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0236 | |
005 | 20210226135722 | |
007 | ta | |
008 | 210223s2020 ulka 000c kor | |
020 | ▼a 9788930318952 ▼g 93680 | |
035 | ▼a (KERIS)BIB000015770580 | |
040 | ▼a 223009 ▼c 223009 ▼d 223009 ▼d 211009 | |
082 | 0 4 | ▼a 791.430233092 ▼2 23 |
085 | ▼a 791.430233 ▼2 DDCK | |
090 | ▼a 791.430233 ▼b 2020z6 | |
100 | 1 | ▼a 지명혁, ▼g 池明赫 |
245 | 1 0 | ▼a 로베르 브레송의 영화 미학 / ▼d 지명혁 저 |
260 | ▼a 서울 : ▼b 집문당, ▼c 2020 | |
300 | ▼a xi, 253 p. : ▼b 삽화 ; ▼c 23 cm | |
600 | 1 0 | ▼a Bresson, Robert, ▼d 1901-1999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233 2020z6 | Accession No. 1118442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지명혁(지은이)
한양대학교 문과대학 연극영화과 졸업, 파리 소르본 대학원 영화학 석.박사학위 취득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영상미디어 전공 주임교수, 프랑스문화예술학회 회장 대한민국영상제 심사위원장, 영상물등급위원회위원장,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예술공연학부 영화전공 교수, 대한민국 청소년영화제 공동집행위원장 현재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자문위원, 부산콘텐츠마켓 자문위원 [주요 저서/역서] 세계 영화 100(외 공저, 1996. 한겨레신문사) 연극 영화용어 순화집(외 공저, 2001. 문화관광부) 영화와 현대사회(역서, 1998. 민음사), 영화의 빛(역서, 1998. 민음사) 영화와 소리(역서, 2000. 민음사), 로베르 브레송(외 공저, 2003. 시네마테크 부산) 에로시티즘과 영화(역서, 2008. 푸른사상사) 외 [논문] 탈장르시대의 문학과 영화, 전자영상물 바로보기 영화 '비브르 사 비'에 나타난 초상화에서 자화상까지 로베르 브레송 영화에 나타난 비움의 미학과 동양사상 영상문화 콘텐츠의 산업화, 변화되는 교육환경에서의 영상콘텐츠활용 방법론 한국영화에 나타난 6.25전쟁, 국내 영화시장의 다양성 확보 방안 외 다수

Table of Contents
제1부 문체의 탄생 제1장 프레임 1. 하나의 렌즈 : 50mm 2. 데카드라주D?cadrage의 개념 3. 프레임 구성법 제2장 사운드 연출 1. 미셸 시옹Michel Chion의 소리 이론 2. 로베르 브레송의 소리의 연출법과 실제 제3장 편집 1. 삭제 2. 장면 연결 3. 리듬 제4장 무대 장치 1. 브레송의 무대 장치 2. 사회적이고 개인적 신분 표시로서의 의상 제2부 브레송 영화의 등장인물 제1장 브레송 인물의 특징 1. 거의 위압적이지 않은 외모 2. 거의 구분이 없는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의 개념 3. 주위와는 관계없는 등장인물들 4. 거의 전개되지 않는 관능성 5. 드물게 표현되는 절정감 6. 몸짓과 신체적 태도로 표현되는 내면 감정 제2장 브레송 영화 속 등장인물의 행동심리학 1. 욕망 2. 정념에 대한 의지 3. 반항 4. 자기중심주의와 상호 단절 5. 고독 제3장 브레송 영화에서 등장인물의 변화 1. 은총의 상태에 도달 2. 자기 파멸에 빠지다 제3부 비전문배우이거나 자연스러움을 위한 방법 제1장 극작법과 영화기술 제2장 브레송 영화에서 연기자의 개념 제4부 로베르 브레송 영화에 나타난 비움의 미학과 동양사상 제1장 비움의 미학 1. 빈 화면 영역과 비화면영역 2. 음악의 배격과 침묵의 사용 3. 감독의 비움, 관객의 채움 제2장 브레송 영화의 자연성과 무위無爲사상 제3장 브레송 영화 속의 등장인물들과 도가사상 1. 모델론 2. 도가사상과 브레송의 등장인물들 제5부 사회학적 비평 방법을 통해 본 로베르 브레송의 영화 제1장 로베르 브레송 이전에 나타난 영화의 어떤 경향들 1. 무성영화(1910~1920년대 말) 2. 유성영화(1920년대 말~1940년대 초) 제2장 로베르 브레송 영화에 나타난 사회ㆍ역사학적 측면에서 본 영화의 경향 1. 브레송의 초기영화(1943~1956년) 2. 브레송의 제2기 영화(1959~1966년) 3. 브레송의 제3기 영화(1967~1974년) 4. 브레송의 제4기 영화(1977~198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