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6070336 | |
005 | 20221216144220 | |
007 | ta | |
008 | 210223s2021 ulk 000 kor | |
020 | ▼a 9788937429767 ▼g 04800 | |
020 | 1 | ▼a 9788937429002(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302.17 ▼a 844.7 ▼2 23 |
085 | ▼a 302.17 ▼2 DDCK | |
090 | ▼a 302.17 ▼b 2021 | |
100 | 1 | ▼a Balzac, Honoré de, ▼d 1799-1850 ▼0 AUTH(211009)100201 |
245 | 1 0 | ▼a 현대 생활의 발견 / ▼d 오노레 드 발자크 ; ▼e 고봉만, ▼e 박아르마 옮김 |
246 | 1 9 | ▼a Pathologie de la vie sociale |
260 | ▼a 서울 : ▼b 민음사, ▼c 2021 | |
300 | ▼a 201 p. ; ▼c 19 cm | |
490 | 1 0 | ▼a 쏜살 |
700 | 1 | ▼a 고봉만, ▼g 高鳳晩, ▼d 1963-, ▼e 역 ▼0 AUTH(211009)62353 |
700 | 1 | ▼a 박아르마, ▼d 1968-, ▼e 역 ▼0 AUTH(211009)53049 |
830 | 0 | ▼a 쏜살 |
900 | 1 0 | ▼a 발자크, 오노레 드,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17 2021 | Accession No. 1118443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9세기 프랑스 사실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현대 소설’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대문호, 오노레 드 발자크의 섬세한 관찰력과 명쾌한 통찰력이 돋보이는 에세이 『현대 생활의 발견』이 민음사 쏜살 문고로 출간되었다.
한평생 90여 편에 이르는 작품을 발표하며, 「인간 희극」이라는 장대한 규모의 총체적 문학을 기획하였던 발자크는, 이른바 프랑스 혁명과 산업 혁명 이후 새로이 출현한 현대 사회와 대도시 문명, 그 속에서 부대끼며 아등바등 살아가는 인간 군상, 욕망과 환멸의 풍경을 모조리 그려 내고자 하였다.
본래 발자크는 아버지의 소망, 혹은 강요에 못 이겨 법학을 공부하였으나 좀체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문예, 과학, 심지어 신비주의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관심을 보이며 문청의 삶을 꿈꾼다. 마침내 습작 생활에 매진하며 작가의 길로 나서지만, 정열적이고 성마른 성격 탓에 일확천금을 좇기 일쑤였고 급기야 수차례 사업을 망치면서 큰 빚에 시달린다.
그러면서도 윌리엄 셰익스피어, 장자크 루소, 월터 스콧 등 거장들의 작품을 동경하며 걸작에 대한 열정을 포기하지 않았고, 자신의 방대한 관심사와 야망을 밑천으로 틈틈이 신문과 잡지에 글을 기고하며 훗날 대작들의 청사진을 하나하나 그려 나간다.
시민 사회의 목격자, 산업 문명의 관찰자, 현대 소설의 창시자
오노레 드 발자크가 탐구한 도시 생활자의 기쁨과 슬픔
일하는 인간에게 노동은 죽는 날까지 답을 찾아 헤매야 하는 수수께끼 같은 것이다. 대개 그들의 지루하고 슬픈 삶은, 기껏해야 작은 나무 의자를 하나 얻어서 먼지를 뽀얗게 뒤집어쓴 딱총나무 아래 자리한 초가집 문간에 앉아 쉬는 것으로 보상받는다. 물론 다음과 같은 불호령을 듣는 두려움에서는 놓여나겠지만 말이다.
“이 양반아, 썩 꺼지지 못해! 거지한테 줄 거라곤 월요일밖에 없어!”
이 모든 불행한 사람들의 삶은 뒤주 속에 얼마만큼의 빵이 있는가에 의해 좌우되며, 인생의 우아함은 궤짝 속에 어떤 누더기가 있느냐로 결정된다. 「우아하게 사는 법」에서
“나는 발자크에게 완전히 사로잡혔다. 그의 작품에서 벗어날 수 없을까 봐 두렵다.” 귀스타브 플로베르
“발자크는 19세기를 창조했다. 우리 시대는 그의 소설로부터 나왔다.” 오스카 와일드
“현대 소설은 발자크로부터 시작되었다.” 리처드 레한
“전근대적 세계는 발자크로 말미암아 비로소 해체되었다.” 롤랑 바르트
“천재라는 찬사가 어울리는 작가!” 서머싯 몸
19세기 프랑스 사실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현대 소설’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대문호, 오노레 드 발자크의 섬세한 관찰력과 명쾌한 통찰력이 돋보이는 에세이 『현대 생활의 발견』이 민음사 쏜살 문고로 출간되었다. 한평생 90여 편에 이르는 작품을 발표하며, 「인간 희극」이라는 장대한 규모의 총체적 문학을 기획하였던 발자크는, 이른바 프랑스 혁명과 산업 혁명 이후 새로이 출현한 현대 사회와 대도시 문명, 그 속에서 부대끼며 아등바등 살아가는 인간 군상, 욕망과 환멸의 풍경을 모조리 그려 내고자 하였다. 본래 발자크는 아버지의 소망, 혹은 강요에 못 이겨 법학을 공부하였으나 좀체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문예, 과학, 심지어 신비주의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관심을 보이며 문청의 삶을 꿈꾼다. 마침내 습작 생활에 매진하며 작가의 길로 나서지만, 정열적이고 성마른 성격 탓에 일확천금을 좇기 일쑤였고 급기야 수차례 사업을 망치면서 큰 빚에 시달린다. 그러면서도 윌리엄 셰익스피어, 장자크 루소, 월터 스콧 등 거장들의 작품을 동경하며 걸작에 대한 열정을 포기하지 않았고, 자신의 방대한 관심사와 야망을 밑천으로 틈틈이 신문과 잡지에 글을 기고하며 훗날 대작들의 청사진을 하나하나 그려 나간다.
과학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산업 혁명, 그리고 ‘현대’라는 새로운 물결은 발자크에게도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그야말로 세계가 송두리째 변하였고, 문학 또한 혁명을 기다리고 있었다. 발자크는 이전 시대의 소설 작법을 과감히 버리고, ‘생리학적 방법론’을 도입해서 사회와 인간, 그사이에 빚어지는 모든 현상을 참신한 시각에서 재구성해 낸다. 누보로망의 기수, 알랭 로브그리예가 “현대 소설의 개념은 모두 발자크가 창조”했다고 지적하였듯이, 그는 오늘날 소설 속에서 빈번히 찾아볼 수 있는 인물(캐릭터), 소설적 상황, 서사 구조 등의 기틀을 거의 최초로 마련하였다. 발자크는 현대 문명의 총화, 즉 대도시에서 살아가는 신인류를 바라보며 호기심에 사로잡힌다. (과거의 신분제 사회가 붕괴한) 대도시 공간의 인간은 언뜻 비슷비슷해 보이지만 각기 다른 옷차림을 하고, 저마다 특이한 동작을 취하며, 언어에서는 뉘앙스가, 한 차례 식사에서조차 미묘한 취향이 더욱 강렬한 차이를 드러낸다. 이를테면 ‘돈’이 혈통을 압도하는 시대(자본주의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발자크는 과학적 방법으로 자연 세계를 탐구하고 규명하듯, 문학의 렌즈로 새 시대의 풍경을 분석하고 기록하고자 했다. 이것(사실주의 소설의 대두)은 시대적 요구이기도 했으며, 따라서 발자크가 『결혼의 생리학』(1829)을 발표(“결혼은 인류 역사상 가장 뒤늦게 연구된 분야다.”)하면서 크게 주목받았음은 필연이었다. 당대 대중은 ‘현대’라는 시대와 ‘대도시’라는 공간을 누구보다 이해하고 싶어 했고, 그는 천재적 기지를 발휘하여 새로운 세계의 전형을 제시해 냈다.(그리고 이것은 「인간 희극」의 뼈대이자 바탕이 되었다.) 『현대 생활의 발견』에 수록된 세 편의 에세이, 어쩌면 생리학적 보고서라고 할 수 있는 「우아하게 사는 법」, 「발걸음의 이론」, 「현대의 자극제론」 또한 ‘현대’를 이해하는 데에 필수 불가결한 시야를 전해 준다. 우리가 여전히 현대를 살아가고, 계속 현대인으로서 살아가야 하는 한 발자크의 통찰은 영원히 반짝이리라.
우아하게 사는 법
발자크는 ‘우아한 삶’이라는 주제를 19세기 정치, 경제, 사회사와 연결하여 다루며, 생리학적 방법론에서 영감받은 박물학적 도식에 따라 인간을 분류한다. 그는 이 글에서 사회를 세 계급, ‘일하는 인간’, ‘생각하는 인간’,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인간’으로 나누고, 거기서 다시 ‘바쁜 삶’, ‘예술가의 삶’, ‘우아한 삶’이라는 세 개의 존재 방식을 끌어낸다.
여기서 ‘바쁜 삶’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취할 수밖에 없는, 먹고살기 위해 죽는 순간까지 돈 걱정을 하며 하루하루 버텨야 하는 생활 방식이다. 월급의 많고 적음은 결코 ‘변별의 기준’이 되지 못한다. 어쨌든 ‘일하는 인간’은 돈에 종속되어 바쁘게 노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저 누더기를 걸치느냐, 비단옷을 입고 출근하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예술가의 삶’은 굉장히 특이한 듯 보이나, 결국 노동 속에서 휴식하고 휴식 속에서 노동할 수 있다는 수준의 차이다. 마지막으로 ‘우아한 삶’은 자본가, 유한계급의 생활을 가리킨다. 이들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며, 다만 소비하기만 한다. 그런데 프랑스 혁명 이후, (기만적이기는 하지만 명목상) 신분제가 폐지되었으므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인간’은 혈통적 차이 대신, 감각적 뉘앙스로 자기 존재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바로 ‘우아한 삶’이다. 이런 조건 속에서, 의복과 옷차림(취향)은 상징적 권위를 가진다. “옷차림은 사회적 인간이 느끼는 가장 거대한 변화며, 모든 생활 방식에 강한 영향력을 미친다.” 의복이 역사적 사건과 문명 들의 상징이듯 옷차림은 ‘사회의 표현’이다. 만약 ‘우아한 삶’이 모든 것 가운데 가장 설득력 있는 하나의 스타일이라면 옷차림은 획일적 꾸밈을 넘어서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지닌 인간, 자신의 실존에 대한 텍스트를 지닌 인간, 해독하기 어려운 상형 문자 같은 인간”의 필요조건이자 충분조건이 된다. 이를테면 우아함은 사물의 형이상학(감각의 외적 표현)이고, 신분제가 사라진 시대의 새로운 신분증명서인 셈이다.
발걸음의 이론
발자크는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왜 사람들이 ‘걷기’에 관해 연구하지 않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다리 아래로 흐르는 물의 양부터 천체의 운행 법칙까지 연구했건만 왜 유독 발걸음의 원리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는가? 작가는 ‘모든 것의 존엄성은 늘 유용성에 반비례’하므로, 이 원리에 대한 관심이 하찮지 않음을 역설한다. 이 글의 출발점은 ‘사람마다 발걸음이 다르다.’ 이를테면 ‘발걸음은 한 사람의 특성을 말해 준다.’라는 사실이다. 발걸음도 표현력을 지녔다는 점에서 일종의 관상인 셈이다. 작가는 인간 움직임에 나타난 의미를 찾아내기 위해 대상의 미세한 동작을 관찰함은 물론 ‘생각에 대한 사랑’을 통해 정신의 한순간을, 마치 포충망을 휘두르듯이 포착해 내려고 한다.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발자크가 관찰한 발걸음의 양태와 그 이면에 숨어 있는 원리들의 상관관계는 상당한 인과성을 지녔고 그 추론에도 설득력이 있다. 그는 인간의 움직임, 특히 발걸음을 분석한 뒤, ‘급격하고 불규칙한 모든 움직임은 악덕이나 나쁜 교육 수준을 드러낸다.’라든지 ‘모든 과도한 움직임은 감탄할 만한 낭비이다.’라는 식으로 결론을 도출해 낸다. 「발걸음의 이론」에서 우리가 발자크의 재기(才器)에 놀라게 되는 까닭은, 인간의 모든 움직임을 관찰하고 그 대상의 특성을 추려내는 뛰어난 분석력에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찰나의 움직임에서 어떤 특별한 의미를 찾아내고야 마는 작가로서의 집요함과 경이로운 발견을 눈앞에 둔 관찰자로서의 설렘, ‘지적 욕망’ 그 자체 때문이리라.
현대의 자극제론
「현대의 자극제론」은 19세기 프랑스의 미식가로 알려진 브리야사바랭의 『미각의 생리학(미식 예찬)』 새로운 판본의 부록으로 출간되었다. 발자크는 여기서 자기 경험을 바탕으로 삼아, 동시대의 대표적 기호 식품 다섯 가지에 대한 생각을 흥미롭게 들려준다. 그는 술(증류주)과 설탕, 차, 커피, 담배를 현대의 대표적 기호 식품(자극제)이라 판단하고, 각각의 특성과 효능, 남용을 했을 때의 결과를 상세하게 전한다. 기호 식품의 과용은 인체를 끊임없이 자극하고, 과도한 영양을 공급하여 각 기관들을 비대하게 하며 궤멸시키기에, 결국 때 이른 죽음을 유발하고 생식력을 파괴한다고 보았다. 이런 사회적 해악에도 불구하고 자극제가 유통되고 권유되는 까닭은 세금을 걷는 세무서의 이익, 나아가 국가의 정책(노동자를 최대한 활용하려는 목적) 때문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오노레 드 발자크(지은이)
1799년 5월 20일 프랑스 투르(Tours)에서 4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발자크의 모친은 자녀에게 무심한 편이어서 낳자마자 아들을 유모의 집에서 기르게 했고, 이어서 그를 오라토리오회 수도원 기숙학교에 넣고서 찾아보지 않았다고 한다. 가족과 떨어져 유년기를 보낸 이 시절의 외로움과 슬픔은 그의 소설 《골짜기의 백합(Le Lys dans la Vallee)》에 잘 나타나 있다. 1814년 가족이 파리로 거처를 옮기게 되자 발자크는 파리에서 학업을 이어 가게 된다. 그는 법학 공부를 하는 이외에 소송 대리인과 공증인 사무소의 수습 서기로 일하면서 법률 실무를 익힌다. 이 시기에 얻은 법률 지식과 경험은 이후 그의 소설 창작의 밑거름이 되어 《인간 희극》에서는 법률문제와 관련한 많은 사건이 등장하며 풍부한 법률 지식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1819년 발자크는 법률가의 길을 포기하고 파리의 비좁은 다락방에 갇혀 지내며 문학 습작하는 생활에 전념한다. 첫 작품은 운문 비극 〈크롬웰〉이었고, 이후 몇몇 소설들을 발표하지만 주목을 받지 못했다. 생계를 위해 친구들과 공동 작업으로 당시 유행하던 모험 소설들을 출간하기도 했다. 1825년 문학 활동으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한 발자크는 사업에 뛰어들어 재정적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출판사와 인쇄 및 활자 제조소 운영으로 이어지는 발자크의 사업은 2년 만에 실패로 끝났고 발자크는 파산에 이르러 막대한 부채를 짊어진다. 이후 문학의 길로 되돌아 왔으나 그는 평생 빚에 쫓기면서 돈을 벌기 위해 소설을 써야 하는 고달픈 생활을 계속하게 된다. 이후 《인간 희극》에 포함된 《마지막 올빼미당원(Le Dernier Chouan)》이 1829년 발표되면서 발자크의 작품은 드디어 빛을 보기 시작한다. 이해에 나온 《결혼 생리학(La Physiologie du mariage)》은 세간의 큰 주목을 받으며 호응을 얻었다. 1830년부터는 파리의 여러 살롱을 다니면서 사치스러운 생활을 추구했다. 1833년부터 1835년에 이르는 동안 발자크는 소설가로서 당시 낭만주의 문학을 벗어나 자신의 확고한 창작 세계를 형성한다. 이 시기에 《고리오 영감(Le Pere Goriot)》을 비롯해 《외제니 그랑데(Eugenie Grandet)》, 《루이 랑베르(Louis Lambert)》, 《세라피타(Seraphita)》 등 많은 소설이 발표되었다. 발자크는 앞선 작품에 등장했던 인물을 재등장시키는 독특한 기법을 《고리오 영감》에서 처음 시도한 이후 이 기법을 계속 사용하면서 자신이 이미 쓴 작품들과 앞으로 쓸 작품들을 연계해 하나의 거대한 체계로 완성할 계획을 했다. 1841년 이 총서의 제목을 《인간 희극》으로 정하고 첫 권에 서문(Avant-Propos)을 붙여 소설에 대한 자신의 개념과 작품들이 이어지는 원칙을 밝힌다. 그러나 애초에 130여 편의 소설들로 구상했던 작품집은 1850년 발자크가 서거하면서 미완성으로 남겨진다. 한편 발자크의 건강은 과도한 집필 활동과 재정적 압박으로 인해 차츰 소진되어 가고 있었다. 1850년 1월 결혼을 앞두고 우크라이나에 머물고 있던 발자크의 건강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었다. 그해 3월 결혼식을 올리고 5월 우크라이나를 떠나 파리로 돌아왔다. 하지만 신혼집에 도착한 뒤 발자크는 더 이상 병석에서 일어나지 못한 채 3개월 만에 숨을 거둔다.
고봉만(옮긴이)
프랑스 마르크 블로크 대학(스트라스부르 2대학)에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북대학교 프랑스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루소와 레비-스트로스 등 프랑스 사상가들의 저서와 개성 있는 프랑스 소설을 번역·소개하는 작업을 계속해오고 있다. 옮긴 책으로 『크루아상 사러 가는 아침』 『마르탱 게르의 귀향』 『방드르디, 야생의 삶』 『인간 불평등 기원론』 『덧없는 행복』 『크리스마스의 악몽』 『악마 같은 여인들』 등 다수가 있다.
박아르마(옮긴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불문학과에서 미셸 투르니에 연구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양대학교에 재직하면서 글쓰기와 문학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글쓰기란 무엇인가>(여름언덕)가 있고, 논문으로 “An Analysis of Death Education-related work duty on medical care providers using the dacum method”(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와 번역한 책으로 루소 <인간불평등 기원론>(세창)과 루소 <고백>(책세상) 등이 있다. 현재 건양대학교 웰다잉 융합연구소의 공동연구원으로 웰에이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우아하게 사는 법 발걸음의 이론 현대의 자극제론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