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수령의 나라

수령의 나라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경식, 1971-
서명 / 저자사항
수령의 나라 / 이경식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21  
형태사항
286 p. ; 23 cm
ISBN
9791166032974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6475
005 20221031173954
007 ta
008 210202s2021 ggk 000c kor
020 ▼a 9791166032974 ▼g 0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0.95193 ▼a 951.93 ▼2 23
085 ▼a 320.9539 ▼2 DDCK
090 ▼a 320.9539 ▼b 2021
100 1 ▼a 이경식, ▼d 1971- ▼0 AUTH(211009)147294
245 1 0 ▼a 수령의 나라 / ▼d 이경식 지음
260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21
300 ▼a 286 p. ; ▼c 23 cm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9539 2021 등록번호 1118431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가 북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령을 이해해야 한다. 수령은 북한 인민들을 대변하는 하나의 제도이며, 북한 사회는 수령을 정점으로 모든 것이 움직이는 사회이다. 그런 수령 제도를 이해할 때 북한에 대한 선입견은 조금씩 걷힐 것이고 북한 동포들을 품을 수 있는 아량도 생길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수령론의 이론적 측면을 비롯하여 북한의 수령 제도가 탄생한 배경과 발전과정 그리고 후계자에게 이어지는 과정을 서술했다.

수령을 정점으로 모든 것이 움직이는 사회, 북한
수령체제를 이해해야 비로소 북한이 보인다


우리가 북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령을 이해해야 한다. 수령은 북한 인민들을 대변하는 하나의 제도이며, 북한 사회는 수령을 정점으로 모든 것이 움직이는 사회이다. 그런 수령 제도를 이해할 때 북한에 대한 선입견은 조금씩 걷힐 것이고 북한 동포들을 품을 수 있는 아량도 생길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수령론의 이론적 측면을 비롯하여 북한의 수령 제도가 탄생한 배경과 발전과정 그리고 후계자에게 이어지는 과정을 서술했다.
이 책이 북한 체제를 조금이나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하지만 이해하는 것과 동의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임을 강조하고 싶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경식(지은이)

대학교 때 통일 운동을 하다가 입대를 하였다. 우연한 기회에 비무장지대에서 마이크로 북한의 정치 군관과 대화를 하는 대면병 생활을 하면서 북한 이해의 지평을 넓혔다. 전역 후 북한을 계속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고 부산대학교에서 ?북한정치론?, ?북한 사회의 이해?, ?한국 정치론? 등을 강의하였다. 제12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으로 위촉된 이후 제16기 자문위원까지 10년 동안 활동하였으며, 제17기 통일부 통일교육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경남 양산제일고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들어가는 말

01 항일무장투쟁
1. 동북항일연군
2. 유격대
3. 한별을 우러러보네
4. 사람 중심

02 해방과 분단
1. 김일성 장군
2. 분단
3. 한국전쟁

03 주체의 한길로
1. 8월 종파 사건
2. 주체사상의 등장
3. 중ㆍ소의 틈바구니에서

04 수령론의 정립
1. 수령론의 전개
2. 수령론의 이론적 구성
3. 수령형상문예

05 차세대 후계자
1. 후계자의 등장
2. 주체사상의 완성
3. 김일성 민족

06 고난의 행군
1. 선군의 깃발 아래
2. 변화의 분수령
3. 일심단결에서 핵으로

07 백두혈통
1. 김정은의 등장
2. 수령론의 제도적 장치
3. 조정자로서의 수령
4. 수령의 무오류성

관련분야 신착자료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 (2023)
McCormick, John (2023)
강원택 (2023)
Larmore, Charles E (2023)
篠田英朗 (2023)
Hobbes, Thomas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