) 연금 /
5. 노무관리와 노사관계 /
1) 공무원노동조합의 의의 /
2) 공무원노동조합의 특징 /
3) 공무원노동조합의 노동3권 /
제4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1. 공직 윤리 /
1) 의의와 특징 /
2) 공직 윤리의 중요성 /
3) 공직 윤리의 체계 /
4) 공무원 윤리 확립 방안 /
2. 공직부패 /
1) 부패의 의의 /
2) 부패의 유형 /
3) 부패 방지 /

제8장 행정과 예산
제1절 공공재정의 의의
1. 재정의 개념 /
2. 재정의 역할 /
1) 경제적 효율성 /
2) 소득재분배 /
3) 경제 성장 및 안정 /
제2절 공공재정의 기능
1. 통제 기능 /
2. 관리 기능 /
3. 계획 기능 /
제3절 예산의 개념과 원칙
1. 예산의 개념 /
2. 예산의 원칙 /
1) 전통적 예산 원칙 /
2) 현대적 예산 원칙 /
3) 공공지출관리의 새로운 규범 /
3. 예산의 구성과 규모 /
1) 예산의 구성 /
2) 예산의 규모 /
4. 예산의 종류와 분류 /
1) 예산 편성 절차에 따른 종류: 본예산, 수정예산, 추가경정예산 /
2) 예산 불성립 시 예산 집행을 위한 장치: 잠정예산, 가예산, 준예산 /
3) 재정정책에 따른 예산 제도 /
4) 예산의 분류 /
제4절 예산이론과 예산 제도의 변천
1. 예산이론 /
1) 합리적 예산결정이론 /
2) 점증적 예산결정이론 /
3) 중범위의 절충적 접근 /
2. 예산 제도 /
1) 품목별 예산 제도 /
2) 성과주의 예산 제도 /
3) 계획예산 제도 /
4) 목표관리 예산 제도 /
5) 영기준 예산 제도 /
3. 새로운 성과주의 예산 제도 /
1) 의의 /
2) 특징 /
3) 유용성과 한계 /
제5절 예산 과정
1. 의의 /
2. 예산 과정 /
1) 예산 편성 /
2) 예산 심의 /
3) 예산 집행 : 신축성 유지 방안 /
4) 예산 결산과 회계검사 /
제6절 예산 개혁
1. 예산 개혁의 이념 /
1) 경제성 /
2) 효율성 /
3) 효과성 /
4) 형평성 /
5) 투명성 /
2. 예산 개혁 흐름의 특징 /
1) 예산 개혁의 기본 방향 /
3. 정부회계 제도 개혁 /
1) 의의 /
2) 목적 /

제9장 행정과 지방자치
제1절 지방자치의 이해
1. 지방자치의 개념과 목적 /
2. 지방자치의 두 가지 계보 /
3. 지방자치와 민주성, 그리고 효율 /
4. 지방자치의 계층과 구역 /
5. 지방자치의 기관 구성 /
1) 기관통합형과 분리형의 개념과 장단점 /
2) 우리나라의 기관 구성 /
제2절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1. 지방자치와 주민의 권한과 의무 /
2. 주민 참여 /
1) 주민 참여의 의의 /
2) 우리나라의 주민 참여 제도 /
제3절 지방자치단체와 자치권
1. 자치권의 개념과 관점 /
2. 자치권의 유형과 한계 /
1) 자치권의 유형 /
2) 자치권 보장의 한계 /
3. 지방사무의 구분과 사무의 배분 /
1) 지방사무의 구분 /
2) 사무의 배분 방법 /
3) 사무의 배분 원칙 /
제4절 정부간 관계와 광역행정
1. 정부간 관계의 개념과 의의 /
2. 정부간 관계에 관한 이론적 모형 /
3. 광역행정 /
1) 광역행정의 개념과 필요성 /
2) 광역행정의 수행 방식 /
제5절 지방재정
1. 지방재정의 의의 /
1) 지방재정의 개념과 구분 /
2) 지방세입의 체계 /
3) 지방세출 현황 /
4)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 /
2. 지방세의 특징 /
1) 지방세의 기본 특징 /
2) 지방세와 정부간 재정 관계 /
3) 지방세의 정책과제 /
3. 중앙ㆍ지방 간 재정 관계에 대한 이론 /
1) 재정분권의 효율성 /
2) 티부가설의 쟁점 /

제10장 행정과 공기업
제1절 공기업의 의의
1. 공기업과 사기업의 구분 /
2. 공기업의 장단점 /
3. 공기업의 특징 /
4. 공기업의 범위 /
5. 공기업 민영화 /
제2절 공기업의 분류와 기능
1. 공기업의 분류 /
2. 공기업의 기능 /
1) 사회적 기능 /
2) 경제적 기능 /
1. 공기업 설립 동기 /
2. 공기업의 공공성과 기업성 /
제3절 공기업 경영평가
1. 의의 /
2. 평가절차 /
3. 평가지표 체계 /
4. 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
1) 사회적 가치의 의의 /
2) 사회적 가치의 구성 요소 /
3) 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평가 /
제4절 공기업의 채용(NCS) /

제11장 행정과 재난관리
제1절 재난의 개념과 국민 안전의 권리
1. 위기, 재난, 대규모 재난의 학술적 개념 /
2. 국민 안전 기본 이념과 재난안전 관련 법률의 의의 /
3.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의 이해 /
제2절 개별 안전관리 체계의 이해
1.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안전관리 체계 /
2. 해사안전법의 안전관리 체계 /
3. 저수지ㆍ댐의 안전관리 및 재해 예방에 관한 법률의 안전관리 체계 /
4. 원자력안전법의 안전관리 체계 /
제3절 미국의 재난관리의 이해
1. 미국의 재난관리 체계 /
1) 예방 /
2) 대비 /
3) 대응 /
4) 복구 /
2. 현장지휘 체계의 이해 /
1) 현장지휘관 /
2) 본부요원 /
3) 실무요원 /
3. 미국의 재난기관 간 조정 체계 /
제4절 미래와 재난관리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