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출근부터 퇴근까지 커리어에 집중하게 해 주는) 루틴의 힘. 2 (Loan 1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Seelig, Tina, 저 Foer, Joshua, 저 Young, Scott H., 저 Belsky, Scott, 저 Schwartz, Tony, 저 Halvorson, Heidi Grant, 저 Amabile, Teresa, 저 Kramer, Steven, 저 Ben-Ur, Ela, 저 Landauer, Steffen, 저 Stanier, Michael Bungay, 저 Bates, Sunny, 저 Burkus, David, 저 McGuinness, Mark, 저 Newport, Cal, 저 Casnocha, Ben, 저 Safian, Robert, 저 Schwalbe, Michael, 저 Caddell, John, 저 Fields, Jonathan, 저 Johansson, Frans, 저 Cheng, Jack, 저 Glei, Jocelyn K., 편 오일문, 역
Title Statement
(출근부터 퇴근까지 커리어에 집중하게 해 주는) 루틴의 힘. 2 / 티나 실리그, 조슈아 포어, 스콧 영 외 지음 ; 조슬린 K. 글라이 엮음 ; 오일문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부키,   2021  
Physical Medium
212 p. ; 19 cm
Varied Title
Maximize your potential : grow your expertise, take bold risks & build an incredible career
ISBN
9788960518315
General Note
공저자: 스콧 벨스키, 토니 슈워츠,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 테리사 애머빌, 스티븐 크레이머, 엘라 벤 우르, 슈테펜 랜다우어, 마이클 번게이 스태니어, 서니 베이츠, 데이비드 버커스, 마크 맥기니스, 칼 뉴포트, 벤 카스노차, 로버트 사피안, 마이클 슈월비, 존 캐델, 조너선 필즈, 프란스 요한손, 잭 쳉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9625
005 20210329103148
007 ta
008 210223s2021 ulk 000c kor
020 ▼a 9788960518315 ▼g 0319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153.4 ▼2 23
085 ▼a 153.4 ▼2 DDCK
090 ▼a 153.4 ▼b 2020z1 ▼c 2
245 2 0 ▼a (출근부터 퇴근까지 커리어에 집중하게 해 주는) 루틴의 힘. ▼n 2 / ▼d 티나 실리그, ▼e 조슈아 포어, ▼e 스콧 영 외 지음 ; ▼e 조슬린 K. 글라이 엮음 ; ▼e 오일문 옮김
246 1 9 ▼a Maximize your potential : ▼b grow your expertise, take bold risks & build an incredible career
260 ▼a 서울 : ▼b 부키, ▼c 2021
300 ▼a 212 p. ; ▼c 19 cm
500 ▼a 공저자: 스콧 벨스키, 토니 슈워츠,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 테리사 애머빌, 스티븐 크레이머, 엘라 벤 우르, 슈테펜 랜다우어, 마이클 번게이 스태니어, 서니 베이츠, 데이비드 버커스, 마크 맥기니스, 칼 뉴포트, 벤 카스노차, 로버트 사피안, 마이클 슈월비, 존 캐델, 조너선 필즈, 프란스 요한손, 잭 쳉
700 1 ▼a Seelig, Tina, ▼e
700 1 ▼a Foer, Joshua, ▼e
700 1 ▼a Young, Scott H., ▼e
700 1 ▼a Belsky, Scott, ▼e
700 1 ▼a Schwartz, Tony, ▼e
700 1 ▼a Halvorson, Heidi Grant, ▼e
700 1 ▼a Amabile, Teresa, ▼e
700 1 ▼a Kramer, Steven, ▼e
700 1 ▼a Ben-Ur, Ela, ▼e
700 1 ▼a Landauer, Steffen, ▼e
700 1 ▼a Stanier, Michael Bungay, ▼e
700 1 ▼a Bates, Sunny, ▼e
700 1 ▼a Burkus, David, ▼e
700 1 ▼a McGuinness, Mark, ▼e
700 1 ▼a Newport, Cal, ▼e
700 1 ▼a Casnocha, Ben, ▼e
700 1 ▼a Safian, Robert, ▼e
700 1 ▼a Schwalbe, Michael, ▼e
700 1 ▼a Caddell, John, ▼e
700 1 ▼a Fields, Jonathan, ▼e
700 1 ▼a Johansson, Frans, ▼e
700 1 ▼a Cheng, Jack, ▼e
700 1 ▼a Glei, Jocelyn K., ▼e
700 1 ▼a 오일문, ▼e
900 1 0 ▼a 실리그, 티나, ▼e
900 1 0 ▼a 포어, 조슈아, ▼e
900 1 0 ▼a 영, 스콧, ▼e
900 1 0 ▼a 벨스키, 스콧, ▼e
900 1 0 ▼a 슈워츠, 토니, ▼e
900 1 0 ▼a 할버슨, 하이디 그랜트, ▼e
900 1 0 ▼a 애머빌, 테리사, ▼e
900 1 0 ▼a 크레이머, 스티븐, ▼e
900 1 0 ▼a 벤 우르, 엘라, ▼e
900 1 0 ▼a 랜다우어, 슈테펜, ▼e
900 1 0 ▼a 스태니어, 마이클 번게이, ▼e
900 1 0 ▼a 베이츠, 서니, ▼e
900 1 0 ▼a 버커스, 데이비드, ▼e
900 1 0 ▼a 맥기니스, 마크, ▼e
900 1 0 ▼a 뉴포트, 칼, ▼e
900 1 0 ▼a 카스노차, 벤, ▼e
900 1 0 ▼a 사피안, 로버트, ▼e
900 1 0 ▼a 슈월비, 마이클, ▼e
900 1 0 ▼a 캐델, 존, ▼e
900 1 0 ▼a 필즈, 조너선, ▼e
900 1 0 ▼a 요한손, 프란스, ▼e
900 1 0 ▼a 쳉, 잭, ▼e
900 1 0 ▼a 글라이, 조슬린 K.,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3.4 2020z1 2 Accession No. 12125687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1-2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153.4 2020z1 2 Accession No. 15135376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3.4 2020z1 2 Accession No. 12125687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1-2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153.4 2020z1 2 Accession No. 15135376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계적인 집단 지성 플랫폼 99U의 《루틴의 힘》 시리즈 두 번째 책이 나왔다. 우리의 일상을 보다 탄탄하게 만들어 주는 일상 관리 도구로서의 루틴들을 소개한 전작과 다르게, 후속작에서는 업무력을 높이고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등 직장인들에게 유용한 커리어 관리 도구로서의 루틴들을 소개한다.

스탠퍼드대학교 교수이자 《스무 살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의 저자 티나 실리그, 《1년 만에 기억력 천재가 된 남자》를 쓴 조슈아 포어, 교육 콘텐츠 사업가 겸 《울트라러닝, 세계 0.1%가 지식을 얻는 비밀》의 저자 스콧 영, 조지타운대학교 교수이자 《열정의 배신》 《딥 워크》를 쓴 칼 뉴포트, 어도비의 커뮤니티 부문 부사장 스콧 벨스키 등 세계적인 아웃라이어 23인은 일과 휴식을 반복해 집중력을 높여 주는 업무 루틴, 체계적으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셀프 피드백 루틴, 실수와 실패를 교훈 삼아 새 프로젝트에 도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회복 루틴, 새로운 인재 발굴을 통해 최고의 팀을 만들 수 있는 협업 루틴 등 직장인들이 언제 어디서나 탁월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성공 습관과 루틴 노하우를 선사한다.

언제 어디서나 탁월한 성과와 커리어를 만들고 싶다면?
불확실한 세상에서 유일하게 확실한 성공 전략 ‘루틴’을 가져라!


세계적인 집단 지성 플랫폼 99U의 《루틴의 힘》 시리즈 두 번째 책이 나왔다. 우리의 일상을 보다 탄탄하게 만들어 주는 일상 관리 도구로서의 루틴들을 소개한 전작과 다르게, 후속작에서는 업무력을 높이고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등 직장인들에게 유용한 커리어 관리 도구로서의 루틴들을 소개한다.
스탠퍼드대학교 교수이자 《스무 살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의 저자 티나 실리그, 《1년 만에 기억력 천재가 된 남자》를 쓴 조슈아 포어, 교육 콘텐츠 사업가 겸 《울트라러닝, 세계 0.1%가 지식을 얻는 비밀》의 저자 스콧 영, 조지타운대학교 교수이자 《열정의 배신》 《딥 워크》를 쓴 칼 뉴포트, 어도비의 커뮤니티 부문 부사장 스콧 벨스키 등 세계적인 아웃라이어 23인은 일과 휴식을 반복해 집중력을 높여 주는 업무 루틴, 체계적으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셀프 피드백 루틴, 실수와 실패를 교훈 삼아 새 프로젝트에 도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회복 루틴, 새로운 인재 발굴을 통해 최고의 팀을 만들 수 있는 협업 루틴 등 직장인들이 언제 어디서나 탁월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성공 습관과 루틴 노하우를 선사한다.

루틴은 하기 싫어도 시작할 수 있게 도와주고, 일단 시작하면 끝까지 해내게 만들어 주는 최고의 일상 관리 도구다. 또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새로운 기회를 발견할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에 직장인들을 위한 최고의 커리어 관리 도구이기도 하다.
실제로 미국 텍사스A&M대학교와 와이오밍대학교의 합동 연구 팀이 대학 직원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 조사 결과, 자신만의 업무 루틴이 없는 사람은 루틴을 가진 사람에 비해 생산력과 집중력이 떨어지고 불안감 속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루틴은 우리가 일하는 동안 평정심을 유지하게 해 주고, 창의력과 집중력을 높여 주며, 무엇보다 잡무와 딴짓 때문에 시간과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막아 준다.
이 책은 집단 지성 플랫폼 99U의 출간 프로젝트인 《루틴의 힘》 시리즈의 두 번째 책으로, 일상을 탄탄하게 만들어 주는 루틴들을 소개한 전작과 달리 이번에는 직장인들이 업무 역량을 높이고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루틴 전략들을 소개한다. ‘스탠퍼드의 빌 게이츠’라는 별명을 가진 스탠퍼드대학교 교수 티나 실리그, 교육 콘텐츠 사업가 스콧 영, 기업 성과 관리 컨설턴트 토니 슈워츠, 어도비의 커뮤니티 부문 부사장 스콧 벨스키 등 기업 및 커리어 혁신 전문가들과 그 외에 경제경영, 예술, 교육, 라이프스타일 분야를 대표하는 아웃라이어들이 필진으로 참여하여 자기만의 성공 습관과 루틴 노하우를 독자들에게 선사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직장과 가정에서 최고의 변화를 가져다줄 무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업무 제한시간 루틴, 셀프 피드백 활용하기, 실패 이력서 쓰기…
일 잘하는 사람은 루틴으로 탁월한 성과를 만든다!


기업 성과 관리 컨설팅 회사 ‘에너지 프로젝트’의 CEO이자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인 《몸과 영혼의 에너지 발전소》의 저자 토니 슈워츠는 여러 해 동안 업무에 집중할 수 없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하루 종일 휴식 시간도 따로 없이 책상에 앉아 있었지만 잡무와 딴짓에 정신이 팔리기 일쑤였다. 이처럼 불필요한 일에 시간과 에너지를 쏟다 보니 별다른 성과 없이 하루를 마무리하는 날이 많았다.
그는 업무를 하기 전에 시간제한을 두는 루틴을 만들었다. 시작과 종료 시간을 명확하게 정하면 일에 들어가는 부담이 덜하고 지금 하는 일에만 오롯이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일을 마치면 10분 정도 쉬면서 간식을 먹거나 스트레칭이나 SNS를 하면서 에너지를 보충했다. 그렇게 ‘1시간 30분 집중과 10분 휴식’이라는 자신만의 루틴을 반복하자 예전에는 책 한 권 쓰는 데 약 1년이 걸렸지만 이제는 반년 동안 2권을 완성할 수 있게 되었다.(29쪽)
이처럼 자신에게 맞는 루틴을 업무에 활용하면 효율과 생산성이 크게 높아진다. 예를 들어 커리어가 정체되지 않도록 역량을 꾸준히 발전시키고 싶다면 《1년 만에 기억력 천재가 된 남자》를 쓴 과학 저널리스트 조슈아 포어의 루틴을 주목하자. 그는 기억력 훈련을 할 때마다 연습 내용을 스프레드시트에 적어서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 다음에는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 진행 상황을 한눈에 확인했다. 이렇게 객관적인 셀프 피드백 체계를 만들면 업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38쪽)
스탠퍼드대학교 교수이자 《스무 살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를 쓴 티나 실리그는 새 프로젝트에 도전하고 싶다면 ‘실패 이력서’ 쓰기를 추천한다. 이때 중요한 점은 각각의 실패에서 얻은 교훈을 반드시 적는 것이다. 왜냐하면 세계적인 기업가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위험을 감지하거나 회피하는 능력이 뛰어나서가 아니라, 실수하고 실패하더라도 빨리 회복하고 이를 교훈 삼아 다시 도전했기 때문이다. 실패 이력서 쓰기를 반복할수록 우리의 회복력은 점점 커지고 강해질 것이다.(173쪽)
더 나은 성과를 내는 팀을 만들고 싶다면? 미국 맥길대학교의 심리학 교수인 케빈 덤바의 연구에 의하면 팀원들의 경력과 개성이 다양할수록 팀의 단점은 보완되고 창의력은 극대화된다. 하지만 팀원들이 오랫동안 손발을 맞추면 ‘고인 물’이 되기 쉽다. 그래서 미국 오럴로버츠대학교 조교수이자 《친구의 친구》의 저자인 데이비드 버커스는 주기적으로 새로운 인재를 영입하는 협업 루틴을 통해 ‘구르는 돌’처럼 일하는 팀을 만들라고 조언한다.(95쪽)

1개월 1루틴 만들기, 일기 쓰기 루틴, 1년 전 나와 비교하기…
뉴노멀 시대에 루틴을 만드는 가장 확실한 방법!


하지만 하나의 루틴을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드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하물며 여러 개의 루틴을 한꺼번에 만들려고 했다가는 작심삼일의 덫에 빠지기 십상이다. 세계적인 교육 콘텐츠 사업가이자 《울트라러닝, 세계 0.1%가 지식을 얻는 비밀》의 저자 스콧 영도 10년 전까지 이런 실수를 반복했다. 욕심껏 네다섯 개의 루틴을 한꺼번에 만들려고 안간힘을 쓰다가 제풀에 지쳐서는 “마치 저글링 하던 공들을 모두 놓치는 것처럼” 나가떨어지고 만 것이다.
그는 루틴을 만드는 데 최소 30일이 필요하다는 한 연구 결과에 주목했다. 그래서 그는 매달 새로운 루틴 하나에만 집중하기로 했다. 일찍 일어나는 기상 루틴이 완전히 몸에 익으면 아침 운동 루틴으로 넘어갔고, 아침 운동 루틴이 완성되면 한 달에 한 권 독서 루틴을 시작했다. 어떤 사람들은 ‘1개월 1루틴 만들기’ 방법이 너무 느리다고 여길지도 모른다. 하지만 루틴 만들기의 부담을 줄여야 의지력이 약해지지 않고 끝까지 해낼 수 있다. 그렇게 1년이 지나면 루틴 12개는 ‘확실하게’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20쪽) 바로 지금 당신이 몇 개의 루틴을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 보면 12개가 결코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 《루틴의 힘 2》 필자들은 어떤 루틴 만들기 노하우를 가지고 있을까?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이자 《전진의 법칙》의 저자인 테리사 애머빌은 일과 일상에서 내가 어떻게 변화하고 성장하는지 생생하게 기록할 수 있는 일기 쓰기 루틴을 권한다. 이때 매일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일기를 쓰는 것이 중요한데, 온라인 일기 프로그램이나 앱의 알람을 활용하면 하루도 거르지 않고 꾸준히 쓸 수 있다.(56쪽)
눈앞의 성과에 매달리기보다 진정으로 배우고 성장하는 발전적인 마인드셋을 만들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컬럼비아대학교 경영대학원 동기과학센터 부소장이자 《어떻게 마음을 움직일 것인가》의 저자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은 자신을 남과 비교하지 말고 어제의 나, 한 달 전의 나, 1년 전의 나와 비교하는 습관을 가지라고 한다. 그러면 실수를 너그럽게 받아들일 수 있고,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는 생각 덕분에 의욕과 끈기를 유지할 수 있다.(46쪽)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토니 슈워츠(지은이)

기업 성과 관리 컨설팅 회사인 ‘에너지 프로젝트’의 회장 겸 CEO. 저널리스트로 시작해 《뉴욕타임스》 리포터, 《뉴스위크》 에디터, 미 경영월간지 《패스트컴퍼니》의 칼럼니스트 등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구글, GE, 자포스, 포드, 로열더치쉘,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질레트, 마스터카드 등 포춘이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삶과 조직의 에너지 관리에 대해 컨설팅하고 있다. 전 세계 28개 언어로 소개된 대표작 《몸과 영혼의 에너지 발전소》는 4개월 동안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자리를 지켰으며 《월스트리스저널》 베스트셀러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와 함께 쓴 《거래의 기술》 역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됐다. 그 외의 저서로 《무엇이 우리의 성과를 방해하는가》 《삶을 주관하는 힘, 몰입 에너지》 《무엇에든 탁월하라(Be Excellent at Anything)》 등이 있다.

칼 뉴포트(지은이)

조지타운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부교수로 현재 분산 알고리즘 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다트머스대학교를 최우수 장학생으로 졸업하고 MIT에서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아이비리그 우등생 클럽인 파이베타카파(Pi Beta Kappa)의 회원이었으며, 학습법 전문가로서 ABC, NBC, CBS 등의 TV 방송과 라디오 방송 등에 출연한 바 있다. 학습법에 대한 그의 이론은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 <가디언(The Guardian)>, <시애틀 타임스(The Seattle Times)> 등의 주요 신문에서 특집 기사로 다루어졌으며, 그 외 ‘라이프해커(Lifehacker)’나 ‘보잉보잉(Boing Boing)’과 같은 미국 내 인기 사이트에서도 다루어질 정도로 인기가 뜨거웠다. 그의 책 다수가 대학 교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학습법 관련 블로그인 ‘Study Hacks’ 또한 인기 블로그로 자리매김했다. 베스트셀러 《딥 워크》, 《열정의 배신》을 비롯한 6권의 책을 썼고, TED 강연 〈소셜 미디어를 끊어야 하는 이유〉는 700만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프란스 요한슨(지은이)

혁신 전략 기업 메디치그룹(The Medici Group)의 창립자. 메디치그룹은 불확실한 세상에서 새로운 분야의 개척을 꿈꾸며 기업, 비정부 기구, 여러 정부를 대상으로 컨설팅하고 있다. 브라운대학교에서 환경과학을 전공하고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보스턴에 본사를 둔 인터넷 기업 인카닷네트(Inka.net)의 설립자 겸 CEO를 역임했다. 저서로 《메디치 효과》 《클릭 모먼트》가 있다.

테리사 애머빌(지은이)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이자 하버드 리서치 센터 이사. 1977년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개인의 창의성과 팀의 창의성, 조직 혁신에 대한 연구 프로그램을 30년간 진행했고, 연구 결과는 프록터앤드갬블, 모토로라, 노바티스 등의 기업과 정부 기관, 교육 기관에 제공되었다. 1998년에는 미국국립영재협회(NAGC)에서 수여하는 E. 폴 토랜스 상을 수상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경영자 과정에 참여했으며, MBA 코스로 창의성을 위한 경영 과정을 만들었다. 하버드비즈니스출판부, 창의성교육재단, 시먼코퍼레이션의 임원, 《창의성연구저널(Creativity Research Journal)》 《창의성과 혁신 경영(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창의적행동저널(Journal of Creative Behavior)》의 편집 위원을 역임했다. 있다. PBS에서 방송된 교양 프로그램 〈Against All Odds〉의 진행을 맡기도 했다. 2011년, 경제학계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싱커스 50(Thinkers 50)’에 선정되었고, 스티븐 크레이머와 함께 《전진의 법칙》을 펴냈다. 그 외 저서로 《창조의 조건》이 있다.

스티븐 크레이머(지은이)

동기 부여와 생산성 분야의 연구자이자 컨설턴트. 브랜다이스대학교 심리학 교수를 지냈다. 테리사 애머빌과 함께 《전진의 법칙》을 펴냈다.

스콧 영(지은이)

교육 콘텐츠 사업가. MIT에 입학하지 않고도 1년 만에 MIT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 4년 과정을 독파해 획기적인 신학습법으로 미국 전역에 엄청난 화제를 불러일으킨 스콧 영은 2006년부터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학습, 생산성(productivity), 경력, 습관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글을 꾸준히 써 왔다. 이후 자신의 독학 프로젝트와 그에 관한 연구·조사 내용을 더 많은 사람에게 전문적으로 전하기 위해 스콧에이치영닷컴(ScottHYoung.com)을 창립했다. 전 세계 구독자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월 평균 방문자 수 20만 명, 정기 이메일 구독자 수 8만 명이 넘는 거대한 플랫폼으로 성장했으며 이 웹사이트에서만 제공되는 온라인 강좌는 1만 4000명의 유료 수강생들을 끌어모았다. 이 강의 콘텐츠들을 정리해 자비로 출판한 전자책은 중국에 수출돼 무려 17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지금까지 5년 넘게 공부법 분야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 책은 2019년 《울트라러닝, 세계 0.1%가 지식을 얻는 비밀》이라는 제목으로 미국에서 정식 출간되어 아마존 경제경영서 분야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으며, 《월스트리트저널》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울트라러닝은 스콧 영이 발견한 9단계 초학습의 법칙을 가리키는 용어로 테크놀로지 시대에 진입장벽이 낮아진 고등 교육과 새로운 고난도 기술 이론을 쉽고 빠르게 정복해 완벽히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혁신적이고 공격적인 독학법을 일컫는다. 그는 울트라러닝으로 단 12개월 만에 MIT 컴퓨터과학 전공 내 (오픈컬리지를 통해 제공된) 33개 수업을 성공적으로 이수하여 전미 교육시장에 매우 큰 충격을 주었고, 특히 기존의 전통적이고 수동적인 학교 교육의 틀을 완벽히 깨부수었다는 평을 들었다. 스콧 영은 TEDx, 팟캐스트, 유튜브 등의 여러 채널을 통해 울트라러닝에 관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으며, 그가 제시한 울트라러닝 학습법은 전 세계 각계각층의 인사들로부터 많은 격찬을 받고 있다. 그는 현재 캐나다 벤쿠버에 살고 있다.

벤 카스노차(지은이)

실리콘밸리 출신 기업가이자 작가. 그레이록파트너스와 링크트인의 경영진에 합류해 2년간 근무했으며 전자 정부 소프트웨어를 제작하는 회사인 콤케이트(Comcate)를 창업했다. 인터넷 정치 컨설팅 회사 폴리틱스온라인(PoliticsOnline)은 그를 ‘인터넷과 정치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25인’에, 《비즈니스위크》는 ‘미국에서 가장 뛰어난 청년 사업가’로 선정했다. 인재 관리와 혁신 분야를 대표하는 인기 강사이기도 한 그는 10여 개국이 넘는 나라를 돌아다니며 수백여 곳의 기업과 단체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저서로 《마이 스타트업 라이프》, 링크드인의 공동 창업자 리드 호프먼(Reid Hoffman)과 함께 쓴 《연결하는 인간》 《얼라이언스》가 있다.

마이클 슈왈비(지은이)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금융업계에 10년 이상 종사했으며 여러 기업 및 비정부 기구의 조직 발전 및 재정 분석 고문으로 일하고 있다. 99U, 오픈 포럼(OPEN Forum) 등 다수 매체에 기고하고 있으며 저서로 《야바위 게임》 등이 있다. 이 책은 미국 10개 이상의 대학에서 불평등 관련 수업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조나단 필즈(지은이)

작가이자 사업가. 블로그 ‘조너선필즈닷컴(JonathanFields.com)’에 글을 올리며, ‘굿라이프프로젝트닷컴(GoodLifeProject.com)’과 책 마케팅 교육 벤처 ‘트라이블어서닷컴(TribalAuthor.com)’을 운영한다. 그의 저서 《불확실성(Uncertainty)》은 2011년 ‘800-CEO-READ’가 선정한 최고의 자기 계발서로 꼽혔다.

마크 맥기니스(지은이)

런던에서 전문 창작자를 위한 상담 코칭을 하고 있으며, 전 세계 고객을 대상으로 창작 전문 기업들의 컨설팅도 담당하고 있다. 저서로 《회복력(Resilience)》이 있으며 99U에 칼럼을 쓴다.

잭 쳉(지은이)

작가 겸 디자이너. 상하이에서 태어나 다섯 살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했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뉴욕에서 광고 카피라이터와 IT업계 디자이너로 일했다. 이후 스타트업과 디자인 스튜디오를 창업하며 첨단기술이 삶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고민해 오던 잭 쳉은 그 고민을 소설로 써 내려가기 시작했고, 3년간 퇴근 후 저녁 시간과 주말을 할애해 집필에 매달린 끝에 첫 번째 소설 《요즈음(These Days)》을 완성했다. 2013년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인 킥스타터를 통해 출간한 첫 소설이 좋은 반응을 얻은 후 출판사와 계약해 두 번째 소설 《우주에서 만나요》를 펴냈다. 독특한 형식과 따뜻한 이야기를 결합해 사랑스러운 주인공의 목소리로 들려준 이 소설은 골든 카이트 어워드(2018)와 그레이트 레이크스 그레이트 리즈 어워드(2017)를 수상했고 미국 독립 서점 연합에서 뽑는 인디넥스트 픽 톱10에 선정되었으며, 전 세계 30여 개국에 번역·출간되었다.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지은이)

세계적인 심리학자로서, 컬럼비아대학교 경영대학원 동기과학센터 부소장과 ‘EY 아메리카스 러닝’ 연구개발소장을 맡고 있다. 목표 달성, 동기 부여, 설득, 리더십에 대해 20년 넘게 연구했으며 이 주제에 관하여 전 세계 유수 기업을 대상으로 임직원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또한 《하버드비즈니스리뷰》 《포브스》 《허핑턴포스트》 등의 매체에 글을 기고하고 있다. 그중 〈작심하면 해내는 사람들의 9가지 남다른 행동〉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웹사이트 역사상 가장 많은 조회 수를 기록했다. 그녀의 오랜 연구와 대중적 활동은 경영학계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싱커스 50(Thinkers 50)’으로부터 인정을 받아 2017년과 2019년, 두 차례 연속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하이디 그랜트의 TED 강연 〈도움을 청하는 법: 그리고 ‘예스’를 얻는 법〉은 2019년 6월 TED 웹사이트에 첫 게시된 이래 1년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무려 260만이 넘는 조회 수를 기록했는데, 이 TED 강연의 정수가 《어떻게 마음을 움직일 것인가》에 담겼다. 그 외 저서로 《어떻게 최고의 나를 만들 것인가》 《작심삼일과 인연 끊기》 《아무도 나를 이해해주지 않아》 《어떻게 의욕을 끌어낼 것인가》(공저) 등이 있다.

티나 실리그(지은이)

실리콘밸리의 산실(産室)로 불리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공과대학 경영과학공학과 교수. 스탠퍼드 의과대학에서 신경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스탠퍼드 테크놀로지 벤처 프로그램의 이사로 재직 중이며 ‘디자인 씽킹’ 교육을 주도하고 있는 스탠퍼드 디스쿨(d.school)에서 강의하고 있다. 기업가 정신의 최고 권위자로서 ‘스탠퍼드의 빌 게이츠’라 불리며 학생들에게 창의적 아이디어와 혁신적 도전을 향한 영감을 불어넣어 애플,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으로 직행하는 실리콘밸리형 인재 육성에 이바지해왔다. 2009년에 공학 교육에 선구자적 업적을 인정받아 교육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미국 공학한림원(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의 고든상(Gordon Prize)을 수상했고, 올림포스 이노베이션상(Olympus Innovation Award)과 실리콘밸리 비저너리상(Silicon Valley Visionary Award)을 받았다. 저서로 《스무 살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시작하기 전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인지니어스》 등 16권의 책이 있으며, 현재는 전 세계를 활동 무대로 ‘창의적 사고법’ 강연을 펼치고 있다.

스콧 벨스키(지은이)

기업가이자 벤처 투자자로 스타트업을 선도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 2006년에 크리에이티브 전문가들이 작품을 선보이고 서로 연계를 맺는 세계적인 온라인 플랫폼 ‘비핸스Behance’를 설립했다. 2012년 말 ‘어도비Adobe’가 1억 5000만 달러에 비핸스를 인수한 후 그곳에서 모바일 제품과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책임을 맡았다. 집필과 자문 활동을 위해 얼마간 휴직한 뒤, 2018년 초 어도비 CPO(최고제품책임자)로 복귀했다.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의 제품 고문 및 초기 투자자로 활동하며 창의적인 사람들의 커리어에 힘을 실어주는 데도 열정을 쏟고 있다. 지은 책으로 《루틴의 힘: 흔들리지 않고 끝까지 계속하게 만드는Manage Your Day-To-Day》, 《그들의 생각은 어떻게 실현됐을까Making Ideas Happen》가 있다.

조슈아 포어(지은이)

아틀라스 옵스큐라(Atlas Obscura)와 쑤카 시티(Sukkah City)의 공동 설립자이자 과학 저널리스트. 예일대학교를 졸업한 후 프리랜서 과학 저널리스트로 일하면서 기이한 주제를 찾아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글을 쓴다.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내셔널지오그래픽》 《에스콰이어》 등 매체에 글을 쓴다. 저서로 《1년 만에 기억력 천재가 된 남자》 《아틀라스 옵스큐라》가 있다.

마이클 번게이 스테이너(지은이)

뛰어난 코칭 전문가이자 저명한 강연자. 또한 관리자와 리더들이 10분 내에 코칭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회사 ‘박스오브크레용(Box of Crayons)’의 설립자이며 선임 파트너이기도 하다. 시간이 빠듯한 관리자들이 10분 내에 코칭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워크숍을 진행하지 않을 때는 다양한 저술과 출판물을 통해 리더십에 관한 생각(그리고 장난기 가득한 유머 감각)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한다. 그의 저서 《더 위대한 일을 하라(Do More Great Work)》는 10만 부 가까이 판매되었고, 전 세계 위대한 사상가들의 수필을 모은 《엔드 말라리아》는 아마존 베스트셀러로 ‘말라리아 노 모어’ 재단에 수익금을 기부하고 있다. 《패스트컴퍼니》 《파이낸셜타임스》 《글로브앤메일》 등의 매체에 기고했으며, 캐나다 CTV의 아침 방송 〈브렉퍼스트 텔레비전〉에 출연했다. 박스오브크레용을 설립하기 전에는 혁신 컨설팅 회사에서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했고, 대규모 변화 관리 분야에서 전문 경영 컨설턴트로 일했으며 영국의 제약 회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에서 글로벌 전략을 수립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옥스퍼드대학교 로즈 장학생이며, 2006년 ‘올해의 캐나다 코치 상’ 첫 수상자이다.

데이비드 버커스(지은이)

〈싱커스 50〉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 사상가’ 세계 최고의 비즈니스 사상가 중 한 사람으로서, 미래 지향적 사상과 저술을 통해 전 세계 리더들과 팀들이 최고의 성과를 내는 것을 돕고 있다. 구글(Google), 스트라이커(Stryker), 피델리티(Fidelity), 바이어컴(Viacom), 그리고 미국 해군사관학교(USNA)까지 포함한 모든 분야의 리더들을 가르쳤다. 리더십과 팀워크에 대한 그의 통찰력은 〈월스트리트저널〉, 〈하버드비즈니스리뷰〉, 〈USA투데이〉, 〈패스트컴퍼니〉, 〈파이낸셜타임스〉, 〈블룸버그비즈니스위크〉, CNN, BBC, NPR, CBS 〈This Morning〉에서 특집으로 다루기도 했다. 2017년 이후 그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싱커스50(Thinkers50)’이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경영 사상가 중 한 명으로서 인정받고 있다. 국제적으로 인기 있는 강연자로 활약하고 있으며, 특히 〈테드 토크(TED Talk)〉 동영상은 200만 번이 넘는 조회 수를 기록했다. 경영대학원 교수 출신인 그는 오클라호마대학교(University of Oklahoma)에서 조직심리학 석사 학위를, 리젠트대학교(Regent University)에서 전략적 리더십에 관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친구의 친구》, 《경영의 이동》, 《창조성, 신화를 다시 쓰다》가 있다. 그의 책은 다수의 상을 받았고, 수십 개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현재 아내와 두 아들과 함께 미국 오클라호마주 털사 교외에 살고 있다. · 홈페이지: https://davidburkus.com/

조슬린 K. 글라이(지은이)

어도비의 온라인 크리에이티브 커뮤니티 ‘비핸스(Behance)’의 대표 프로젝트인 ‘99U’의 편집장. ‘인터넷계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웨비 상(Webby Award)’에 빛나는 99U 웹사이트, 인기 이벤트, 베스트셀러 도서 출간을 총지휘한다. 또한 《루틴의 힘》 시리즈의 편집자이기도 하다.

로버트 사피안(지은이)

《패스트컴퍼니》의 편집장. 《타임》 《포천》의 편집장을 지냈으며 6년간 《머니매거진》을 이끌었다.

엘라 벤 우르(지은이)

미국 올린공과대학교 교수이자 디자인 회사 아이데오(IDEO)에서 근무하고 있다. 회사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의 혁신 디자인 코치와 자문 위원으로 활동한다.

슈테펜 랜다우어(지은이)

시티그룹(Citigroup)에서 최고 교육 책임자로, HP와 골드만삭스에서 리더십 개발 책임자로 일했으며 현재 글로벌 리서치 기업 에버코어(Evercore)에서 역량 개발 책임자로 일하고 있다.

서니 베이츠(지은이)

인적 네트워크 개발 전문가. 킥스타터(Kickstarter), 테드(TED), GE, 크레디트 스위스(Credit Suissue), 엠티비, 미국과학아카데미(National Academy of Sciences), 가디언(Guardian), 테크스타(TechStars) 등 전 세계 유수 조직을 상대로 연결과 갈등 해소에 대한 컨설팅을 하고 있다.

존 캐델(지은이)

업무와 관련된 실패담을 공유하는 웹사이트 ‘더미스테이크뱅크(The Mistake Bank)’의 책임자. IT 기업에서 25년 이상 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그의 저서 《더미스테이크뱅크》는 아마존에서 구할 수 있다.

오일문(옮긴이)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10여 년간 방송 작가로 일했다. 현재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세상을 알아 가면서 언어에 오롯이 집중하는 번역에 매력을 느껴 매진하고 있으며, 원문의 여백과 결을 고스란히 담아내는 번역을 꿈꾼다. 옮긴 책으로 《장래희망은 이기적 인 년》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소개말: 최고의 아이디어 플랫폼, 99U에 대하여
엮은이의 말: 탁월한 커리어를 위한 최고의 실천 교본 _조슬린 K. 글라이
프롤로그: 당신은 뉴노멀 혁신가가 될 준비를 마쳤는가 _스콧 벨스키

1장 자기 일의 능력자가 되게 해 주는 루틴의 힘
루틴의 재설계가 필요한 순간 _스콧 영
나는 어떻게 루틴으로 탁월한 결과를 내는가 _토니 슈워츠
(Q&A) 안전지대가 당신을 망치는 이유 _조슈아 포어
눈앞의 성과보다 바람직한 성장에 집중하라 _하이디 그랜트 할버슨
일기 쓰기로 나만의 성공 패턴 만드는 법 _테리사 애머빌, 스티븐 크레이머, 엘라 벤 우르

2장 꼭 필요한 네트워크를 만드는 루틴의 힘
도움을 청할 줄 아는 사람이 이긴다 _슈테펜 랜다우어
인간관계에 탄력성을 더하라 _마이클 번게이 스태니어
(Q&A) 인맥을 쌓을 때 주의해야 할 것들 _서니 베이츠
작은 세상 네트워크로 최강의 팀 완성하기 _데이비드 버커스
창의적인 성과를 내려면 협업의 대가가 되어라 _마크 맥기니스

3장 기회와 가능성을 창출시키는 루틴의 힘
열정의 배신에 당하지 마라 _칼 뉴포트
당신 안의 사업가 본능을 일깨워라 _벤 카스노차
(Q&A) 자신에게 맞는 일을 발견하는 법 _로버트 사피안
행운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_조슬린 K. 글라이
일의 ‘스위트 스폿’을 찾아라 _스콧 벨스키

4장 대담하고 효율적인 모험을 돕는 루틴의 힘
심리적 면역 체계와 회복력을 가동시켜라 _마이클 슈월비
내가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는 이유 _존 캐델
(Q&A) 실수의 파도 위에서 서핑하기 _티나 실리그
불확실성 곡선의 마법을 누려라 _조너선 필즈
작은 승부수로 성공 확률 높이기 _프란스 요한손

에필로그: 더 나은 자신을 향한 여정에는 끝이 없다 _잭 쳉
감사의 말
주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中野信子 (2022)
Cialdini, Robert B. (2023)
김종석 (2023)
이일하 (2022)
Meerloo, Joost (2023)
Todd, Emmanuel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