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0318 | |
005 | 20210302145504 | |
007 | ta | |
008 | 210223m20209999ulkdf 001c kor | |
020 | ▼a 9791159055300 (v.1) ▼g 939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0723 ▼2 23 |
085 | ▼a 953.00723 ▼2 DDCK | |
090 | ▼a 953.00723 ▼b 2020 | |
245 | 0 0 | ▼a 근대한국학 데이터베이스 자료집 / ▼d 홍정완, ▼e 정유경, ▼e 심희찬 엮음 |
246 | 1 1 | ▼a Modern Korean studies metadata collections |
260 | ▼a 서울 : ▼b 소명출판, ▼c 2020- | |
300 | ▼a 책 : ▼b 도판, 도표 ; ▼c 24 cm | |
490 | 1 0 | ▼a 연세 근대한국학HK+ 디지털한국학총서 ; ▼v 002 |
500 | ▼a 색인수록 | |
505 | 1 0 | ▼n 1. ▼t 근대 전환기 신문·잡지의 한국학 관련 기사목록 및 주요기사 = List of Korean studies articles in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1896-1910 ▼g (12, 592 p.) |
536 | ▼a 이 책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7S1A6A3A01079581) | |
700 | 1 | ▼a 홍정완, ▼g 洪定完, ▼e 편 |
700 | 1 | ▼a 정유경, ▼g 鄭瑜炅, ▼e 편 |
700 | 1 | ▼a 심희찬, ▼g 沈熙燦, ▼e 편 |
740 | 2 | ▼a List of Korean studies articles in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1896-1910 |
830 | 0 | ▼a 연세 근대한국학HK+ 디지털한국학총서 ; ▼v 002 |
900 | 1 0 | ▼a Hong, Jeong-wan, ▼e 편 |
900 | 1 0 | ▼a Jeong, Yoo-kyung, ▼e 편 |
900 | 1 0 | ▼a Shim, Hee-chan,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0723 2020 1 | 등록번호 1118443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연세 근대한국학HK+ 디지털한국학총서 2권. 한국학과 관련된 텍스트와 메타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근대한국학의 지적 기반을 체계화하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아직 진행 중이다. 메타 정보를 가공하는 작업 역시 지금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우선 지난 2년 6개월간의 연구를 통해 얻은 각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책을 제작하였다.
한국학과 관련된 텍스트와 메타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근대한국학의 지적 기반을 체계화하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아직 진행 중이다. 메타 정보를 가공하는 작업 역시 지금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우선 지난 2년 6개월간의 연구를 통해 얻은 각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책을 제작하였다.
근대전환기 당대의 관점에서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다루는 기사에 한정하여 선별작업을 진행했으며, 구체적으로는 ‘조선(한국)’의 역사, 언어, 민속, 고적 등을 다룬 기사 및 그에 관한 사건과 사업(교육, 정책, 운동 등), 그리고 이를 소재로 한 시가·소설 등을 기사 선별의 기준으로 삼았다. 따라서 당대 미디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황실과 정부 관료들에 관한 기사, 일반적인 애국심 고취를 주장하는 기사, 신지식의 보급·교육·계몽 등에 관한 기사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주요 자료
1. 신문
국립중앙도서관
『독립신문』(1896∼1899, 영문판 제외), 『황성신문』(1898∼1910), 『대한매일신보』(1905∼1910, 국문판?영문판 제외)
2. 잡지
국사편찬위원회
『기호흥학회월보』, 『대동학회월보』, 『대조선독립협회회보』, 『대한유학생회학보』,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대한흥학보』, 『서북학회월보』, 『서우』, 『태극학보』, 『호남학보』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디지털화 자료)
『공수학보』, 『교남교육회잡지』, 『낙동친목회학보』, 『대한구락』, 『소년한반도』, 『야뢰』, 『친목』, 『친목회회보』
정보제공 :

저자소개
홍정완(엮은이)
연세대학교 사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한국사 전공) 현재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주요 저서 「해방 이후 남한 ‘國民運動’의 국가 - 국민론과 교토학파의 철학」(『역사문제연구』 23, 2010) 「일제하~해방후 한치진(韓稚振)의 학문체계 정립과 ‘민주주의’론」(『역사문제연구』 24, 2010) 「정부수립 전후 한국 정치학계의 학문동향과 이념지형」(『한국근현대사연구』 83, 2017)
정유경(엮은이)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심희찬(엮은이)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 HK+교수

목차
머리말 주요 자료 및 범례 1부 근대전환기 신문ㆍ잡지 ‘한국학’ 관련 전체 기사 DB자료 1. 단어 빈도 2부 근대전환기 신문ㆍ잡지 ‘한국학’ 관련 전체 기사 목록 1. 신문 2. 잡지 3. 서적광고 3부 근대전환기 신문ㆍ잡지 ‘한국학’ 관련 주요 기사 본문 1. 신문 2. 잡지 색인 간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