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2273 | |
005 | 20210104175605 | |
007 | ta | |
008 | 201229s2020 ulk 000c kor | |
020 | ▼a 9788968179396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5722419 | |
040 | ▼a 211017 ▼c 211017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21.8 ▼2 23 |
085 | ▼a 321.8 ▼2 DDCK | |
090 | ▼a 321.8 ▼b 2020z9 | |
100 | 1 | ▼a Fishkin, James S. |
245 | 1 0 | ▼a 숙의민주주의 / ▼d James S. Fishkin 지음 ; ▼e 박정원 옮김 |
246 | 1 9 | ▼a When the people speak : ▼b deliberative democracy and public consultation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0 | |
300 | ▼a 366 p. ; ▼c 24 cm | |
500 | ▼a 부록: 왜 4가지 민주주의 모델만을 다루는가 | |
650 | 0 | ▼a Deliberative democracy |
700 | 1 | ▼a 박정원, ▼e 역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 2020z9 | Accession No. 1118411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James S. Fishkin(지은이)
1948년 미국 출생, 예일(Yale)대학교 정치학 학사 및 박사, 영국 캠브리지(Cambridge)대 정 치학 박사, 현재 미국 스탠포드(Stanford)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및 숙의민주주의연 구소 소장 주요저서: Democracy and Deliberation (1991), Debating Deliberative Democracy (2003), When the People Speak (2009), Democracy When the People Are Thinking (2018)
박정원(옮긴이)
경남 진주에서 출생,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정치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졸업 (정치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박사과정 수료, 헝가리과학원 정치학 박 사,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주요 저역서 및 논문: 『인권과 국제정치』 (2002), 『평화교육』 (2011), 『분단-통일에서 분리- 통합으로』 (공저, 2013), “동유럽민주이행의 특성”, “민주화 이후 중유럽의 ‘적대와 인정의 정치’”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감사의 말 제1장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 서론 아테네에서 아테네로 공적협의 필터인가 거울인가? 있는 그대로의 인민을 반영하기 숙의민주주의 대 대중민주주의: 초기의 충돌 공적협의의 8가지 방법 제2장 민주개혁의 3중딜레마 나는 어떻게 포함되는가? 숙의 정치적 평등 참여 세 가지 옵션의 충돌 대중민주주의 동원된 숙의 숙의적 소우주 다수의 횡포를 피하기 제3장 4가지 민주주의모델 4가지 민주주의이론 경쟁적민주주의 모델 엘리트숙의 모델 참여민주주의 모델 숙의민주주의 모델 숙의 대 선호집합? 민주주의의 규모와 형태 제4장 실천적 숙의민주주의 공공영역에 생명을 불어넣기: 4가지 질문 얼마나 수용적인가? 얼마나 사려깊은가? 왜곡 피하기: 지배의 문제 왜곡 피하기: 분극화와 집단사고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어떤 조건에서 숙의민주주의가 실행되는가? 제5장 숙의는 왜 중요한가? 중국의 사례 대표성 인간의 얼굴을 가진 여론조사에 대한 평가: 심사숙고 지배의 문제가 발생하는가? 분극화가 일어나는가?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가? 정책관련 태도에서의 변화 투표의도에서의 변화 시민역량에서의 변화 집단적 일관성에서의 변화 공적대화에서의 변화 공공정책에서의 변화 제6장 어려운 조건에서 숙의하기 공적협의의 공간 넓히기 분열된 사회: 차이를 넘어 숙의하기 가상공간 민주주의 전 유럽을 망라한 공공영역의 문제 유럽을 방 하나에 모으기 민주적 이상의 실행 결론적 성찰: 민주주의, 정의, 그리고 여타 3중딜레마 부록: 왜 4가지 민주주의 모델만을 다루는가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