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2737 | |
005 | 20210304110441 | |
007 | ta | |
008 | 210303s2019 ulkad 001c kor | |
020 | ▼a 9791160641431 ▼g 13320 | |
035 | ▼a (KERIS)BIB000015345725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658.15 ▼2 23 |
085 | ▼a 658.15 ▼2 DDCK | |
090 | ▼a 658.15 ▼b 2019z5 | |
245 | 0 0 | ▼a 기업자금관리실무 = ▼x Corporate financial management / ▼d 윤정문 [외]저 |
250 | ▼a 전면개정2판 | |
260 | ▼a 서울 : ▼b 영화조세통람, ▼c 2019 | |
300 | ▼a 33, 1094 p. : ▼b 삽화, 도표 ; ▼c 27 cm | |
500 | ▼a 공저자: 지정준, 박상규, 이준호, 채병권, 이상현, 손문, 이성용, 정형민, 민경섭, 송경모 | |
500 | ▼a 부록: 자금실무자들이 contact 가능한 우리나라의 금융기관 및 관련 기관 리스트(가나다순)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윤정문, ▼e 저 |
700 | 1 | ▼a 지정준, ▼e 저 |
700 | 1 | ▼a 박상규, ▼e 저 |
700 | 1 | ▼a 이준호, ▼e 저 |
700 | 1 | ▼a 채병권, ▼e 저 |
700 | 1 | ▼a 이상현, ▼e 저 |
700 | 1 | ▼a 손문, ▼e 저 |
700 | 1 | ▼a 이성용, ▼e 저 |
700 | 1 | ▼a 정형민, ▼e 저 |
700 | 1 | ▼a 민경섭, ▼e 저 |
700 | 1 | ▼a 송경모,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58.15 2019z5 | Accession No. 12125662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58.15 2019z5 | Accession No. 121256630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7-08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지난 2015년 5월, 본서의 개정판 출간 이후에 발생한 기업금융환경의 제도적 변경 사안들을 반영하였다. 개정 내용 중에는 전자채권.전자어음 등 지급결제수단의 발행조건 개선, 리스회계처리기준(K-IFRS)의 도입, 기업공개를 위한 IPO(신규상장) 요건 완화 등 제도적 변경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제시되었던 통계자료 등을 가급적 최신 데이터로 변경하였다.
기업자금의 조달과 관리 업무에 대한 종합적 재무통찰력을 제공하는 실무매뉴얼!
▪ 보다 쉽게 자금의 조달과 관리 업무지식을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업무수행 능력을 높여 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 자금관리의 매뉴얼
▪ 실무를 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사례와 절차(구조) 및 필요(발생)서류 등을 중심으로 기술
▪ 실무를 함에 있어 꼭 필요한 핵심 키워드 위주의 구성과 사례 중심 및 그림·표의 폭 넓은 활용으로 간결하고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집필
▪ 전자채권·전자어음 등 지급결제수단의 발행조건 개선, 리스회계처리기준(K-IFRS)의 도입, 기업공개를 위한 PO(신규상장) 요건 완화 등 제도적 변경 부분이 포함
▪ 복합적인 성격의 roject inance, 자산유동화 및 M&A금융을 별도로 묶어서 서술
▪ 각 분야(증권, 은행, 컨설팅 등)의 실무전문가 1인으로 구성된 집필진의 노하우를 집대성한 자금관리의 실무매뉴얼 종합안내서
[머 리 말]
우리나라 경제․산업 환경과 정책이 끊임없이 변경됨에 따라 금융시장에도 많은 제도적 변화가 지속적으로 초래되고 있다. 기업의 자금업무를 담당하는 관리자와 실무자는 이러한 변화를 신속․정확하게 인지하고, 미래 자금수지계획 수립과 자금조달․자금운용 업무에 차질이 없도록 적극 대응하여야 한다.
지난 2015년 5월, 본서의 개정판 출간 이후에 발생한 기업금융환경의 제도적 변경 사안들을 반영하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기업의 자금관리 실무 가이드라인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어 2차 개정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개정 내용 중에는 전자채권․전자어음 등 지급결제수단의 발행조건 개선, 리스회계처리기준(K-IFRS)의 도입, 기업공개를 위한 IPO(신규상장) 요건 완화 등 제도적 변경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제시되었던 통계자료 등을 가급적 최신 데이터로 변경하였다.
아울러 본서가 기업자금관리실무의 다양한 구성분야 전부를 폭넓게 다루다보니 내용이 지나치게 방대한 면이 있어, 기업금융상품으로서의 실효성과 실무관련 중요도에 따라 일부 내용을 제외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특정분야, 특정기업에만 해당되는 선박금융과 중소․벤처기업금융 등은 본서에서 제외하고, 기업자금관리실무의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핵심내용에 집중하고자 전체 내용과 목차를 재구성하였다.
또한 본서에서 소개되고 있는 기업자금 조달수단으로서의 금융상품들이 금융시장 환경변화에 맞추어 계속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관련 변경사항을 차질 없이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필진을 보강할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그래서 Syndicated Loan, 주식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Project Finance 및 M&A금융 등의 관련 업무를 은행과 금융투자회사에서 현직으로 수행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새롭게 초빙하여 보다 탄탄한 집필진을 구성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Cash Flow 경영’을 통한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 애쓰시는 기업자금업무 관리자와 실무자 여러분들에게 종합적인 실무 가이드북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일반적인 출판작업과 다르게 다수로 구성된 다양한 집필진을 아우르며 개정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해주신 ㈜영화조세통람 관계자 여러분에게도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9년 7월
공동 저자 일동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송경모(지은이)
1964년에 전라북도 김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학교에서는 조지프 A. 슘페터와 기술 혁신과 진화의 경제사상을 전공했다. 학교를 떠난 뒤 오랜 기간 증권 신용평가와 가치평가, 그리고 증권시장 자문과 중개업에 몸담았다. 지금은 경제학 & 경영전략 연구개발과 컨설팅업을 영위하는 미라위즈의 대표로 일하고 있으며,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의 겸임교수로서 경영, 경제, 재무, 인문학 간 융합 지식을 개척하고 교육하는 중이다. 금융시장 현업에 종사하는 동안에는 그 분야를 다루는 글들을 계속 써왔다. 그 결과 실무자용 전문서인 《사업타당성 평가실무》, 《기업자금관리 실무(공저)》(이상 조세통람), 《기술금융의 이해와 실무(공저)》, 《기술경영학개론(공저)》, 《기술경영회계(공저)》(이상 탐진) 등을 냈고, 관련 학술논문들도 간간이 발표해왔다. 신용평가회사 근무 시절 우연히 번역을 의뢰받아 《CEO가 빠지기 쉬운 5가지 유혹》(패트릭 렌시오니 지음, 위즈덤하우스, 2000)을 번역한 것을 계기로 틈틈이 여러 종류의 경제경영서를 번역했다. 그중 《피터 드러커: 현대 경영의 정신》(존 플래허티 지음, 예지, 2002) 번역을 계기로 피터 드러커 연구에 줄곧 매진하여, 《피터 드러커로 본 경영의 착각과 함정들》(을유문화사, )을 펴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일보> ‘이코노서가’, <한국경제신문> ‘CEO의 서재’ 등 다양한 매체에 정기 칼럼을 기고했다. 유교 전통이 깊은 가문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한문과 서화(書畫)의 세계 속에서 자랐다. 그래서 자칫 고전과 예술, 전통사상의 세계에 갇힌 삶을 살 수도 있었으나, 수십 년간 현대 학문의 다채로운 사고법과 변화하는 현실의 다양성을 배우고 겪으면서, 동서고금 모든 지식의 무상(無常)함을 체험하는 동시에 그 극복법을 성찰하는 삶을 끊임없이 추구하고 있다.
윤정문(지은이)
(현) FINANCIALIST(기업금융컨설팅) 대표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부산 ㈜삼호 CFO 온세텔레콤 전략기획실 상무이사 포스코에너지 이사?금융팀장/회계팀장/기획팀장 한화에너지 금융팀장 한화그룹 비서실 해외사업팀/재무팀 차장 네덜란드 Rohill사 CFO 한화케미칼 재정부/기획실 한화그룹 태평양건설㈜ 재정부
박상규(지은이)
연세대 경영학과 졸업 (전) 레보텍 CFO 역임 극동대학교 금융자산학과 겸임교수 역임 (전) 한국씨티그룹캐피탈 본부장 역임 여신전문금융협회 리스/할부금융교육 강사 역임 한국씨티그룹캐피탈 영업부장?심사부장 역임
지정준(지은이)
(현) 신한은행 지점장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및 同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대한상공회의소 ICC KOREA 국제금융위원회 위원 국가공인 무역영어 출제위원 역임 외환전문역 국가공인 추진 자문위원 역임 대한상공회의소 인코텀즈 2020 제정 한국위원회 위원 한국금융연수원 자문교수(외국환업무사례(신용장) 과정 및 수출입업무기초 과정) 역임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금융연수원, KOTRA 아카데미, 전국은행연합회 강사 역임 2014 Teaching Award 우수강사상(한국금융연수원) 수상
채병권(지은이)
(현) 미래에셋대우 초대형투자은행본부 전무 서울대학교 경영학(학사)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경영학(MBA, 2000) 광운대학교 경영학 박사과정 수료 KDB대우증권-Coverage 본부장 KDB대우증권-기업여신 본부장 KDB금융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민경섭(지은이)
#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이수 # BOA/Banque Paribas/Chase Manhattan Bank/Credit Agricole Indosuez 은행; 외환 및 파생상품 딜러 # 삼성선물 법인영업/해외상품 부장 # 아이엠투자증권 파생상품영업담당 상무 # 현) 현대증권 투자컨설팅센터 연구위원(외환담당) # 재무관리사(2013) 공저
이상현(지은이)
(현) DB금융투자 IB사업부 FAS본부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금융투자학회 재학 하이트진로 재무기획실 차장(지배구조개선 등) 넥스트메이커스 공동대표 스파크랩(글로벌 엑셀러레이터) 6기 기업 선정 대우증권 IB사업부 과장
정형민(지은이)
(현) 키움증권 프로젝트투자본부 프로젝트구조화팀장 고려대학교 일어일문(경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Fixed Income Theory) 미국공인회계사(AICPA) 채권실무-자산유동화증권 강의(금융투자교육원, 2013) 자산유동화의 이해 강의(대우증권 연수부, 2009~2015) 자금관리전문가 강의(한국생산성본부, 2012) 자금관리사 강의(㈜영화조세통람, 2012)
이준호(지은이)
(현) 신한은행 투자금융부 M&A 인수금융 팀장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졸업 신한은행 투자금융부 과장/차장, 강남대기업금융센터 과장, 전략투자부 대리, 투자금융부 대리
손문(지은이)
(현) DB금융투자 IB사업부 과장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경영학 CFA Chaterholder ECM, IPO, M&A 등 기업금융업무
이성용(지은이)
(현) 신한은행 부동산금융부 차장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졸업 부천 중동 주상복합 PF 금융자문 및 주선 광진구 구의동 공동주택 PF 금융자문 및 주선 동탄테크노밸리 지식산업센터 PF 외 30여건 프로젝트 수행

Table of Contents
PART 1 자금관리 및 계획 수립 제1장 기업자금 개요 제2장 자금수지관리 및 계획 수립 PART 2 금융환경과 금융시장의 이해 제1장 기업의 금융환경 제2장 자금조달을 위해 필요한 개념과 지식 제3장 자금의 운용과 투자금융상품 PART 3 단기운영자금 제1장 단기운영자금조달 개요 제2장 기업여신 상품 제3장 전자결제(B2B)상품-결제성 상품 제4장 수출입 관련 금융상품 PART 4 중장기 간접금융 제1장 시설자금대출 제2장 Syndicated Loan(신디케이티드론) 제3장 리스 및 할부금융 PART 5 중장기 직접금융 제1장 자본조달과 자본시장 제2장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제3장 주식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PART 6 특수금융 제1장 Project Finance(프로젝트파이낸스, PF) 제2장 자산유동화를 통한 자금조달 제3장 M&A금융 PART 7 외환관리 제1장 외환거래와 환율 제2장 환위험관리 제3장 현물환거래/선물환거래/외환스왑 제4장 통화선물 제5장 통화스왑 제6장 환변동보험 제7장 통화옵션 PART 8 신용평가와 가치평가 제1장 신용평가 제2장 기업가치평가 제3장 투자사업 타당성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