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제국 속의 제국 : 미국의 해외선교와 한국의 음악교육

제국 속의 제국 : 미국의 해외선교와 한국의 음악교육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허지연, 許智姸, 1967-
서명 / 저자사항
제국 속의 제국 : 미국의 해외선교와 한국의 음악교육 / 허지연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9  
형태사항
247 p. : 삽화, 악보, 초상화 ; 24 cm
총서사항
민속원 아르케북스 = Minsokwon archebooks ;144
기타표제
한국 음악교육의 출발에 대한 문화정치학적 사유
ISBN
9788928513758 9788928503599 (Set)
일반주기
부록: 1. 한국, 미국, 일본의 음악학교 ; 2. 여성 선교사 관련 문서  
서지주기
참고문헌(p. 239-243)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2431
005 20210104143038
007 ta
008 210104s2019 ulkacg b 001c kor
020 ▼a 9788928513758 ▼g 94380
020 1 ▼a 9788928503599 (Set)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80.9519 ▼2 23
085 ▼a 780.953 ▼2 DDCK
090 ▼a 780.953 ▼b 2019z1
100 1 ▼a 허지연, ▼g 許智姸, ▼d 1967-
245 1 0 ▼a 제국 속의 제국 : ▼b 미국의 해외선교와 한국의 음악교육 / ▼d 허지연
246 1 3 ▼a 한국 음악교육의 출발에 대한 문화정치학적 사유
246 1 1 ▼a Empire within empire : ▼b the American mission and music education in colonial Korea
260 ▼a 서울 : ▼b 민속원, ▼c 2019
300 ▼a 247 p. : ▼b 삽화, 악보, 초상화 ; ▼c 24 cm
490 1 0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a Minsokwon archebooks ; ▼v 144
500 ▼a 부록: 1. 한국, 미국, 일본의 음악학교 ; 2. 여성 선교사 관련 문서
504 ▼a 참고문헌(p. 239-243)과 색인수록
830 0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v 144
900 1 0 ▼a Huh, Yeon,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9z1 등록번호 5110441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9z1 등록번호 5110441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9z1 등록번호 1513544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9z1 등록번호 5110441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9z1 등록번호 5110441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9z1 등록번호 1513544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허지연(지은이)

음악학자, 음악교육가. 1967년에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부터 피아노를 연마하면서 클래식 음악의 맛과 논리를 자연스레 체득하였으며, 대학에서는 음악학을 전공하였다. 외국어 배우기와 역사 공부를 좋아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성장에 관심이 많다. 현재 그 기질 그대로 음악 연구와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오랫동안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음악성 훈련(시창?청음)과 서양음악사를 강의하였으며, 십여 년 전부터 식민시기 한국의 음악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언젠가 동료들과 전통음악, 서양음악, 대중음악을 아우르는 근대음악사를 집필하기를 희망하며 공력을 기르고 있다. 이 외에도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이분법을 뛰어넘는 ‘공동체의 음악하기’를 위한 컨텐츠 개발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서양음악사를 쉽게 풀어 쓴 『음의 연금술』과 시창 교재인 『눈으로 듣고 귀로 본다』, 번역서로 『대중음악이론』이 있으며, 논문으로 「여성선교사의 고등음악교육과 한국 여성의 새로운 정체성 찾기」 「‘이화’가 만든 ‘고급’ 창가집:『유희창가집』을 통해 본 식민지 경성의 단면」 등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9년에는 네이버 지식백과에 <문화사 속 클래식> 시리즈를 포스팅하였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강사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펴내며

 들어가며 경성에 핀 음악교육의 봄
1. 왜 고등음악교육을 연구하는가?
2. 여성 선교사의 교육을 어떻게 볼 것인가?
3. 주요 자료와 연구 시기

1장 ‘식민지’라는 조건
 1. 독신 여성 선교사의 등장
 2. 미국 감리회의 한국 선교
 3. 조선총독부의 미션스쿨 정책
  1) 제2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상황
  2) 사립학교 정책의 변화
 4. 미션스쿨의 제도권 편입
  1) 전문학교 개편을 위한 준비
  2) 전문학교 개편의 효과

2장 선교에 포섭된 음악교육
 1. 선교회 중심의 교원 구성
  1) 외국인 교원
  2) 한국인과 일본인 교원
 2. 선교에 최적화된 교육
  1) 이화학당의 음악교육
  2) 전공을 구분한 사범과정
  3) 교회 공동체에 봉사하는 교육
 3. 교실 밖의 교육
  1) 봉사 활동
  2) 연주 활동
  3) 졸업생의 진로

3장 선교 교육의 지향과 반향
 1. 제국과 식민지의 음악학교
  1) 도쿄음악학교의 교육
  2) 이화여전 음악과와 도쿄음악학교의 비교
 2. 출판물로 본 선교 교육
  1) 미국 교재의 활용:『유희창가집』과 『피아노선율법』
   2) 한국음악의 ‘문명화’:『조선민요합창곡집』
3. ‘전문직 여성’의 등장
  1) 고등교육의 세례를 받은 여학생들
  2) 매체에서 본 이화의 여교수들

 나가며 공감의 역사 쓰기는 가능한가?

부록 1 한국, 미국, 일본의 음악학교
 1-1. 이화여전 음악과의 교원
 1-2. 이화학당의 교과과정
 1-3. 미국 음악학교의 교과과정
 1-4. 일본 도쿄음악학교의 교과과정
 1-5. 주요 아카이브와 일차자료

 부록 2 여성 선교사 관련 문서
 2-1. 이은라의 수업 카드
 2-2. 이은라의 편지 (1926.07.06)
 2-3. 대머론의 선교사 지원서 (1926)
 2-4. 이화학당이 보낸 편지 (1926.12.30)
 2-5. 앨리스 아펜젤러의 편지 (1927.02.07)
 2-6. 앨리스 아펜젤러의 편지 (1928.05.10)
 2-7. 앨리스 아펜젤러의 편지 (1929.06.12)
 2-8. 『이화 칼리지 카탈로그』의 표지
 2-9. 이화 칼리지가 보낸 편지 (1933.11.27)
 2-10. 양주삼의 편지 (1934.03.14)
 2-11. 대머론의 이력서 (1939.07)
 2-12. 캐서린 베이커의 여권
 2-13. 이화 칼리지의 영문 홍보물 (1943?)
 2-14. 매리 영이 은퇴 후 작성한 설문지 (1946.02.20)
 2-15. 그레이스 우드의 보고서 (1953)
 2-16. 베이커의 부고
 2-17. 베이커가 출판한 『모자익』의 표지와 시집에 수록된 〈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