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장 방언과 문헌 방언 연구

현장 방언과 문헌 방언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백두현, 白斗鉉, 1955-
서명 / 저자사항
현장 방언과 문헌 방언 연구 / 백두현
발행사항
서울 :   역락,   2020  
형태사항
596 p. ; 24 cm
ISBN
9791162444993
서지주기
참고문헌(p. [559]-585)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1792
005 20201224172640
007 ta
008 201224s2020 ulk b 001c kor
020 ▼a 9791162444993 ▼g 93710
035 ▼a (KERIS)BIB000015599517
040 ▼a 222003 ▼c 222003 ▼d 247036 ▼d 247036 ▼d 211009
082 0 4 ▼a 495.77 ▼2 23
085 ▼a 497.7 ▼2 DDCK
090 ▼a 497.7 ▼b 2020z1
100 1 ▼a 백두현, ▼d 白斗鉉, ▼d 1955-
245 1 0 ▼a 현장 방언과 문헌 방언 연구 / ▼d 백두현
260 ▼a 서울 : ▼b 역락, ▼c 2020
300 ▼a 596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559]-585)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7 2020z1 등록번호 5110441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7 2020z1 등록번호 5110441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7 2020z1 등록번호 1513543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7 2020z1 등록번호 5110441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7 2020z1 등록번호 5110441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7 2020z1 등록번호 1513543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은 영남 지역에서 간행된 한글 문헌을 분석하여 음운사의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었다. 박사학위 논문을 쓴 후에는 국어사 문헌 전반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연구 대상이 자연스럽게 확대되어 갔다. 이러한 연구 과정에서 국어사와 방언사를 관련지어 고찰한 글을 여러 편 쓰게 되었다.

현장 방언과 문헌 방언 연구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은 영남 지역에서 간행된 한글 문헌을 분석하여 음운사의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었다. 공시적 방언 연구에서 통시적 방언 연구로 넘어간 것이다. 영남에서 나온 한글 문헌의 음운론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서울 등 타지에서 간행된 문헌의 언어와 비교했다. 박사학위 논문을 쓴 후에는 국어사 문헌 전반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연구 대상이 자연스럽게 확대되어 갔다.
이러한 연구 과정에서 국어사와 방언사를 관련지어 고찰한 글을 여러 편 쓰게 되었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저자가 발표했던 논문을 모은 것이다. 처음 발표한 논문에서 펼친 논지 전개는 손대지 않았으나 문장 표현이 어색한 곳은 표현을 다듬고 수정한 부분이 적지 않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백두현(지은이)

경북 성주(星州)의 연산 마을 출생. 경북대학교에서 대학과 대학원을 마치고 1990년 2월에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훈민정음학회 회장 및 국어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한글문화유산의 가치를 밝히고 이를 국내외에 널리 알려 한글 문화의 성숙을 위해 노력해 왔다. 훈민정음과 옛 문헌 속에 담긴 한국어의 모습, 필사본과 간본을 망라한 한글 문헌 자료, 한국인의 어문생활사, 석독구결 등을 연구해 왔다. 한글 필사본의 가치를 강조하며 한글 편지, 한글 음식조리서, 한글 고문서 등을 연구하는 데 힘을 쏟았다. 주요 저서로는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현풍곽씨언간 주해』, 『음식디미방 주해』,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한글문헌학』, 『현장방언과 문헌방언 연구』, 『국어 음운사와 어휘사 연구』, 『한글생활사 연구』 등이 있다. 연구 성과를 교양 시민과 공유하기 위해 『경상도 사투리의 말맛』, 『한글편지로 본 조선시대 선비의 삶』, 『한글편지에 담긴 사대부가 부부의 삶』, 『한국어는 나의 힘』(공저), 『한국어에 힘 더하기』 등의 교양서를 출판하였다. 제자들과 함께 『공부가 쌓여온 마당』이라는 문집을 내기도 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부 경상방언의 현장 조사 연구
성조와 움라우트 19
-성주ㆍ금릉 지역어를 중심으로
1. 성조와 움라우트의 상관성 문제	19
2. 방언 자료 분석을 통한 검증	22
3. 요약		35
국어 성조의 문법적 식별 기능 37
1. 연구의 필요성	37
2. 중세국어와 경상방언에 나타난 성조의 기능	38
3. 연구의 의의 및 요약	58
상주 화북지역어의 음운론적 특징 61
1. 연구 대상 지역과 제보자	61
2.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 분석	63
3. 요약		85
낙동강 하구 을숙도 주변 지역의 식물 어휘 연구 87
1. 현지 조사와 제보자	87
2. 식물 어휘 분석	90
3. 식물 어휘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제언	116
지방지의 언어문화편 작성을 위한 새로운 모델 연구 119
1. 서론		119
2. 기존 지방지 방언편의 실태 분석	123
3. 새로운 언어문화편 작성을 위한 기본 방향	134
4. 새로운 언어문화편의 내용과 구성	139
5. 마무리-새로운 모델 개발을 기대함	145
칠곡군의 언어문화 147
1. 칠곡 방언의 위상	147
2. 칠곡군의 전통 방언	148
3. 칠곡군의 공공언어와 명명언어	175
4. 맺음말	198

제2부 경상방언의 통시적 연구
경상방언의 모음체계와 모음중화 201
1. 연구의 목적과 방법	201
2. 공시적 모음체계의 차이와 통시적 설명	203
3. 마무리	221
경상방언의 형성과 분화 223
1. 한국어의 형성과 경상도 지역	223
2. 경상도의 성립과 경상방언의 형성	226
3. 방언차에 대한 인식과 문헌상의 기록	235
4. 성조에 의한 경상방언의 분화	240
5. 마무리	243
영남방언의 통시적 변천 245
1. 경상도의 형성과 영남방언권의 성립	247
2. 영남방언 관련 문헌에 대한 몇 가지 수정과 보완	249
3. 영남방언의 음운 변화-방언적 특징과 관련된 현상을 중심으로	256
4. 영남방언의 문법 형태	278
5. 영남방언의 어휘	292
6. 맺음말	309

제3부 문헌 자료와 방언 연구
 영남삼강록 (嶺南三綱錄)의 음운론적 고찰 313
1. 서지 사항	313
2. 표기의 양상	315
3. 단모음의 변화와 모음동화	322
4. 이중모음의 변화	335
5. 결론		354
 국한회어 의 음운 현상과 경상방언 357
1. 머리말	357
2. 본론		359
3. 마무리	374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적 문법형태에 대하여 377
1. 방언형태사 연구의 필요성	377
2. 조사		378
3. 용언의 어미	388
4. 앞으로의 과제	408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 어휘 연구 409
1. 서론		409
2.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형	411
3. 마무리	435
영남 지역 국어사 자료의 연구 성과와 연구 방향 437
1. 영남 지역 국어사 자료의 현황	437
2. 영남 지역 한글 문헌에 대한 연구 성과	445
3. 연구의 방법과 방향	451
4. 마무리	480
제4부 평안방언과 현대 북한어의 언어 정체성 연구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 지역 정체성 형성의 상관성 483
-ㄷ구개음화 미실현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설명
1. 들어가기	483
2. 평안방언 자료 분석	484
3. ㄷ구개음화 미실현의 원인에 대한 설명	500
4. 결론		516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규정을 통해서 본 언어 정체성 구축과 차별화 방식 연구 519
1. 서론	519
2. 선행 연구	523
3.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실현	529
4. 정체성 구축과 언어적 차별화	548
5. 결론 및 전망	555

참고문헌 559 / 찾아보기 58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