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7525 | |
005 | 20210209165831 | |
007 | ta | |
008 | 210208s2021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68179556 ▼g 937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95.781071 ▼a 808.04957 ▼2 23 |
085 | ▼a 497.81071 ▼2 DDCK | |
090 | ▼a 497.81071 ▼b 2021 | |
100 | 1 | ▼a 박경자, ▼g 朴敬子 |
245 | 1 0 | ▼a 한국어 어휘 교육과 글쓰기 / ▼d 박경자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1 | |
300 | ▼a xiv, 274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74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1071 2021 | 등록번호 11184348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2-05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부에서는 한국어 어휘교육의 기본적 교수요목을 이루는 어휘교육의 목적, 한국어 어휘의 특징, 한국어 어휘 목록, 어휘선정 요강, 어휘 학습지도안 작성 등 한국어 어휘 교육에 관한 일반론적 기초 항목을 다루었다.
2부에서는 구체적으로 음절어·합성어·파생어·고유어·다의어·반의어·동음이의어를 각각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분류해 다루는 한편, 관용어·음성상징어·연어·상위어·하위어와 더불어 표준어와 방언·비속어·존대어와 호칭 등 사회적 특성을 관습화해온 어휘에 대해서도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3부에서는 1부와 2부에서 익힌 어휘 지식과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실전에서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어휘력 중심의 글쓰기에 대해 다루었다. 학습자는 어휘 지식을 활용해 글쓰기를 하는 한편 글쓰기를 통해 어휘력을 기르는 이중의 성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책을 펴내며
어휘를 기본 도구로 하는 언어는 크게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으로 나눈다. 듣기와 읽기는 이해 영역에 속하고 말하기와 글쓰기는 표현 영역에 속한다. 그런데 두 영역에 걸쳐 언어와 긴밀한 상호 관계를 지닌 듣기·읽기·말하기·쓰기는 모두가 어휘를 필수 수단으로 한다. 이는 수학에서 숫자 없이는 공식이 성립되지 못하고, 건축에서 자재 없이는 건축물이 세워질 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어휘와 함께 언어의 중추를 이루는 발음과 문법도 어휘를 전제로 한다. 발음은 어휘의 표현 양식이고, 문법은 어휘를 규정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규칙을 말하는데, 발음이나 문법도 어휘를 통해서만 그 기능을 하게 된다. 국어 교육에서도 어휘 교육은 가장 먼저 시작되는 기본적인 과정이다.
어휘 교육의 목적은 타인의 말을 잘 듣고, 자신의 의사를 적절히 표현하는 데 있다. 그리고 표현에 앞서 듣기와 읽기를 통해 어휘를 이해하는 과제가 주어진다. 이는 결국 자신의 의사를 격식에 맞게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전제 조건에 해당한다. 따라서 어휘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고 유창하게 표현하는 데로 모아진다. 표현은 말하기와 글쓰기를 수단으로 하는데. 말하기는 일상생활에서 수시로 행해진다. 타인과의 대화뿐 아니라 독백이나 자신과의 대화도 말하기의 일부인 점을 감안하면 아침에 일어나 잠들기 전까지 종일 쉴 새 없이 말하기 교육은 계속 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말하기에 비해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성향을 지닌 글쓰기는 일정한 격식과 훈련을 필요로 한다. 단순한 일상에서의 생활 글쓰기만으로는 제대로 된 글쓰기가 어렵기에 일련의 기초적 지도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 책의 1부에서는 한국어 어휘 교육의 기본적 교수요목을 이루는 어휘 교육의 목적, 한국어 어휘의 특징, 어휘선정 요강, 어휘 학습지도안 작성 등 한국어 어휘 교육에 관한 일반론적 기초 항목을 다루었다. 2부에서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혼종어로 이루어진 한국어의 구조와 특성에 대해 집중해서 다루었다. 음절, 합성어와 파생어, 관용어, 음성상징어, 고유어 다의어 반의어를 각각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분류해 다루는 한편, 방언과 표준어, 비속어, 존대어와 호칭 등 사회적 특징에 따라 그 특징을 관습화 해 온 어휘에 대해서도 그 교육 내용을 제시했다. 아울러 한국어의 주체적 역할을 하며 한국어 어휘의 다수를 차지하는 구상명사와 추상명사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분류해 새로운 각도에서 한국어 어휘에 대한 지식을 제공했다.
나아가 1부와 2부에서 익힌 어휘 지식과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할용하고 동시에 실전에서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 방안으로 3부에서는 어휘력 중심의 글쓰기에 대해 다루었다. 학습자는 어휘 지식을 활용해 글쓰기를 하는 한편 글쓰기를 통해 어휘력을 기르는 이중의 성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초점을 맞추고 글쓰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국어 어휘력 향상을 위한 글쓰기,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 할 때의 유의점, 소재와 착상, 문장의 유형, 유형별 글쓰기에 대해 현장에서의 경험을 살려 그 골격을 제시했다. 동시에 학습자들의 수준이 높아갈수록 그 사용 빈도수가 높아지는 한자어를 활용한 글쓰기, 글쓰기의 단계별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어휘력 향상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 듣기·읽기·말하기와 글쓰기의 상호성에 대해 글쓰기를 위한 방법론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3부에서의 글쓰기가 어휘 교육의 연장으로, 실천적 어휘 교육의 현장성을 담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어휘와 글쓰기의 관계는 불가분의 상호성을 지닌다. 어휘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쓰기가 가능하고, 어휘력은 쓰기를 통해서 향상되기 때문이다. 이 책은 1부가 총론이라면 2부는 구조론이고 3부는 실천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단순히 원론적 교수-학습을 주입식으로 반복하는 어휘론이나 어휘 교육론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차원에서 어휘를 활용하고 어휘력을 기르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데 이 책의 특징이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경자(지은이)
E-mail - luvpoem@hanmail.net http://blog.daum.net/luvpoem • 문학박사/시인 • 조선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 전공 • 동신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어교육학 전공 • 조선대학교 한국어학당 및 언어교육원 강의 역임 • 현) 동신대학교 한국어교원학과 • 한국어 교육 실습 강의교수 저서 한국어 교육 실습, 독서토론과 문학치유, 인문학 독서토론, 동양문학의 이해와 감상, 오래 묵은 고요(시집), 한국어 어휘 교육과 글쓰기, 쉼, 시, 김현승 시세계 심층연구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한국어 어휘 교육 1. 어휘 교육의 목적 2. 한국어교육과 어휘 3. 한국어 어휘의 특징 4. 한국어 주요 어휘 목록 5. 한국어 어휘의 선정 요강 6. 어휘의 활용 6.1. 어휘의 이해 6.2. 어휘의 표현 7. 어휘 교수-학습지도안 7.1. 어휘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시 유의사항 7.2. 어휘 교수-학습지도안의 작성 2부 한국어 어휘 구성 1. 한국어 어휘의 계열별 분류 1.1. 고유어 1.1.1. 고유어 어휘 1.1.2. 고유어 구상명사 중 추상적 의미로도 사용되는 어휘 1.2. 한자어 1.2.1. 단음절어와 다음절어 1.2.2. 한자어와 고유어 관계 1.2.3. 한자어 복합어 1.3. 외래어 1.3.1. 외래어의 유형 1.3.2. 외래어 어휘의 용도별 분류 2. 단음절어와 다음절어 2.1. 단음절어 2.2. 다음절어 2.2.1. 음절의 결합만으로 이루어진 다음절어 2.2.2. 음절과 의미소의 결합으로 복합적 의미를 지니는 어휘 2.2.3. 고유어·한자어·외래어가 섞인 혼종어 다음절어 3. 합성어와 파생어 3.1. 합성어 3.1.1. 고유어 합성어 3.1.2. 한자어 합성어 3.1.3. 외래어 합성어 3.2. 파생어 3.2.1. 고유어 파생어 3.2.2. 한자어 파생어 3.2.3. 외래어 파생어 4. 관용어 5. 음성 상징어 6. 의미에 따른 어휘의 분류 6.1. 유의어 6.1.1. 계열이 다른 어휘가 대응하는 유의어 6.1.2. 한국어 어휘의 계열별 대응양상 6.1.3. 한자어나 외래어에 대응하는 유의어 중 빈도수가 떨어지는 고유어 6.2. 다의어 6.3. 반의어 6.3.1. 한국어 반대어의 구조 6.3.2. 한자어 반대어의 조어법 6.4. 동음이의어 6.5. 상위어와 하위어 6.5.1. 상위어(상의어) 6.5.2. 하위어(하의어) 6.5.3. 어휘장 7. 연어 8. 사회적 특징에 따른 어휘의 분류 8.1. 경어 8.2. 비속어 8.2.1. 비속어의 종류 8.2.2. 표현의 절제와 순화 8.3. 표준어와 방언 8.3.1. 지방어의 특징 8.3.2. 외국인 학습자와 지방어 8.4. 호칭 8.4.1. 가족 간의 호칭 8.4.2. 잘못 사용되고 있는 호칭 9. 구상명사와 추상명사 9.1. 구상명사 9.2. 추상명사 9.2.1. 추상명사 어휘 목록 9.2.2. 추상명사의 역할 9.2.3. 동사와 형용사·구상명사의 추상명사화 9.2.4. 추상명사에 관한 교육 3부 한국어 어휘와 글쓰기 1. 글쓰기에 대한 이해 1.1. 왜 쓰는가 1.2. 무엇을 쓸까 1.3. 누가 쓰는가 1.4. 언제 쓸까 1.5. 어디에서 쓸까 1.6. 어떻게 쓸까 1.7. 글쓰기의 효과 2. 한국어 어휘력 향상을 위한 글쓰기 2.1. 계열별 한국어 어휘의 효과적 사용 2.2. 문장에서 어휘의 적절한 사용 2.2.1. 같은 단어의 중복 사용 억제 2.2.2. 한자어 접미사 ‘-적’의 사용 억제 2.2.3. 관형사형 어미 ‘것’의 사용 억제 2.2.4. 불필요한 단어의 생략 2.2.5. 문장의 절제 2.2.6. 능동적 표현 2.3. 맞춤법 2.3.1. 맞춤법의 유형 2.3.2. 혼동하기 쉬운 맞춤법 2.4. 띄어쓰기 2.4.1. 맞춤법에 따른 띄어쓰기 2.4.2. 혼동하기 쉬운 띄어쓰기 2.5. 문장 부호 2.5.1. 마침표의 사용법 2.5.2. 쉼표의 사용법 2.5.3. 따옴표의 사용법 2.5.4. 묶음표의 사용법 2.5.5. 이음표의 사용법 2.5.6. 안드러냄표의 사용법 3. 글쓰기의 기본 3.1. 어법에 맞게 써야한다 3.2. 상투적이지 않아야 한다 3.3. 어휘끼리 잘 어울려야 한다 3.4. 두루 읽힐 수 있어야 한다 3.5. 자연스럽고 진솔해야 한다 3.6. 가려 뽑은 한국어의 문법 3.6.1. 한국어의 품사 3.6.2. 한국어의 어순 3.6.3. 어미와 조사 4. 글쓰기 할 때 유의할 점 4.1. 어휘의 정확한 사용 4.1.1. 주어와 동사 4.1.2. 형용사 4.1.3. 부사 4.1.4. 관형사 4.1.5. 어휘 가려 쓰기 5. 소재와 착상 5.1. 소재 5.2. 착상 6. 문장의 유형 6.1. 묘사형 문장 6.2. 함축형 문장 6.3. 진술형 문장 6.4. 독백형 문장 7. 유형별 글쓰기 7.1. 모방적 글쓰기 7.2. 논리적 글쓰기 7.3. 창의적 글쓰기 8. 한자어를 활용한 글쓰기 8.1 주요 주제 속에 담긴 한자 복합어 활용 8.1.1. 중심어를 기준으로 결합한 한자 복합어 이해와 활용 8.1.2. 중심어 心의 경우 8.1.3. 동음이의어 경우 8.2. 한자어와 고유어의 적절한 배합 8.2.1. 고유어가 어울리는 자리에 한자어를 사용할 경우 8.2.2. 한자어가 어울리는 자리에 고유어를 사용할 경우 8.2.3. 한자어와 고유어가 적절히 어울려 좋은 문장을 이루는 경우 8.2.4. 한자어와 고유어 조사·접미사의 결합 관계 9. 글쓰기의 단계 9.1. 구상 9.2. 설계 9.2.1. 주제의 설정 9.2.2. 배경 설정 9.2.3. 인물 설정 9.3. 전개 9.4. 마무리 10. 글쓰기를 위한 듣기·읽기·말하기 10.1. 글쓰기를 위한 듣기 10.2. 글쓰기를 위한 읽기 10.2.1. 글쓰기와 읽기의 관계 10.2.2. 창조적 독서 10.3. 글쓰기를 위한 말하기 10.3.1. 사물과의 대화 10.3.2. 이웃과의 대화 10.3.3. 자신과의 대화 참고문헌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