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언어유형론과 한국어문법연구 : 언어유형론을 통하여 인간 언어의 보편성을 탐구

언어유형론과 한국어문법연구 : 언어유형론을 통하여 인간 언어의 보편성을 탐구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충실, 金忠實 岳逸飛, 저
서명 / 저자사항
언어유형론과 한국어문법연구 : 언어유형론을 통하여 인간 언어의 보편성을 탐구 / 金忠實, 岳逸飛 著
발행사항
하남 :   박이정,   2020  
형태사항
421 p. : 삽화 ; 24 cm
ISBN
9791158485924
서지주기
참고문헌(p. 383-410)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2599
005 20210106165609
007 ta
008 210105s2020 ggka b 001c kor
020 ▼a 9791158485924 ▼g 937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95.75 ▼2 23
085 ▼a 497.5 ▼2 DDCK
090 ▼a 497.5 ▼b 2020z5
100 1 ▼a 김충실, ▼g 金忠實
245 1 0 ▼a 언어유형론과 한국어문법연구 : ▼b 언어유형론을 통하여 인간 언어의 보편성을 탐구 / ▼d 金忠實, ▼e 岳逸飛 著
246 1 1 ▼a 言語類型學與韓國語硏究
260 ▼a 하남 : ▼b 박이정, ▼c 2020
300 ▼a 421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383-410)과 색인수록
700 1 ▼a 岳逸飛,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20z5 등록번호 1118414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 유형론에서 생명도 등급, 유표성 이론, 의미지도, 언어목록유형론 등 이론을 한국어 문법에 접목하여 언어 공통성 및 차이성 등을 둘러싸고 논의하는 책이다. 언어유형론을 통하여 인간 언어의 보편성을 탐구하여 그 보편성을 바탕으로 특정한 언어가 나타내는 본질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언어유형론을 통하여 인간 언어의 보편성을 탐구
우리는 언어 유형론에서 생명도 등급, 유표성 이론, 의미지도, 언어목록유형론 등 이론을 한국어 문법에 접목하여 언어 공통성 및 차이성 등을 둘러싸고 논의하였다. 언어 유형론에서 제시된 범언어적 보편성은 제2언어습득에서의 어려움 및 습득순서를 예측할 수 있고 교육 현장에 참고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된다. 반면에 제2언어습득 연구에서 학습자의 중간언어가 언어유형론 연구의 표본을 제공해 주며 언어 유형론적 보편성의 적용 범위를 확대시켜 줌으로써 우리가 인간 언어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는데 길잡이가 되어 준다. 언어유형론과 제2언어습득 연구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서로 간의 연구를 촉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는 언어유형론을 통하여 인간 언어의 보편성을 탐구하여 그 보편성을 바탕으로 특정한 언어가 나타내는 본질을 해명하려는 것이 주목적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충실(지은이)

중국 흑룡강(黑龙江)성 벌리현(勃利县)에서 태어나 1981년 길림성 연변대학을 졸업하고 1997년 상해사범대학교 중문학부 대외한어과(석사)를 졸업하였다. 2009년에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박사를 졸업하고 현재까지 박사지도교수로 상해외국어대학에서 근무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중한문법대조와 한국어 교육이다. 저서와 논문 저서로는 《中韩语法对比研究》(釜山外国语大学 出版部, 2006), 《韩国语口语教程》(上海外语教育出版社, 2015), 《‘를’구문 교수방법 연구》(박이정출판사, 2010), 《韩国语速成教程》(人民出版社, 2005), 《生活汉语》(教材, 主编人民教育出版社, 2012) 등 교재 및 참고서 30여 권. 논문으로는 “중한목적어구문 습득에서 모국어간섭현상”(《中国语教育与研究》, KCI, 2017), “중국에서 한중 언어 대조연구현황과 전망”(《中国语教育与研究》, KCI, 2019), “국내 한국어 무크의 발전방향성 연구-한국어 무크 구축 및 사용현황 조사를 바탕으로”(《语言与文化》, KCI, 2019), “Eckman假说与韩汉语音标记差异的类型学分析”(《东疆学刊》, CSSCI, 2019), “中韩相对量表达范畴的隐喻对比”(《东疆学刊》, CSSCI, 2016), “생명도와 한국어 어순”(《한국어 교육연구》, 2017) 등 60여 편 논문.

악일비(지은이)

1991년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나 상해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학부, 석사과정을 거쳐 박사과정 재학중이다. 국비유학생으로 1년 동안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에서 공부했다. 연구 분야는 한국어 언어학이고 한중언어대조와 한국어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목하는 이론은 언어유형론과 인지언어학이다. 논문으로는 “의외성 표지의 문법화 현상에 대한 범언어적인 고찰”(KCI, 2019), “‘如果’와 ‘-(으)면, -거든’ 가정조건문 개념영역 대조연구”(KCI, 2019), “유형론 시각에서의 명사 분류사 및 복수 표지 의미 기능 대조연구”(KCI, 2019), “유정성 시각에서의 한, 중, 일, 베트남어 고빈도 재귀대명사 의미지도 연구”(KCI, 2018), “표기이론과 중한 목적어 구문 습득에서의 모국어 간섭현상”(KCI, 2017)등 10여 편. 수상 2012년, 2016년, 2019년 중국교육부 국가장학금수상, 2018년 상해외국어대학교 우수학생, 2019년 중국지역 한국어학과 석박사생 논문경시 1등상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제1부 생명도와 한국어문법연구
1.1. 생명도 이론 소개와 연구 현황
1.2. 생명도와 형태론 연구
생명도와 한국어 격조사 분류
한중 재귀대명사의 기능적 특징 및 검증
생명도 확대 등급과 한국어 복수 표지
1.3. 생명도와 한국어 통사론 연구
생명도와 한국어 어순
생명도와 한국어 격조사 생략현상
한국어, 일본어와 터키어 격조사 생략현상의 생명도 및
한정성 요인

제2부 의미지도와 한국어 문법 의미 및 습득 순서 연구
2.1. 의미지도 이론 소개와 연구 현황
2.2. 의미지도와 형태론 연구
다기능 여격조사 ‘에’의 의미지도와 습득 순서
2.3. 의미지도와 통사론 연구172
중국어 ‘把’와 한국어 ‘를’의 의미 기능 대조와 습득 순서
한, 중, 일, 베트남어 고 빈도 재귀대명사 의미지도 연구

제3부 유표성이론과 한국어 연구
3.1. 유표성 이론 소개와 소개와 연구 현황
3.2. 유표성이론과 한국어 음운 연구
유표성 차이 가설과 한중 음운 표기차이 분석
유표성 이론과 한몽 음운체계 대조 및 습득 순서 예측
3.3. 유표성이론과 한국어 통사론 연구
중한 목적어 구문 습득에서의 모국어 간섭현상

제4부 언어목록 유형론과 한국어 문법
4.1. 언어목록 유형론 이론 소개와 연구 현황
4.2. 언어목록 유형론과 형태론 연구
언어목록유형론과 명사 분류사
언어목록유형론과 복수 표지

참고문헌
찾아보기
맺음말
후기
저자소개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