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0254 | |
005 | 20210226154211 | |
007 | ta | |
008 | 210223s2021 ulka 001c kor | |
020 | ▼a 9791195933020 ▼g 03900 | |
035 | ▼a (KERIS)REQ000052695195 | |
040 | ▼a 241008 ▼c 21100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1.309 ▼2 23 |
085 | ▼a 001.309 ▼2 DDCK | |
090 | ▼a 001.309 ▼b 2021 | |
100 | 1 | ▼a Bod, Rens, ▼d 1965- |
245 | 1 0 | ▼a 인문학의 새로운 역사 / ▼d 렌스 보드 지음 ; ▼e 이강옥, ▼e 허근혁 옮김 |
246 | 0 3 | ▼a 언어, 음악, 미술, 문헌, 논리, 수사, 역사기록을 포함한 인문학의 재발견 |
246 | 1 9 | ▼a A new history of the humanities : ▼b the search for principles and patter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
246 | 3 9 | ▼a New history of the humanities |
260 | ▼a 서울 : ▼b 토러스북, ▼c 2021 | |
300 | ▼a 638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부록: A. 연구 방법에 관한 주석, B. 중국 주요 시대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Humanities ▼x History |
700 | 1 | ▼a 이강옥, ▼e 역 |
700 | 1 | ▼a 허근혁, ▼e 역 |
900 | 1 0 | ▼a 보드, 렌스,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09 2021 | 등록번호 1118442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문학의 여러 분야를 최초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한 책이다. 또한 인문학의 본류이지만 지금은 소외된 언어학, 음악학, 미술이론, 문헌학, 논리학, 수사학, 역사기록학 등의 영역을 단일하고 일관성 있는 설명으로 한데 모은다.
그리하여 이슬람과 인도 문명을 포함하는 지적 거인들의 백과사전을, 인문학에 등장한 수많은 방법론과 원칙과 함께 제공한다. 그리고 이 책은 인문학의 역사를 새롭게 기술하면서, 미래 가치를 만드는 통합의 인문학을 제시한다.
언어학의 파니니, 시바와히, 야코프 그림, 놈 촘스키
문헌학의 크리시푸스, 이븐 이스하크, 로렌초 발라, 카를 라흐만
음악학의 피타고라스, 아리스토크세누스, 바라타 무니
논리학의 아벨라르, 오캄, 장 뷔리당, 아비센나
수사학의 헤르모게네스, 베르나르 라미, 지암바티스타 비코
미술이론의 비트루비우스, 알베르티, 파노프스키
역사기록학의 알 마수디, 알 비루니, 이븐 할둔, 브루니, 스칼리제르
우리는 세상을 바꾼 인문학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
‘과학’에서 가장 오래된 법칙은 음악 법칙이다. 그 법칙은 화성적 음정에 관한 것으로, 피타고라스가 고안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기원전 500년경, 파니니는 산스크리트어가 ‘문법’이라는 정교한 규칙에 기반을 둔다고 발견하였는데, 이는 수십 세기 후 컴퓨터공학의 기초가 되었다. 15세기에 로렌초 발라가 문헌학을 통해 〈콘스탄티누스 대제 기진장〉을 가짜라고 증명하여, 순식간에 교황의 권력이 허구에 기반을 둔 것으로 드러났고, 이는 .종교개혁의 밑바탕이 되었다. 또한 현대의 해체주의자들은 그 접근방식이 기원전 3세기 페르가몬 변칙론자들과 놀랍도록 유사하다. 인문학의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이러한 연구들을 ‘새로운 역사’에 포함해야 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렌스 보드(지은이)
암스테르담 대학교 디지털 인문학부와 인문학 역사학부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인문학을 컴퓨터사용의 측면과 세계 역사의 측면에서 동시에 연구한다. 그는 현재 ‘인문학의 역사’ 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네덜란드 인문학과 과학 왕립학회 회원이다. 저서로는 《문법을 넘어서》Beyond Grammar(1998), 《Probabilistic Linguistics》(2003), 《Data-Oriented Parsing》(2003), 《The Forgotten Sciences》(2010), 《The History of Knowledge》(2019)가 있다. 《인문학의 새로운 역사》A New History of the Humanities(영문판, 2013)는 그의 대표작으로, 네덜란드어판이 2011년에 케니스링크Kennislink 최우수 과학도서로 선정되었으며, 8개 국어로 번역되었다. *한국에 출판된 책은 《문법을 넘어서》와 《인문학의 새로운 역사》
허근혁(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미국 칼아츠 필름/비디오 대학원을 졸업하였고, 삼성영상사업단과 EBS에서 근무하였으며, 홍익대와 한양대 등에서 영상제작을 강의하였다. 옮긴 책으로는《세계, 인간 그리고 다큐멘터리》가 있다.
이강옥(옮긴이)
서강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루앙 대학교 대학원 예술상호학 문화프로젝트 기획제작과에서 영상교육을 전공하였으며, 현재 인문예술교육 강사와 영화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목차
제1장 서론: 원칙과 양식을 찾아서 …………………………………… 15 제2장 고대: 인문학의 여명 …………………………………………… 35 1. 언어학: 문법의 탄생 - 35 2. 역사기록학: 자료 문제, 그리고 과거의 형식 - 48 3. 문헌학: 원문복원의 문제 - 65 4. 음악학: 화성과 선율의 법칙 - 74 5. 미술이론: 세계의 시각적 복제 - 87 6. 논리학: 추론의 규칙 - 99 7. 수사학: 학문영역으로서의 웅변술 - 109 8. 시학: 문학과 연극의 연구 - 121 결론: 고대 인문학의 공통 양식 - 131 제3장 중세: 보편적인 것과 특별한 것 ……………………………… 137 1. 언어학: 규칙에서 사례로 - 138 2. 역사기록학: 보편사, 그리고 형식전달 이론 - 153 3. 문헌학: 필사가, 백과전서파와 번역가들 - 186 4. 음악학: 음악적 실행의 형식화 - 195 5. 미술이론: 규칙 따르기와 깨기 - 210 6. 논리학: 진정한 삼단논법의 법칙 - 221 7. 수사학과 시학: 여러 가지 규칙 모음 - 232 결론: 중세 인문학의 혁신 - 246 제4장 근세: 인문학의 통합 …………………………………………… 251 1. 문헌학: 근세 학문의 여왕 - 252 2. 역사기록학: 문헌학의 확산과 세계관의 세속화 - 282 3. 언어학과 논리학: 인문주의의 굴레 아래에서 - 321 4. 음악학: 인문주의와 자연과학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 - 345 5. 미술이론: 보이는 세계 재현의 전환점 - 366 6. 수사학: 모든 것(또는 무無)의 과학? - 394 7. 시학: 곤경에 빠진 고전주의 - 401 결론: 근세 인문학에 진보가 있었나? - 413 제5장 근현대: 새로워진 인문학 ……………………………………… 431 1. 역사기록학: 세계의 역사화 - 432 2. 문헌학: 완성된 학문영역인가? - 466 3. 언어학과 논리학: 언어와 의미의 법칙 - 480 4. 음악학: 체계 대 역사 - 514 5. 미술사와 고고학: 시각 문헌학을 향하여 - 529 6. 문학과 연극 연구: 기이하게 사라진 수사학과 시학 - 553 7. 모든 매체와 문화에 대한 연구: 영화학부터 뉴미디어까지 - 573 결론: 근현대 인문학에 단절이 있는가? - 584 제6장 결론: 인문학에서 얻은 통찰이 세상을 바꾸었다 ……………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