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0293 | |
005 | 20210302111726 | |
007 | ta | |
008 | 210223s2021 ulkac 000c kor | |
020 | ▼a 9788963396675 ▼g 039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 ▼2 23 |
085 | ▼a 953.06 ▼2 DDCK | |
090 | ▼a 953.06 ▼b 2021z1 | |
100 | 1 | ▼a 김중영 |
245 | 1 0 | ▼a 항일(抗日) 아리랑 : ▼b 동학군, 의병, 독립군 그리고 아리랑… / ▼d 김중영 지음 |
246 | 3 | ▼a 항일 아리랑 |
260 | ▼a 서울 : ▼b 책나무출판사, ▼c 2021 | |
300 | ▼a 303 p. : ▼b 삽화(일부천연색), 초상화 ; ▼c 22 cm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2021z1 | 등록번호 1118443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침략의 시작인 강화도 조약부터 일본 제국주의의 패망과 해방되는 시기까지의 아리랑을 수집하여 각 아리랑이 불린 역사적 배경과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분석한 책이다.
아리랑은 우리 한반도에 뿌리를 가지고 있는 누구나 쉽게 흥얼거리는 우리의 국가와 같은 노래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나 복원 등은 생각보다 깊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사 선생님인 저자는 수백, 수만의 아리랑과 사설을 모으기 시작했고, 일본의 침략에 맞서 부른 항일 아리랑만을 모은 책의 필요성을 느껴 <항일 아리랑>을 집필했다.
어떤 아리랑은 동학 농민군이 죽어가면서 불렸고, 또 어떤 아리랑은 해방이 되어 돌아오면서 불렸던 것처럼 '아리랑'만으로 그 시대의 역사나 사건 등을 알 수 있어 연구 자료뿐만 아니라,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동학군, 의병, 독립군 그리고 아리랑…
일본 침략에 맞서 부른 우리의 ‘아리랑’ 이야기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침략의 시작인 강화도 조약부터 일본 제국주의의 패망과 해방되는 시기까지의 아리랑을 수집하여 각 아리랑이 불린 역사적 배경과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분석한 책, ‘항일 아리랑’이 출간되었다. 아리랑은 우리 한반도에 뿌리를 가지고 있는 누구나 쉽게 흥얼거리는 우리의 국가와 같은 노래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나 복원 등은 생각보다 깊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사 선생님인 저자는 수백, 수만의 아리랑과 사설을 모으기 시작했고, 일본의 침략에 맞서 부른 항일 아리랑만을 모은 책의 필요성을 느껴 ‘항일 아리랑’을 집필했다. 어떤 아리랑은 동학 농민군이 죽어가면서 불렸고, 또 어떤 아리랑은 해방이 되어 돌아오면서 불렸던 것처럼 ‘아리랑’만으로 그 시대의 역사나 사건 등을 알 수 있어 연구 자료뿐만 아니라,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1장. 아리랑의 어원과 기원 2장. 개화기의 항일투쟁과 아리랑 3장. 개화기 일제침탈과 아리랑 4장. 간도 독도 그리고 아리랑 5장. 일제강점기 무장투쟁과 항일 아리랑 6장. 일제강점기 일제의 수탈과 아리랑 7장. 일제강점기 강제 징용, 징병과 아리랑 8장. 일제강점기 항일 아리랑 9장. 항일 아리랑 가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