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8260 | |
005 | 20210226100912 | |
007 | ta | |
008 | 210215s2020 ulka 000c kor | |
020 | ▼a 9791165342425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5704863 | |
040 | ▼a 211005 ▼c 211005 ▼d 211009 | |
082 | 0 4 | ▼a 658.3 ▼2 23 |
085 | ▼a 658.3 ▼2 DDCK | |
090 | ▼a 658.3 ▼b 2020z11 | |
100 | 1 | ▼a 신태균 |
245 | 1 0 | ▼a 인재의 반격 : ▼b 맥락을 읽고 민첩하게 행동하는 사람들의 부상 / ▼d 신태균 지음 |
260 | ▼a 서울 : ▼b 쌤앤파커스, ▼c 2020 | |
300 | ▼a 291 p. : ▼b 삽화 ; ▼c 23 cm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658.3 2020z11 | 등록번호 1513531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삼성의 ‘인재 사관 학교’라 불리는 삼성인력개발원에서 최고학습책임자(CLO. Chief Learning Officer)를 지낸 신태균 전 부원장의 첫 저서. ‘문명과 산업’, ‘기업과 개인’이라는 크고 작은 줄기들을 촘촘하게 엮어 다가올 거대한 변화의 시대에는 어떤 인재가 필요할지, 기업은 어떤 인재를 통해서 지속 가능한 혁신과 생존을 모색할 수 있을지 이야기한다.
인공지능과 기계가 인간의 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우울한 예측이 난무하는 시대에 어떤 사람이 대체 불가능한 자리를 차지할까? 4차 산업혁명의 격랑 속에서 기업을 이끌어갈 인재는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할까? 기업은 혁신과 생존을 위해서 인재를 어떻게 확보하고 양성할 것인가? 4차 산업혁명, 코로나19로 인한 대전환 시대의 각종 위협에 맞서려고 고민하는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변화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기업이 원하는 사람은 무엇이 다른가?
격변의 시대를 돌파하는 인재의 힘!
★삼성인력개발원 신태균 전 부원장의 첫 저서★
국내 최고의 인재 전문가가 밝히는,
대전환 시대의 4.0 생존 전략
삼성의 ‘인재 사관 학교’라 불리는 삼성인력개발원에서 최고학습책임자(CLO. Chief Learning Officer)를 지낸 신태균 전 부원장의 책이 출간됐다. 저자는 1990대부터 지난 30여 년간 삼성그룹의 ‘신경영’ 종합 체계와 21세기형 글로벌 핵심 가치 정립을 주도하고, 최고 경영자 및 글로벌 리더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다수 개발해온 굴지의 인재 전문가다. 2010년대에 들어서도 저자는 삼성경제연구소(SERI), 청춘 토크 콘서트 ‘열정樂서’ 등에서 활발히 강연을 펼치며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인재의 역할과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전례 없는 변혁의 시기를 ‘인재’라는 주제 하나로 오롯이 관통해온 저자의 이력이 말해주듯이 《인재의 반격》은 ‘문명과 산업’, ‘기업과 개인’이라는 크고 작은 줄기들을 촘촘하게 엮어 다가올 거대한 변화의 시대에는 어떤 인재가 필요할지, 기업은 어떤 인재를 통해서 지속 가능한 혁신과 생존을 모색할 수 있을지 이야기한다. 인공지능과 기계가 인간의 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우울한 예측이 난무하는 시대에 어떤 사람이 대체 불가능한 자리를 차지할까? 4차 산업혁명의 격랑 속에서 기업을 이끌어갈 인재는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할까? 기업은 혁신과 생존을 위해서 인재를 어떻게 확보하고 양성할 것인가? 이 책은 이런 질문들에 답한다.
맥락형 인재는 지식 유목민이자 패러다임 시프터
속도가 아닌 민첩성으로 살아남는 승부사
기업의 미래와 생존을 책임지는 인재, 기술이 인간의 업(業)을 위협하는 시대에도 대체되지 않는 인재란 어떤 사람일까? 저자는 미래 인재가 갖춰야 할 여러 중요한 요건들 중에서도 크게 2가지를 강조한다. 첫째는 맥락형 인재다. 맥락형 인재란 “사물을 개별 정보나 지식으로 이해하지 않고 다른 사물이나 사건과의 연관성 속에서 그 흐름과 움직임의 핵심을 파악하여 분석하고 대응 및 행동하는 사람”을 뜻한다. “행간을 읽는다”는 말처럼 그들은 주어진 ‘텍스트’를 읽는 데서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컨텍스트(context)’를 읽어낸다.
변화의 흐름, 일의 맥락을 읽어내기 위해서는 분야를 넘나드는 지식 유목민이 되어야 한다. 한 분야의 지식만 많이 쌓은 전문가와 맥락형 인재는 서로 추구하는 방식이 다르고 관심사도 다르다. “비유하건대 지식에 접근하는 방식에서 일반 전문가는 수직 및 수평 이동을 하면서 정사각형이나 정육면체를 만드는 데 주력한다면, 맥락형 인재는 이를 넘어 대각선, 마름모꼴, 사다리꼴, 찌그러진 냄비의 형체를 파악하는 데 더 관심을 보인다. 맥락형 인재는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고자 하는 데 더욱 관심이 많다. 그래서 그들은 다르다. 더 나은 사람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으로 분류되는 것이다.” 이처럼 일반적인 사고의 결을 따르지 않는 맥락형 인재가 패러다임을 바꾼다(paradigm shift)는 것이다.
다음으로 중요한 능력은 민첩성(agility)이다. 우리는 종종 토끼가 자신보다 빠른 치타를 따돌리는 장면을 야생에서 목격하곤 한다. 이는 방향 선회 능력, 즉 민첩함이 치타보다 뛰어나기 때문이다. 똑같은 목표를 정해놓고 빨리 도달하는 사람만이 성공하고 살아남았던 시대는 끝난 지 오래다. 언제든지 민첩하게 방향을 바꿀 수 있어야만 급변하는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빠른 자가 느린 자를 잡아먹는 것이 초원 생태계의 법칙이다. 그러나 모든 것이 이동하는 변화의 시대에는 속도보다 민첩성이 생존을 좌우한다. 변화의 시점을 제때 파악해 유연하게 이동하는 동물만이 가혹한 변화의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네 번째 대전환, 뉴노멀 시대의 산업 생태계…
‘기업형 천재’는 다시 새롭게 정의되어야 한다
우리 사회와 기업이 전통적으로 모범적 인재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대개 보편적 사고, 표준적 사고, 전형적 사고,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누가 봐도 조직을 잘 운영하고 나름대로 성과도 잘 낸다. 그러나 저자는 그들이 “곧은길을 갈지언정 세상을 바꾸지는 못한다”면서 새로운 시대에는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상 또한 새롭게 정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패러다임이 바뀌는 격동기에는 평소 탁월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매우 무기력할 가능성이 높다. 즉 합리적 무능력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제는 전통적인 천재의 이미지를 버리고 천재를 새롭게 정의할 때가 온 듯하다. 마찬가지로 기업에서도 엄청난 스펙이나 화려한 학력 중심의 천재 경영에 대한 잘못된 고정 관념을 바꾸어야 한다. 4.0 인재는 일종의 팔색조(조직의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존재)지만 기존 조직에서 보기에는 칠면조(조직에서 제거해야 할 불필요한 존재)처럼 보일 가능성이 높다. 기업에서도 칠면조와 팔색조를 구별할 수 있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
기술 문명이 인간 삶을 바꾸고 위협하는 세상이 아니라 더 정확히 말하면 “그 기계를 만든 사람들, 그리고 그 기계를 가지고 세상을 바꾸려는 사람들에 의해 새로운 세상이 만들어지고 있”다. 기업도 조직도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고, 사람이 변하지 않으면 미래도 변하지 않는다. 《인재의 반격》은 4차 산업혁명, 코로나19로 인한 대전환 시대의 각종 위협에 맞서려고 고민하는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변화의 방향과 그 대처 방법을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알려준다. 인간이 필요 없는 시대가 아니다. 전에 없던 새로운 능력을 갖춘 인재만이 위협에 맞서 살아남는 시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신태균(지은이)
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리더 양성 인재 교육에 30여 년간 주력해 온 국내 최고의 인재 전문가이다. 1983년 삼성그룹에 입사 이래 마케팅과 인사교육 전문가로서 입지를 다진 후 미국 지역전문가로 파견되었고, 보스턴 대학교 MBA, 경희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이건희 회장 재임 초기인 1990년대에는 삼성의 경영철학 이른바 삼성 신경영 종합체계를 수립 및 개발하는 프로젝트에서 실무를 주도했다. 2000년대에도 삼성그룹의 초일류경영체계와 글로벌인재전략을 수립하고 최고경영자 및 해외법인장 교육, 글로벌 리더 및 창조형 인재 등 미래인재 양성교육 전반의 개발 운영을 추진했다. 인재사관학교인 삼성 인력개발원에서 부원장을 역임하면서, 청춘 토크 콘서트 열정락서 및 해외기관에서 다수 강연했다. 이후, 성균관대에서 유학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마쳤으며 한국뉴욕주립대 석좌교수를 거쳐 현재 KAIST 겸직교수로 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코로나 사태로 상심한 영혼들의 위로를 위해 <신태균의 카톡칼럼>을 5백여 편 이상 써 가고 있다. 저서로 『인재의 반격』과 역서로 『존 코터의 변화리더십』이 있다

목차
프롤로그_ 지금까지 없던 인재
1장 대격변
존재 혁명에서 관계 혁명으로
새로운 문명을 만드는 사람들
문명의 세 기둥, 3간의 근본적 변화
3간 혁명이 만든 5초 사회
변화의 맥을 짚어라
2장 눈먼 자들의 도시
산업혁명은 패러다임 혁명이다
사라진 직장과 4.0 사고
맥락을 읽어내는 4개의 눈
데이터가 지식을 이기는 시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가
3장 초일류 기업으로
시대가 변하면 리더도 변해야 한다
혁신 리더들에게 배운다
플랫폼 리더란 무엇인가
4.0 시대 초일류 기업의 조건
초일류 기업의 5가지 경영 전략
초일류 기업의 7가지 혁신 전략
4장 인재 4.0
인재의 반격
새로운 인재의 4가지 성향
새로운 인재의 5가지 능력
맥락형 인재가 미래를 바꾼다
익숙한 것들을 과감히 버리는 법
5장 인재 패러다임 재구성
시스템을 갈아엎어라
인재 양성이 최고의 경영이다
교육 패러다임 재구성
기업 교육 7대 혁신 과제
자기 혁신 노트 작성법
에필로그_ 기업도 조직도 결국 사람이다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