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5684 | |
005 | 20210129110807 | |
007 | ta | |
008 | 210126s2020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30318945 ▼g 937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95.70141 ▼2 23 |
085 | ▼a 497.0141 ▼2 DDCK | |
090 | ▼a 497.0141 ▼b 2020 | |
245 | 0 0 | ▼a 담화, 텍스트와 담화표지 / ▼d 장소원 [외] |
246 | 1 1 | ▼a Discourse, text, discourse markers |
260 | ▼a 서울 : ▼b 집문당, ▼c 2020 | |
300 | ▼a xiii, 391 p. ;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이후인, 탕이잉, 김영규, 이강혁, 최중호, 사타 자코모, 강주은, 김희숙, 후박문, 이윤경, 유우흠, 하의뢰 | |
500 | ▼a 부록: 『서울대 한국어』교재의 담화표지 목록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장소원, ▼e 저 |
700 | 1 | ▼a 이후인, ▼e 저 |
700 | 1 | ▼a 탕이잉, ▼e 저 |
700 | 1 | ▼a 김영규, ▼e 저 |
700 | 1 | ▼a 이강혁, ▼e 저 |
700 | 1 | ▼a 최준호, ▼e 저 |
700 | 1 | ▼a 사타 자코모, ▼e 저 |
700 | 1 | ▼a 강주은, ▼e 저 |
700 | 1 | ▼a 김희숙, ▼e 저 |
700 | 1 | ▼a 후박문, ▼e 저 |
700 | 1 | ▼a 이윤경, ▼e 저 |
700 | 1 | ▼a 유우흠, ▼e 저 |
700 | 1 | ▼a 하의뢰,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141 2020 | 등록번호 111842748 | 도서상태 예약서가비치 | 반납예정일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담화표지는 언어를 불문하고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조차 하나로 통일되지 않고 있다. 담화뿐 아니라 아예 텍스트까지 통괄하여 담화표지의 개념을 확정하고, 담화 유형별 혹은 텍스트 유형별로 담화표지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사용되는지를 살펴보는 책이다. 담화표지를 구어로서의 담화에서 사용되는 화용적 요소에 한정하지 않고 문어 텍스트에서의 소통력 증진에 기여하는 요소로까지 확대하였다.
담화표지는 언어를 불문하고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조차 하나로 통일되지 않고 있다. 문법과 달리 담화의 성격이 자유롭다 보니 누구나가 동의하는 차원에서 개념 정의를 내리고 목록을 확정하고 범위를 한정하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담화표지는 1970년대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서 다양한 양상으로 활발하게 주목받고 있다.
이 책은 담화뿐 아니라 아예 텍스트까지 통괄하여 담화표지의 개념을 확정하고, 담화 유형별 혹은 텍스트 유형별로 담화표지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사용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 책의 특징은 담화표지를 구어로서의 담화에서 사용되는 화용적 요소에 한정하지 않고 문어 텍스트에서의 소통력 증진에 기여하는 요소로까지 확대했다는 점이다.
이 책의 구성은 총 3부로 이루어진다. 제1부는 담화표지의 개념과 연구의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이 책에서 사용된 담화표지의 개념은 담화표지를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로 구분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처음부터 담화적 기능만을 위해 태어난 요소와 이차적으로 그 기능을 획득한 요소를 모두 합쳐 넓은 의미의 담화표지라고 보았고, 애초에는 담화표지가 아니고 다른 어휘적 혹은 문법적 의미를 지녔던 요소들이 이차적으로 담화표지로 사용되게 된 것들을 좁은 의미의 담화표지로 구분하였다. 제2부는 ‘담화와 담화표지’로 다양한 담화 상황별로 각기 특색 있게 사용되는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로 구성되며, 제3부는 ‘텍스트와 담화표지’로 텍스트 유형별로 다르게 사용되는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들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장소원(지은이)
● 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현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 원장 ● 현 문화관광부 국어심의회 위원 ● 파리 제5대학교 언어학 박사 ● 저서: 폴란드인을 위한 한국어
이후인(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전임강사
탕이잉(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박사과정 수료
김영규(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이강혁(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최준호(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사타 자코모(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재학
강주은(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졸업
김희숙(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수료
후박문(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수료
이윤경(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수료
유우흠(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재학
하의뢰(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재학

목차
머리말 제1부 담화표지 개관 1. 담화표지의 개념 (장소원, 이후인) 2. 담화표지 연구의 흐름 (이후인) 제2부 담화와 담화표지 1. 이야기 담화에서의 담화표지 ‘맞다’의 기능과 형성 (후박문) 2. 라디오 방송 담화의 담화표지 (강주은) 3. 서술형 독백 텍스트 속 담화표지 ‘그러니까’ (하의뢰) 4. 강의텍스트의 담화표지 ‘이제’ (유우흠) 5. 방언조사 담화와 담화표지 (김영규) 제3부 텍스트와 담화표지 1. 한국어 사전에서의 담화표지 기술 (이윤경) 2. 옛 한문 문헌 속 句讀點의 기능과 담화표지 -《訓民正音》 解例本과 《龍飛御天歌》를 중심으로- (최준호) 3. 은진 송씨 송준길ㆍ송규렴 가문 언간의 담화표지 ‘대되’ (이강혁) 4. 일본어 담화표지 문두 ‘ていうか’의 번역 문제 (김희숙) 5. 한ㆍ중 한국어 교재에서의 담화표지 (탕이잉) 6. 『서울대 한국어』의 담화표지 (사타 자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