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5725 | |
005 | 20210126155038 | |
007 | ta | |
008 | 210126s2020 ulk 000c kor | |
020 | ▼a 9791196937133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5485638 | |
040 | ▼a 211064 ▼c 211064 ▼d 211009 | |
082 | 0 4 | ▼a 781.63095195 ▼2 23 |
085 | ▼a 781.630953 ▼2 DDCK | |
090 | ▼a 781.630953 ▼b 2020z2 | |
100 | 1 | ▼a 이규탁 |
245 | 1 0 | ▼a 갈등하는 케이, 팝 / ▼d 이규탁 |
260 | ▼a 서울 : ▼b 스리체어스, ▼c 2020 | |
300 | ▼a 154 p. ; ▼c 19 cm | |
490 | 1 0 | ▼a Book journalism |
830 | 0 | ▼a Book journalism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781.630953 2020z2 | Accession No. 12125623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3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빌보드가 케이팝 차트를 서비스하고, 애플뮤직, 스포티파이 등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도 케이팝에 독립된 장르 카테고리를 부여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은 세 장의 앨범을 빌보드 앨범 차트 1위에 올렸다. SM 소속 프로젝트 그룹 슈퍼엠(SuperM)도 빌보드 1위 앨범을 배출했다. 케이팝은 이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산업이자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음악 장르다.
하지만 이런 역설적인 상황이 케이팝 내부의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방탄소년단은 세계적으로 성공할수록 '한국의 대표 가수'로서 활동할 것을 요구받는다. 한국인이 없는 케이팝 그룹도 등장했지만 이에 대한 국내 팬과 해외 팬의 반응은 극명히 갈린다. 케이팝 그룹의 활동 방식을 둘러싸고 해외 팬과 한국 팬 사이에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케이팝은 정말 글로벌화된 음악일까? 세계인이 좋아하는 장르 속에서 '한국적인 것'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케이팝 전문가의 폭넓은 시각과 세밀한 분석으로 로컬과 글로벌을 오가는 문화 현상, 케이팝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한다.
한국적인 동시에 세계적인 음악은 가능할까?
글로벌 장르로 부상한 케이팝 속 케이와 팝은 끊임없이 충돌하고 있다.
케이팝의 인기는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도 주목받는 현상이다. 방탄소년단은 전 세계 Z세대가 열광하는 대표적인 스타가 되었고, 이처럼 비서구 출신 가수가 비영어권 언어로 부르는 음악이 세계적인 사랑을 받는 일은 이례적이다.
해외 팬들이 케이팝을 사랑하는 이유는 케이팝의 한국적인 특성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구성된 그룹이 뛰어난 실력으로 한국어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고, 팬과 가깝게 소통하며 친근한 관계를 맺는다. 글로벌 팝 스타에게는 찾아볼 수 없는 이런 특성을 갖추고, 음악적으로는 해외 팬들에게 익숙한 음악 장르들을 혼합한 케이팝은 기존 영미 대중음악의 대안을 찾던 해외 팬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였다.
케이팝의 세계적인 인기는 지구 전역이 촘촘히 연결되고 다양성이 폭넓게 받아들여지면서 비주류 문화도 보편적인 사랑을 받을 수 있게 된 시대를 대변한다. 비주류 정체성, 소수 문화, 독특함이 보편적인 공감을 받기 시작한 것이다. 이제 문화를 주도하는 국가와 같은 세계 문화의 ‘중심’은 사라지고 있다.
하지만 케이팝이 세계 시장에서 인기를 얻을수록, 한국적인 특성과 글로벌 보편성 사이에는 균열과 갈등이 생긴다. 다국적 멤버로 구성된 케이팝 그룹은 본국인 한국을 비롯해 각 국가 팬들의 민족주의적인 요구 사이에서 어느 쪽도 실망시키지 않도록 줄타기를 해야 한다. 비한국인으로만 구성된 케이팝 그룹도 등장했지만 이들의 국적과 인종이 무엇인지, 한국어로 노래하는지 영어로 노래하는지 등에 따라 국내 팬과 해외 팬의 반응이 엇갈린다. 같은 국내 팬과 해외 팬이 서로 다른 요구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갈등은 문화 소비 방식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난 음악 시장과 다른 영역 사이의 시차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음악이라는 문화 소비는 국경과 상관없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가 간 장벽과 문화 차이가 남아 있는 사회 영역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케이팝 속 K와 팝의 갈등은 케이팝이 변화의 최전선에 있다는 증거다. 근본적인 변화에 갈등은 필연적이다.
케이팝이 겪는 부침은 로컬 비즈니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면서 발생하는 문제이자, 특수성을 무기로 세계 시장을 공략하는 모든 산업이 직면할 수 있는 갈등이다. 케이팝의 사례를 통해 문화 소비 방식과 비즈니스의 변화를 내다볼 수 있는 이유다.
---
북저널리즘은 북(book)과 저널리즘(journalism)의 합성어다. 우리가 지금, 깊이 읽어야 할 주제를 다룬다. 단순한 사실 전달을 넘어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제시하고 사유의 운동을 촉진한다. 현실과 밀착한 지식, 지혜로운 정보를 지향한다. bookjournalism.com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규탁(지은이)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케이팝 세계화(Globalization of K-Pop)’에 관한 연구로 문화연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가톨릭대학교, 국민대학교, 인하대학교 등에서 음악산업과 대중문화, 영상미디어 관련 과목을 강의했으며, 2015년부터 인천 송도국제신도시에 위치한 한국 조지메이슨대학교 국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한국대중음악상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중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논문과 칼럼들을 학술지 및 다수의 매체에 기고해왔다. 저서로 『케이팝의 시대』(2016), 『갈등하는 케이, 팝』(2020) 등이 있다. 『Z를 위한 시』는 BTS를 위시한 케이팝 현상의 세계사적 의미를 톺아보고, Z세대에게 미치는 전방위적인 영향력과 BTS 다음의 ‘4세대’ 케이팝에 대해 전망해보는 본격 케이팝-젠지 융합 교양서다. 케이팝의 정의부터 시작해 케이팝 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장르적 특성,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젊은 세대가 케이팝에 빠져 있는지를 아울러 다룬다. 케이팝의 과거, 현재, 미래를 속도감 있으면서도 충실하게 전달하는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세대의 케이팝과 새로운 세대의 수용자에 관한 벅찬 스토리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케이팝이라는 장르 1 _ 케이팝은 한국적인가 한국에서 탄생한 글로벌 음악 장르 보편적인 동시에 특수한 아바와 싸이는 왜 다른가 달라서 매력적인 음악 2 _ BTS, 글로벌 팝 스타와 한국의 아이돌 사이 케이팝의 안티테제 바닥에서 성장한 아티스트 한국인이 한국어로 부르는 노래 Z세대의 아이콘 진정성 서사 속 케이팝 3 _ 케이팝 하는 외국인 ‘미사모쯔’의 국적 케이팝 국제화와 외국인 멤버 현지 팬들을 사로잡아라 케이팝과 동아시아 4 _ 케이팝의 국적 프로듀스 48과 AKB48 케이팝을 배우자 글로벌 스탠더드 동아시아의 문화, 케이팝 5 _ 케이팝의 조건 케이팝 그룹에 한국인이 없다면? AKPOP 세계에서 가장 논쟁적인 케이팝 그룹 케이팝의 경계 6 _ 케이팝의 본진은 어디인가 케이팝 어벤져스를 반기지 않는 팬덤 팬덤의 진화와 전 세계적 확장 수출형 아이돌 ‘외퀴’와 ‘화이트워싱’ 에필로그; 케이와 팝의 충돌과 진화 주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지구인 세대의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