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학원론 / 제9판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홍성찬, 洪性讚
서명 / 저자사항
법학원론 / 홍성찬
판사항
제9판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21  
형태사항
xxii, 665 p. ; 26 cm
ISBN
9791130337593
일반주기
부록: 1. 우리나라 헌법개정사, 2. 법원조직표, 3. 영국·미국·프랑스·독일의 사법제도 외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6994
005 20210204145730
007 ta
008 210204s2021 ulk 001c kor
020 ▼a 9791130337593 ▼g 9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0 ▼2 23
085 ▼a 340 ▼2 DDCK
090 ▼a 340 ▼b 2021
100 1 ▼a 홍성찬, ▼g 洪性讚
245 1 0 ▼a 법학원론 / ▼d 홍성찬
246 1 1 ▼a Jurisprudence
250 ▼a 제9판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21
300 ▼a xxii, 665 p. ; ▼c 26 cm
500 ▼a 부록: 1. 우리나라 헌법개정사, 2. 법원조직표, 3. 영국·미국·프랑스·독일의 사법제도 외
500 ▼a 색인수록
900 1 0 ▼a Hong, Seong-chan,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 2021 등록번호 1118432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법학입문서는 법학의 기초이론의 이해에 머물지 않고 법의 이념과 실제, 실정법과 판례 등에 폭넓은 통합적 안목을 갖도록 접근하여야 한다. 새로운 방향의 법학원론은 법의 생활화를 위한 교양 법학의 터전에서 법적 마인드의 길잡이가 되도록 업그레이드되어야 할 것이다. 법은 특정인을 위한 전유물이 아니며 누구나 법에 친숙하도록 열려 있어야 한다.

제9판을 출간하면서

종래 법학개론의 총론과 각론으로 편제된 내용은 일반인에게는 법의 용어조차 이해하기 어려워 법을 멀리하게 하고 법학 전공자에게는 빈약하게 약술되었다. 이러한 미비점은 법학 입문서의 새로운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법학입문서는 법학의 기초이론의 이해에 머물지 않고 법의 이념과 실제, 실정법과 판례 등에 폭넓은 통합적 안목을 갖도록 접근하여야 한다. 새로운 방향의 법학원론은 법의 생활화를 위한 교양 법학의 터전에서 법적 마인드의 길잡이가 되도록 업그레이드되어야 할 것이다. 법은 특정인을 위한 전유물이 아니며 누구나 법에 친숙하도록 열려 있어야 한다.
자유를 보장하고 정의를 대변하여야 할 법치주의가 흔들리고 있다. 그러나 원칙을 무시하고 반칙이 판치는 불의는 또한 지나갈 것이다. 법치주의를 향한 국민의 의지를 누구도 거역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새로운 변혁의 시대이다. ‘아는 것은 힘이다’에서 ‘아는 것은 변화한다’는 창의와 도전 시대의 패러다임은 그 어느 때보다 혁신을 요구한다.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비전을 가질 수 있기에 시야를 넓혀야 전진할 수 있다. 미래는 꿈을 펼치는 자의 것이다.
개정판이 거듭되는 광영에 보람과 책임을 느끼면서 법 개정에 따라 많은 부분을 다듬었다. 개정판 출간에 도움을 주신 金秉俊 교수님, 趙根衡 박사님 그리고 박영사 金善敏 이사님, 李昇炫 과장님에게 깊은 감사와 신뢰를 드립니다.

2021년 1월
洪 性 讚 씀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홍성찬(지은이)

저자약력 건국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박사과정) 수료 법학박사 미국 Northwestern 대학교 객원교수 연세대.고려대.동의대 강사 사법시험.행정고시.외무고시.지방고시위원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대학원장.도서관장 역임 건국대학교 명예교수 저 서 행정법 공동주택관계법령 법현상학(역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법과 사회
제2장 법의 본질
제3장 법의 체계
제4장 법의 이념
제5장 법과 사회규범
제6장 법학과 법률가
제7장 법의 발전과 계통
제8장 법과 언어
제9장 법의 효력
제10장 법의 해석과 적용
제11장 법과 권리ㆍ의무
제12장 법과 인간
제13장 법의 작용
제14장 법의 지배
제15장 법과 복지국가주의
제16장 법과 성범죄
제17장 법과 재판
제18장 법의 제재
제19장 법과 재산권
제20장 법과 권리구제
제21장 법과 국가
제22장 법과 가족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