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5475 | |
005 | 20210127103832 | |
007 | ta | |
008 | 210126s2020 ggkd b 001c kor | |
020 | ▼a 9788925415581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0.114 ▼2 23 |
085 | ▼a 370.114 ▼2 DDCK | |
090 | ▼a 370.114 ▼b 2020z4 | |
245 | 0 0 | ▼a 도덕성과 윤리교육 / ▼d 김국현 [외]공저 ; ▼e 한국윤리교육학회 편 |
246 | 1 1 | ▼a Morality and ethics education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0 | |
300 | ▼a 357 p. : ▼b 도표 ; ▼c 25 cm | |
500 | ▼a 공저자: 김기현, 김상돈, 김유곤, 김형렬, 오유진, 이영경, 이정렬, 장승희, 정창우, 조수경, 추정완, 홍석영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국현, ▼e 저 |
700 | 1 | ▼a 김기현, ▼e 저 |
700 | 1 | ▼a 김상돈, ▼e 저 |
700 | 1 | ▼a 김유곤, ▼e 저 |
700 | 1 | ▼a 김형렬, ▼e 저 |
700 | 1 | ▼a 오유진, ▼e 저 |
700 | 1 | ▼a 이영경, ▼e 저 |
700 | 1 | ▼a 이정렬, ▼e 저 |
700 | 1 | ▼a 장승희, ▼e 저 |
700 | 1 | ▼a 정창우, ▼e 저 |
700 | 1 | ▼a 조수경, ▼e 저 |
700 | 1 | ▼a 추정완, ▼e 저 |
700 | 1 | ▼a 홍석영, ▼e 저 |
710 | ▼a 한국윤리교육학회, ▼e 편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14 2020z4 | 등록번호 1118425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윤리교육학회에서는 지난 2년간 ‘도덕성과 윤리교육’이라는 대주제를 걸고, 도덕성이란 무엇이며, 학교 윤리교육에서 어떻게 하면 학습자들의 도덕성을 잘 함양할 수 있을 것인지를 연구.토론해 왔다. 그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관련 논문을 보충하여 기획한 책이다.
한국윤리교육학회에서는 윤리교육의 본령이 도덕성 함양에 있다고 인식하면서 지난 2년간 개최한 학술대회에서 ‘도덕성과 윤리교육’이라는 대주제를 걸고, 도덕성이란 무엇이며, 학교 윤리교육에서 어떻게 하면 학습자들의 도덕성을 잘 함양할 수 있을 것인지를 연구·토론해 왔습니다. 그리하여 그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하고, 관련 논문을 보충하여 학회의 기획도서 『도덕성과 윤리교육』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영경(지은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이며, 한국윤리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율곡의 윤리사상』, 『다산의 윤리학』, 『인성교육의 철학적 성찰』(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율곡의 교사론」, 「퇴계 수양론의 윤리교육적 의미」 등이 있다.
정창우(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인성교육연구센터장, 국가 인성교육진흥위원회 위원, 국회인성교육실천포럼 자문위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 자문위원, 국가교육과정기술자문회의 교육과정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인성교육 지도자료인 『마음아람 프로젝트(중학교용)』(2015), 『안다미로 프로젝트(고등학교용)』(2016) 개발의 책임자로 참여하였다. 또한 중학교 『도덕 1, 2』, 고등학교 『통합사회』, 『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 『인문학적 상상여행』, 『인문학적 감수성과 도덕적 상상력』 과목의 교과용 도서 개발 책임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는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2판)』, 『21세기 인성교육 프레임』,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사, 인성교육을 생각하다』(공저),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쟁점』,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공저), 『도덕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공저), 『윤리와 논술Ⅰ』, 『질문하는 십대, 대답하는 인문학』(공저),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공저), 『Teacher Effectiveness』(공저), 『Critical Perspectives on Values Education in Asia』(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시민성, 시민적 우정과 의무』(공역),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공역), 『도덕 발달의 이론과 적용』, 『도덕철학과 도덕교육』,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공역), 『도덕·가치교육을 위한 100가지 방법』(공역),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공역), 『정의와 배려』(공역), 『실패하는 학교』(공역), 『날마다 만나는 10분 윤리 동화』(공역), 『다문화주의 윤리학』(공역) 등이 있다.
김국현(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한국교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과 중등교사임용시험 채점위원장을 거쳤고 국민권익위원회 자문위원으로 봉사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인성교육 살리기’, ‘도덕과 평가의 9가지 레시피’, ‘도덕치유와 윤리상담’ 등의 저서가 있다.
홍석영(지은이)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교육학박사)
김상돈(지은이)
경성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김기현(지은이)
전남대학교 교수
추정완(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 박사후연구원, 한양대 조교수, 목포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현재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도덕성과 윤리교육(공저)』, 『사랑(공저)』, 『마음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을까(공저)』 등과 번역서로는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메타윤리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대학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장애와 의료 기술의 관계에 대한 윤리적 성찰’, ‘실험동물과 윤리’ 등이 있다. 현재 서양 윤리학 일반과 생명의료윤리 분야를 중심으로 한 응용윤리 영역, 메타윤리 분야에 관심을 두고 연구 중이다.
장승희(지은이)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수
조수경(지은이)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부교수. 공저로는 『삶을 사는 데 필요한 아홉가지 물음-인생 교육론』, 『인성교육의 철학적 성찰』, 『도덕성과 윤리교육』, 『생명의료윤리-윤리이론과 의료현실의 접점과 미래』 등이 있다. 「니체, 깨어있음의 교육」, 「소크라테스, 삶이 되는 윤리와 예술이 되는 삶」, 「인성교육의 요청으로서 니체의 놀이 정신」, 「미셸 푸코, 도덕적 주체와 삶의 기술」, 「니체에 있어서 스토아의 문제」, 「자기애의 윤리: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 학파 그리고 루소」 등의 논문을 썼다.
이정렬(지은이)
경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김형렬(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UCLA에서 국제비교교육 및 시민교육을 전공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4년부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국가의 다문화정책이 자국민과 이주 청소년의 애국심과 기관 신뢰, 이민자 이민자이민자 및 종족적 소수자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 “Global Convergence or National Identity Making?: The History Textbook Controversy in South Korea, 2004-2018,”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and Native Adolescents’ Attitudes Towards Ethnic Minorities: A Comparative Study of European Countries,” “A Cross-national Examination of Political Trust in Adolescence: The Effects of Adolesc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Country’s Democratic Governance,”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와 영역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중·고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의 국가시민성국가시민성과 세계 시민성 관련 내용의 변천” 등이 있다.
김유곤(지은이)
전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오유진(지은이)
창덕여자중학교 교사
한국윤리교육학회(엮은이)

목차
발간사 ··················································································································3 제1부 도덕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제1장 도덕과교육의 목표: 어떤 도덕성인가? / 김상돈(경성대학교) ···············9 제2장 동아시아 윤리학에서 도덕성의 두 근원 / 김기현(전남대학교) ··········47 제3장 불교의 ‘지혜’ 도덕성 탐색을 위한 시론 / 장승희(제주대학교) ·········83 제4장 미셸 푸코, 도덕적 주체와 삶의 기술 / 조수경(부산대학교) ············119 제5장 도덕적 정체성 형성에서 ‘도덕적 통합’의 의미 / 이정렬(경북대학교)···139 제6장 도덕성에 관한 생명윤리학의 이해와 접근 / 홍석영(경상대학교) ····171 제2부 도덕성 함양을 위한 윤리교육 실제 제1장 동서양 윤리사상에 기초한 의사결정의 윤리적 책임성 함양 / 정창우(서울대학교), 오유진(창덕여자중학교) ·····································193 제2장 정약용의 도덕성 함양론과 윤리교육 / 이영경(경북대학교) ··············225 제3장 스토아학파의 덕에 대한 이해 / 추정완(춘천교육대학교) ·················255 제4장 개인의 정치 성향과 도덕적 판단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문화 간 비교 연구/ 김형렬(서울대학교) ············································································279 제5장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윤리와 사상 교과서 분석 / 김유곤(전북대학교)···301 제6장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과제 / 김국현(한국교원대학교) ····323 찾아보기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