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이현정
서명 / 저자사항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 이현정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형태사항
72장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6 cm
기타형태 저록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DCOLL211009)000000235023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전공, 2021. 2
학과코드
0510   6M23   403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인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장 48-50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피드백, 피드백 제시 매체, 피드백 매체, 음성 피드백, 영상 피드백, 문자 피드백, 피드백 유형, 교정적 피드백, 설명적 피드백,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학업성취도, 온라인 수업, 중국어, 원격수업,,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9075
005 20230526154729
007 ta
008 201221s2021 ulkad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3 ▼c 403
100 1 ▼a 이현정
245 1 0 ▼a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 ▼d 이현정
246 1 1 ▼a A study on the effects of feedback media and types on academic interest, teach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istance education
246 3 1 ▼a Study on the effects of feedback media and types on academic interest, teach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istance education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1
300 ▼a 72장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26 cm
500 ▼a 지도교수: 박인우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방법전공, ▼d 2021. 2
504 ▼a 참고문헌: 장 48-50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피드백 ▼a 피드백 제시 매체 ▼a 피드백 매체 ▼a 음성 피드백 ▼a 영상 피드백 ▼a 문자 피드백 ▼a 피드백 유형 ▼a 교정적 피드백 ▼a 설명적 피드백 ▼a 교과흥미도 ▼a 교수실재감 ▼a 학업성취도 ▼a 온라인 수업 ▼a 중국어 ▼a 원격수업
776 0 ▼t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w (DCOLL211009)000000235023
900 1 0 ▼a Lee, Hyun-jung, ▼e
900 1 0 ▼a Park, Inn-woo, ▼e 지도교수
900 1 0 ▼a 박인우, ▼g 朴仁雨, ▼d 1965-, ▼e 지도교수 ▼0 AUTH(211009)39936
945 ▼a KLPA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899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3 403 등록번호 1630800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3 403 등록번호 1630800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초록

  4차산업혁명으로 원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적인 유행병으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원격교육이 전면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현재 시행되는 원격교육의 형태는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과 과제 수행 중심 수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비동기(非同期)적 원격교육으로 전체 82.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교육부, 2020a). 비동기적 원격교육은 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원격교육에 비해 학생-교사 간 즉각적인 의사소통이 어렵다. 이에 교육부는 원격수업의 질 제고와 학생-교사간 의사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을 강조하는 등(교육부, 2020b) 원격교육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피드백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계의 관심은 날로 커지고 있다.
  피드백은 학습자의 학업 과정에 대한 교수자의 반응이자, 학습 수행이 올바르게 이루어지는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이다. 선행연구에서는 피드백 제공자와 피드백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 및 자기효능감 등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하지만 대면수업과 원격수업의 교수학습 및 피드백 환경이 다른 만큼 대면수업을 전제로 한 피드백 유형에 따른 효과성 연구 결과가 원격수업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피드백 제공 매체에 따른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원격교육에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피드백 설계를 위해 피드백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육적 효과 차이를 연구해볼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드백 제공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피드백 제공 매체는 음성, 문자, 영상으로 세분화하였고, 피드백 유형은 Flemming과 Levie(1993)의 분류에 따라 교정적 피드백과 설명적 피드백으로 설정하였다. 음성 피드백은 학생의 과제에 대한 관찰 및 평가를 교사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학생에게 제공하는 것이고, 문자 피드백은 학생이 제출한 과제에 텍스트 형태로 댓글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고, 영상 피드백은 교사가 영상에 출현하여 학생 수행에 대한 교사의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다. 교정적 피드백은 정·오답 여부를 제시하고 오답인 경우 정답을 제시하는 방식이고, 설명적 피드백은 정·오답 여부와 함께 틀린 이유를 설명하고 필요한 경우 선행 지식을 상기시켜 틀린 이유를 깨닫게 하는 방식이다.
  실험을 위해 서울시 A 중학교 3학년 6개 학급의 68명을 대상으로 중국어 수업 3차시에 걸쳐 자기소개와 관련한 쓰기 및 읽기 과제와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6개 학급 중 3개 학급을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 나머지 3개 학급을 설명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또 나눠진 3개 학급을 다시 피드백 제시 매체를 기준으로 각각 음성 피드백 제공 집단, 문자 피드백 제공 집단, 영상 피드백 제공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교과흥미도 측정을 위해 학업적 흥미 측정 검사지(봉미미 등, 2010)를 활용하였고, 교수실재감 측정을 위해 고은현(2007)이 개발한 교수실재감 측정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 측정을 위해 2020학년도 2학기 중국어 기말고사 문제를 활용하였다. 실험 후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및 교수실재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교과흥미도와 사전 교수실재감을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고, 학업성취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매체 및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은 교과 흥미도에 영향을 준다. 피드백 제시 매체 중에서 교과흥미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영상 피드백이다. 그 다음으로 교과흥미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문자 피드백과 음성 피드백 순이다. 또한 교정적 피드백으로 제시하였을 때 교과흥미도가 비교적 높다. 따라서 피드백 제공 시 교사가 출연하는 영상을 매체로 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교과흥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은 교수실재감에 영향을 준다. 피드백 제시 매체 중에서 교수실재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영상 피드백이다. 그 다음으로 교수실재감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문자 피드백과 음성 피드백 순이다. 또한 교정적 피드백으로 제시하였을 때 교수실재감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영상 피드백을 제공하였을 때 교수실재감을 가장 크게 받을 수 있다. 셋째, 피드백 매체와 유형은 학업성취도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매체와 유형에 따라 교과흥미도와 교수실재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영상피드백 제시는 교사의 많은 수고와 노력이 필요하지만 교과흥미도와 교수실재감 증진을 위해 필요함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외국어 교과처럼 억양, 발음 등의 언어적 요소가 중요한 경우 영상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비동기적 원격교육을 토대로 진행한 연구이므로 실험의 결과는 비동기적 원격교육에 한정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이 특정 지역과 연령에 한정되고 중국어 과목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연구 대상과 과목을 확대하여 피드백 매체와 유형에 따른 효과성을 알아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원격교육	4
가. 원격교육 개념	4
나. 원격교육의 유형	6
다. 원격교육의 효과	9
2. 피드백	11
가. 피드백 정의	11
나. 피드백 유형	14
3. 원격수업에서의 피드백	17
가. 필요성	17
나. 유형	19
Ⅲ. 연구방법	24
1. 연구대상	24
2. 연구도구	24
가. 교과흥미도 측정도구	24
나. 교수실재감 측정도구	25
다. 학업성취도 측정도구	28
3. 연구절차	29
가. 실험설계	29
나. 연구절차	30
4. 중국어 수업 절차	31
5. 자료수집 및 분석	33
Ⅳ. 연구결과	34
1. 교과흥미도 결과	34
2. 교수실재감 결과	37
3. 학업성취도 결과	40
Ⅴ. 논의 및 결론	42
1. 논의 및 결론	42
2. 제언	46
참 고 문 헌	48
부  록	51
ABSTRACT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