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5538 | |
005 | 20210128091652 | |
007 | ta | |
008 | 210126s2020 ulk 000c kor | |
020 | ▼a 9791160684278 ▼g 94900 | |
020 | 1 | ▼a 9791160684247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43 ▼2 23 |
085 | ▼a 953.074 ▼2 DDCK | |
090 | ▼a 953.074 ▼b 2020z4 ▼c 3 | |
245 | 2 0 | ▼a (1980년 사북) 항쟁과 그 이후의 삶 / ▼d 윤병천, ▼e 최돈혁, ▼e 이정근 구술 ; ▼e 김세림 [외]면담 |
260 | ▼a 서울 : ▼b 선인, ▼c 2020 | |
300 | ▼a 343 p. ; ▼c 23 cm | |
490 | 1 0 | ▼a 사북항쟁 구술자료총서 ; ▼v 3 |
500 | ▼a 면담: 김아람, 문민기, 장미현, 후지타 타다요시 | |
700 | 1 | ▼a 윤병천, ▼d 1949-, ▼e 구술 |
700 | 1 | ▼a 최돈혁, ▼d 1945-, ▼e 구술 |
700 | 1 | ▼a 이정근, ▼d 1941-, ▼e 구술 |
700 | 1 | ▼a 김세림, ▼e 면담 |
700 | 1 | ▼a 김아람, ▼e 면담 |
700 | 1 | ▼a 문민기, ▼e 면담 |
700 | 1 | ▼a 장미현, ▼e 면담 |
700 | 1 | ▼a 후지타 타다요시, ▼e 면담 |
830 | 0 | ▼a 사북항쟁 구술자료총서 ; ▼v 3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74 2020z4 3 | Accession No. 11184263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소속의 사북팀이 사북항쟁 관련자들을 구술면담한 내용을 정리한 자료집이다. <사북항쟁 구술자료총서>는 일차적으로는 사북항쟁의 진상규명에 기여하겠지만, 여기에 담긴 내용은 사건 그 자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구술면담은 항쟁 이전의 삶, 항쟁의 발발과 전개 과정, 항쟁 이후의 삶을 모두 포괄하며,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운동도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특히 사북항쟁이 광산 노동자만이 아니라 그 가족들이 함께 참여했던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북 탄광촌에 살던 여성들의 일상생활과 항쟁 참여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
1980년 4월 21일 강원도 정선군 사북읍의 동원탄좌 사북광업소에서 어용노조 퇴진과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탄광 노동자들의 투쟁이 폭발했습니다. 수천 명의 광부와 그 가족들은 사측의 압박과 경찰의 물리력에 맞서 3일 동안 사북광업소를 장악하고 스스로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가는 한편 노·사·정 대표의 협상을 통해 평화적인 사태 해결을 이루었습니다. 사북 지역 광산 노동자들의 투쟁은 단지 우발적인 사건이 아니라 이전부터 전개되었던 생존권 투쟁과 노조 민주화 운동의 연장선에서 발생한 것이었으며, 유신체제 붕괴 이후 열린 공간에서 터져 나오던 민중의 해방 선언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사북항쟁은 노·사·정 대표의 합의를 무시하고 물리력을 투입한 신군부의 폭력에 의해 좌절되었습니다. 수백 명의 광부와 그 가족들이 계엄당국에 연행되어 모진 고문과 가혹행위를 당했으며, 그 중 수십 명이 ‘폭도’로 몰려 감옥에 갇혔습니다. 항쟁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그 이후에도 감시와 탄압에 시달렸고, 사북항쟁은 ‘폭동’이라는 이미지에 갇힌 채 그에 대한 진실은 철저하게 금압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사북항쟁 참여자들은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해 지난 40년 동안 힘겨운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2008년에는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로부터 사북항쟁 당시의 국가권력에 의한 인권침해 사실을 인정받았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번에 발간되는 《사북항쟁 구술자료총서》(전 3권)는 그 의미가 대단히 크다고 하겠습니다. 이 자료집은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소속의 사북팀이 사북항쟁 관련자들을 구술면담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사북항쟁 구술자료총서》는 일차적으로는 사북항쟁의 진상규명에 기여하겠지만, 여기에 담긴 내용은 사건 그 자체에만 한정되지 않습니다. 구술면담은 항쟁 이전의 삶, 항쟁의 발발과 전개 과정, 항쟁 이후의 삶을 모두 포괄하며,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운동도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사북항쟁이 광산 노동자만이 아니라 그 가족들이 함께 참여했던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북 탄광촌에 살던 여성들의 일상생활과 항쟁 참여를 깊이 있게 다루었습니다.
[구술/ 면담자 소개]
구술| 윤병천·최돈혁·이정근
면담| 김세림·김아람·문민기·장미현·후지타 타다요시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축사 발간사 간행사 책머리에 윤병천 1. 광산촌의 사람이 되기까지 출생부터 사북 이주까지의 삶 아버지와 동생 이야기 사북 이주 후의 생활 2. 사북항쟁의 발생과 적극 참여 사북광업소의 노동환경과 불만 고조 항쟁 발생 당시의 상황 항쟁에 참여했던 이유 3. 고난의 시간들 체포 후 일화 및 고문 사례 다른 광부들과의 관계 원주에서 받은 재판 지부장 부인 사건에 대한 평가 4. 사북항쟁 이후의 삶 1군사령부에서 석방된 직후 부인의 투병과 치료비 조달 자녀들 이야기 복직 후의 처우 변화와 퇴직 후의 삶 5. 과거의 평가와 미래의 바람 1980년대에 대한 평가 1990년대 말 탄광 일을 그만둔 후의 생계 노동에 대한 생각 2000년대 동지회 활동 앞으로의 바람 최돈혁 1. 사북광업소 입사 이전의 삶 출생과 성장 과정 군 복무와 원양 어선 경험 결혼과 사북광업소 입사 2. 점차 누적되는 불만들 사북광업소의 근무 조건 사북광업소에서 맡은 일 임금 문제에 대한 불만과 광노 방문 3. 사북항쟁 당시의 모습 경찰 개입에 대한 불만의 축적과 폭발 항쟁 초창기의 상황 경찰들의 침입을 저지한 안경다리 투쟁 폭발적인 항쟁 상황에 대한 생각 안경다리 투석전 전후 상황 항쟁 기간의 분위기 4. 체포부터 석방까지 항쟁 직후의 감정과 상황 검거되기까지의 과정 항쟁 관련 인물들에 대한 평가 경찰에게 검거된 이후의 조사과정과 고문 1군사령부에서 군사재판을 받는 과정 집행유예로 석방된 후의 상황과 분위기 5. 사북항쟁 이후의 활동 항쟁 이후 삶의 변화 고문 후유증과 민주화운동 인정 기념식과 보상에 대한 의견 자녀들에 대한 생각 앞으로의 바람 이정근 1. 철암 탄광에서의 노동 철암 이주와 탄광 생활 시작 탈선 사고와 작업장 상황 2. 동원탄좌 근무와 노조 선거 1976년 사북 이주와 사택 생활 근무 형태와 열악한 환경 임금 및 대의원 선거 3. 사북항쟁 발발과 전개 항쟁 발생과 부인의 연행 시위 현장에서의 일상 무기고를 지킨 사람들 항쟁 수습과정 4. 부인의 고문 피해와 사북항쟁 이후의 삶 사진과 진술에 의한 연행과 고문 항쟁 전후의 변화 탄광 노동과 물통 사고 항쟁 이후 생활과 자녀 교육 5. 탄광촌의 일상 탄광 노동의 실제 탄광촌의 금기, 미신, 종교 탄광촌 여성들의 직업 활동과 일상생활 폐광 이후 사북 사회와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