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정부의 디지털 혁신

정부의 디지털 혁신 (Loan 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엄석진, 저 김준형, 저 최낙범, 저 황한찬, 저 정희정, 저 서교리, 저
Title Statement
정부의 디지털 혁신 = Digital transformation of government / 엄석진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고양 :   문우사,   2020  
Physical Medium
xvi, 635 p. : 삽화, 도표 ; 26 cm
ISBN
9791185994772
General Note
공저자: 김준형, 최낙범, 황한찬, 정희정, 서교리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1712
005 20201228142726
007 ta
008 201224s2020 ggkad b 001c kor
020 ▼a 9791185994772 ▼g 93350
035 ▼a (KERIS)BIB000015715997
040 ▼a 241002 ▼c 241002 ▼d 211009
082 0 4 ▼a 351.0285 ▼2 23
085 ▼a 351.0285 ▼2 DDCK
090 ▼a 351.0285 ▼b 2020z2
245 0 0 ▼a 정부의 디지털 혁신 = ▼x Digital transformation of government / ▼d 엄석진 [외]
260 ▼a 고양 : ▼b 문우사, ▼c 2020
300 ▼a xvi, 635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0 ▼a 공저자: 김준형, 최낙범, 황한찬, 정희정, 서교리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7S1A3A2066084)
700 1 ▼a 엄석진, ▼e
700 1 ▼a 김준형, ▼e
700 1 ▼a 최낙범, ▼e
700 1 ▼a 황한찬, ▼e
700 1 ▼a 정희정, ▼e
700 1 ▼a 서교리,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0285 2020z2 Accession No. 1118408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정보기술의 도입과 활용을 통해 나타나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이론과 역사, 다양한 응용과 분석, 그리고 향후 전망을 다룬 연구서이다. 이미 출간된 저자의 관련 연구를 수정.보완하고, 각 장의 주제에 따라 필요한 부분은 새로 집필하였다. 정부 및 공공부문에서의 정보기술 활용의 역사적 변화와 시기적 특징을 포괄하였다. 정부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균형적 시각을 반영하였고, 이론과 실증분석을 결합하고자 노력하였다.

머리말

“새로운 세상에서는 새로운 학문이 필요하다.”
“A new political science is needed for a world itself quite new.”
Alexis de Tocqueville, Democracy in America(1853)


새로운 시대는 새로운 행정학을 필요로 한다. 지금까지의 행정학이 우리의 공적 삶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 시장, 공동체에 얼마나 의존해야 하는가를 주요한 문제로 다루어 왔다면, 새로운 시대의 행정학은 새로운 정보기술과 그 활용에 따라 구성되는 가상 세계를 어떻게 다루고 활용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실제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정보기술의 ‘조합’을 선택해야 하며, 정보기술의 기반 위에서 구성되는 가상 세계의 편익을 활용하고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실제 세계의 국가, 시장, 공동체가 어떻게 재구성되어야 할 것인지를 분석하는 데 행정학이 기여해야만 할 것이다. 아울러, 새로운 정보기술이 ‘잘못된 손’ 또는 ‘나쁜 손’에 의해 잘못 활용되지 않도록 실제 세계의 거버넌스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어야 할 책임과 윤리를 새로운 시대의 행정학은 가르쳐야 한다. 이 책은 이와 같은 도전에 응전하고자 한다.

이 책은 정보기술의 도입과 활용을 통해 나타나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이론과 역사, 다양한 응용과 분석, 그리고 향후 전망을 다룬 연구서이다. 이미 출간된 저자의 관련 연구를 수정·보완하고, 각 장의 주제에 따라 필요한 부분은 새로 집필하였다. 이 책을 구상하고 집필하면서 염두에 두었던 부분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및 공공부문에서의 정보기술 활용의 역사적 변화와 시기적 특징을 포괄하고자 노력하였다. 정보기술이 등장한 이래, 정부가 도입했던 정보기술의 특성과 정부의 디지털 혁신의 내용은 시기별로 달랐다. 예를 들면, 1990년대 초반 인터넷 사용이 확대되면서 전자정부라는 개념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2000년대 소셜미디어와 모바일 네트워크, 스마트 디바이스의 발전은 스마트 정부라는 새로운 개념을 만들었다. 이제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또 다른 정보기술이 정부의 미래상을 새롭게 정의하려 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각 시기별 정보기술의 특성에 따른 정부의 변화를 다루면서도 그것들이 연속적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큰 흐름을 온전히 담기 위해 책 제목도 ‘전자정부론’이나 ‘스마트정부론’보다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으로 정하였다.
둘째, 정부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균형적 시각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정부의 디지털 혁신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과학적 요인들, 즉 행위자, 조직 및 관리, 제도, 그리고 환경 등 다양한 이론적 시각과 주요 요인들을 고루 다루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요인의 중요성 역시 간과하지 않으려 했다. ‘가능자(enabler)’로서의 정보기술이 열어주는 새로운 혁신의 가능성과 기회의 확장에 주목하면서도, 그와 같은 가능성과 기회가 의도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정보기술의 도입 및 활용과 함께 ‘공진화(co-evolution)’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이론과 실증분석을 결합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분야를 가르치고 연구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 중 하나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이라는 주제가 행정학의 각 분야별 이론이나 다른 사회과학 분야의 이론과는 큰 관련 없이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이었다. 특히, 학생들에게는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의 정보기술의 도입과 활용에 대한 실증적 관찰과 분석 기회가 적을 뿐만 아니라, 제대로 수집되고 공개된 데이터도 부족해서 실증연구에 어려움을 겪는 것 같았다. 그래서 충분하지는 않지만, 이 책의 각 장에서는 장별 주제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한 실증분석 결과를 함께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기획의도에 따라, 이 책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제1장부터 제4장까지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이론과 역사’를 다루고 있다. 정부의 디지털 혁신의 개념과 유형(제1장), 미국과  한국에서의 디지털 혁신의 역사(제2장)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정부의 디지털 혁신의 변화와 연속성을 다루고자 하였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다양한 이론적 시각에서 정의되는 정보시스템  성공의  정의와  영향  요인, 정보시스템  성공과  영향  요인 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개념적  모형을 소개하였다.
둘째, 제5장부터 제10장까지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례를 다루고 있다. 전자정부의 고도화를 위한 ‘정부기능연계모델’ 사업(제5장)과 공무원의 활동(제6장) 사례를 통해 전자정부 성공 요인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소셜미디어(제7장), 공공 스마트폰 앱(제8장), 스마트 워크(제9장), 정보공개제도와 공공데이터 개방(제10장) 등 정부의 디지털 혁신의 주요 측면들을 다루었다. 각 장은 (1) 각 주제에 대한 개관, (2) 한국에서의 추진 현황, (3) 연구 및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4) 실증 분석 결과로 구성하여 각 주제에 대한 이론, 현황, 실증분석을 연결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11장은 지능정보시대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전망을 담고 있다. 이미 본격적으로 구축·활용되고 있는 패러다임 전환(paradigm-shift)적인 정보기술이 가져올 사회적 영향력과 이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주요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최선의 노력을 다했으나, 주제의 깊이와 범위를 고려할 때, 많이 부족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더 많은 세부 주제를 다루었어야 했고, 실증분석의 타당성도 더 높였어야 했다. 지능정보시대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전망은 더 멀리 그리고 더 깊게 내다보았어야 했다. 앞으로 많은 노력을 통해 보완해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

돌이켜 보면, 필자가 정부의 디지털 혁신과 관련하여 실무와 연구 및 강의를 해온 지도 적지 않은 시간이 지났다. 공군장교 시절, 비행단 내에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이 구축되자 그토록 경직적이던 관료제 조직과 구성원들의 행태가 ‘저절로’ 변하는 것을 보고 ‘정보기술의 힘’을 실감할 수 있었다. 석사학위 취득 후 ‘IT 기업으로 유학 다녀오겠다’며 정보시스템 구축과 정보화 컨설팅을 수행하는 IT 기업에 취직하였다. 컨설턴트로서 당시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던 전자정부 과제에 참여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몸으로’ 정부의 디지털 혁신을 공부할 수 있었다.
박사과정 중에는 지도교수님이신 정용덕 교수님(현 금강대학교 총장)의 지도로 거버넌스 이론과 신제도주의를 공부할 수 있었다. 학위논문 주제에 대해 고민하던 중, 우연히도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의 Jane Fountain 교수님의 저서 Building the virtual state: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stitutional change를 읽게 되었다. 공공부문에서의 정보기술, 조직 및 제도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제공하는 이 책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1년이라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연수 기회를 얻어 Fountain 교수님의 지도하에 박사논문 준비를 할 수 있었다. 두 분의 은혜는 말로는 표현할 수 없다.
교수가 된 후에는 좋은 제자들 덕분에 행복하게 공부할 수 있었다. 문자 그대로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아는’ 제자들이, 아무것도 없는 내게로 와서 이 책의 주제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함께 연구해 주었다. 그 제자들이 이 책의 공저자들이다. 지금은 대학교수로서, 국책연구기관과 공공기관의 연구원으로서, 그리고 박사후보자로서 정부의 디지털 혁신을 연구하고 실무를 담당하고 있다. 지면을 통해 청출어람(靑出於藍)의 제자들에게 고마움과 자랑스러움을 전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공부한다는 이유로 이기적인 아들의 모든 것을 이해해 주시는 양가의 부모님께 감사드린다. 아내에게는 늘 부족한 남편이고 자식들에게는 머릿속이 자기 연구로만 가득 찬 재미없는 아빠다. 이 고마움을 어떻게 다 갚을 수 있을까… 언젠가 좋은 학자가 된다면 가족들에 대한 미안함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을 담아 이 책을 출간한다.

2020년 10월
관악의 연구실에서
저자들을 대표하여 엄석진 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엄석진(지은이)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및 한국행정연구소 겸무연구원.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와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한민국 공군에서 계획 및 보급 장교, LG CNS Entrue Consulting Partners에서 컨설턴트로 실무 경력을 쌓았고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의 National Center for Digital Government에서 Doctoral Fellow, 한국행정연구원 초청연구원, 순천향대학교 행정학과 전임강사를 역임하였다. 2017년 서울행정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 Digital Government Society가 주관하는 DG.O 2020 Conference의 Program Co-Chair (2019-2020)로 활동하였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과 지능정보시대의 민주주의, 한국 행정의 역사적 변화와 연속성, 행정이론 간의 충돌과 논쟁 등이다. 주요 연구 실적으로는 “Can social media increase government responsiveness? A case of Seoul, Korea”(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018: 공저),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016: 공저), 「일본 국가기구의 변화와 연속성」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공저) 등이 있다(sjum21@snu.ac.kr).

최낙범(지은이)

서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및 대학성과관리단장. 경찰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경찰행정, 조직관리, 성과관리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2016),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cus on the perception of South Korean police officers”(2019),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찰조직에서의 상호작용공정성을 중심으로”(2013) 등이 있다.

김준형(지은이)

한국행정연구원 정부혁신연구실 부연구위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서울대학교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에서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부혁신, 전자정부, 디지털 정부, 정보(통신)정책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managerial dimension of open data success”(2019), “Can social media increase responsiveness?”(2018),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전자정부의 발전수준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2016) 등이 있다.

황한찬(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조직이론과 네트워크/거버넌스 이론의 연계, 디지털 혁신을 통한 공공가치의 개선 등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소셜미디어 활용을 통한 지방행정의 반응성 개선: 성남시의 트위터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Can social media increase government responsiveness? A case of Seoul, Korea”(2018) 등이 있다.

정희정(지은이)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고용서비스, 고용정책 거버넌스, 전자정부 등이다. 주요 연구실적으로는 「청년 구직자의 취업 달성 요인에 관한 연구: 공공 고용서비스 알선대상자를 중심으로」(2016),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전자정부의 발전수준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2016), 「고용서비스기관 인증평가 지표개발 연구」(2018) 등이 있다.

서교리(지은이)

한국정보화진흥원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연구 분야는 전자정부, 디지털 정부혁신, 정보화 정책 등이다. 주요 연구실적으로는 「한국 중앙정부의 모바일 전자정부 발전수준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2016), 「2018 전자정부 기술트렌드 조사」(2017), 「인공지능 기반 챗봇 서비스의 국내외 동향분석 및 발전 전망」(2018), 「지능형정부 구현을 위한 블록체인 동향분석 및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2018)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 1 장 정부의 디지털 혁신 
Ⅰ. 서론: 행정혁신의 동인으로서의 정보기술
Ⅱ. 전자정부
1. 전자정부의 정의
2. 전자정부 서비스의 구분
3. 전자정부의 고도화
Ⅲ. 스마트 정부
1. 스마트 정부의 등장 배경
2. 스마트 정부의 개념
3. 스마트 정부의 특성 및 다양한 측면
Ⅳ. 결론
참고문헌

제 2 장 정부의 디지털 혁신: 미국과 한국의 사례 
Ⅰ. 서론
Ⅱ. 미국에서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
1. 1980년대까지의 정보기술 도입
2. 클린턴 행정부의 전자정부정책
3. 부시 행정부의 전자정부 고도화정책
4. 오바마 행정부의 디지털 혁신정책
Ⅲ. 한국에서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
1. 전두환·노태우 정부의 「행정전산망사업」
2. 김영삼 정부의 행정정보화
3. 김대중 정부의 「전자정부 11대 과제」
4. 노무현 정부의 「전자정부 31대 로드맵사업」
5. 이명박 정부의 국가정보화
6. 박근혜 정부의 「정부 3.0」
Ⅳ. 한국의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체계 분석
1.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체계의 구성 요소
2. 전두환 정부
3. 김영삼-김대중 정부
4. 노무현 정부
5. 이명박 정부
6. 박근혜 정부
Ⅴ. 결론
참고문헌

제 3 장 정보시스템 성공의 정의와 영향 요인 
Ⅰ. 서론
Ⅱ. 정보시스템 성공의 정의와 측정
1. 성능의 우수성
2. 성숙 수준
3. 가치 창출
Ⅲ. 정보시스템 성공의 영향 요인
1. 기술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3. 행위자 요인
4. 제도적 요인
Ⅳ. 결론
참고문헌?

제 4 장 정보시스템 성공과 영향 요인에 대한 개념적 모형 
Ⅰ. 서론
Ⅱ. Fred Davis와 그의 동료들의 기술수용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Ⅲ. William DeLone과 Ephraim McLean의 정보시스템 성공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Ⅳ. Jane Fountain의 기술 구현 개념틀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Ⅴ. Jane Fountain의 다층 통합 정보시스템 개념틀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Ⅵ. Kenneth Kraemer와 그의 동료들의 컴퓨터활용 변화과정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Ⅶ. 전자정부 성공구현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Ⅷ. 결론
참고문헌

제 5 장 전자정부 성공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1: 제도적 배열 
Ⅰ. 서론
Ⅱ.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개념, 중요성, 유형
1.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개념
2.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중요성
3.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유형: OECD의 유형 분류
Ⅲ. 분석: 한국과 미국의 정부기능연계모델(BRM) 구축
1. 한국과 미국에서의 BRM 구축 결과
2. 미국 부시 행정부와 한국 노무현 정부의 전자정부 추진체계
3. 정부기능연계모델사업 과정: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활동을 중심으로
Ⅳ. 결론
참고문헌

제 6 장 전자정부 성공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2: 행위자 
Ⅰ. 서론
Ⅱ. 전자정부 추진과정에서의 행위자
1.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공무원의 지적 역량
2. 전자정부 추진과정에서의 행위자에 대한 연구
Ⅲ. 분석
1. 지식중개자(knowledge broker)
2. 분석틀
3. 연구 대상과 방법
4.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제 7 장 소셜미디어 정부 
Ⅰ. 서론
Ⅱ. 소셜미디어 정부 개관
1. 소셜미디어의 정의
2. 소셜미디어의 특성
3. 공공부문에의 소셜미디어 도입과 기대효과
4. 소셜미디어의 효과에 대한 찬반 논쟁
Ⅲ. 분석 1: 한국 광역자치단체장의 트위터 활용 분석
1. 정부의 트위터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2. 분석틀
3. 분석 결과
4. 토론
Ⅳ. 분석 2: 서울시의 트위터 활용 및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1. 이론적 배경
2. 연구 방법틀
3. 분석 결과
4. 토론
Ⅴ. 분석 3: 성남시의 트위터 활용 및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1. 이론적 배경
2. 연구 방법
3. 분석 결과
4. 토론
Ⅵ. 결론
참고문헌

제 8 장 모바일 전자정부: 공공 모바일 앱 
Ⅰ. 서론
Ⅱ. 모바일 전자정부의 개요
1. 모바일 전자정부의 정의와 특성
2. 모바일 앱의 정의와 기술적 특성
3. 모바일 앱의 등장과 보편화
4. 공공부문에서의 모바일 앱의 도입과 활용
Ⅲ. 한국의 모바일 전자정부 활용 현황 및 성숙 수준
1. 모바일 전자정부 활용 현황
2. 모바일 전자정부 활용 성숙 수준
Ⅳ. 분석
1. 선행연구 검토
2. 중앙행정기관의 공공 모바일 앱 성숙 수준의 결정 요인 분석
3. 지방자치단체의 공공 모바일 앱 성숙 수준의 결정 요인 분석
4. 중앙행정기관의 공공 모바일 앱 성숙 수준 영향 요인에 관한 질적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부

제 9 장 스마트 워크 
Ⅰ. 서론
Ⅱ. 스마트 워크의 개념과 유형
1. 스마트 워크의 개념과 등장 배경
2. 스마트 워크의 유형
Ⅲ. 스마트 워크의 확산과 사례
1. 미국과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스마트 워크 도입과 활용
2. 한국 정부의 스마트 워크 도입과 활용
Ⅳ. 분석
1. 스마트 워크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접근법
2. 선행연구 결과
3. 연구설계
4. 분석 결과
5. 스마트 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제10장 정보공개제도와 공공데이터 개방 
Ⅰ. 서론
Ⅱ. 정보공개제도
1. 정보공개를 통한 행정의 투명성 제고
2. 한국의 정보공개제도
Ⅲ. 공공데이터 개방
1. 데이터 개방의 개념
2. 데이터 개방의 등장 배경
3. 데이터 개방의 효과
4. 한국의 공공데이터 개방
Ⅳ. 분석: 공공데이터 개방의 결정 요인-지방자치단체의 경험을 중심으로
1. 이론적 배경: 데이터 개방의 장애 요인과 성공 요인
2. 선행연구의 검토: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 개방 성공의 결정 요인
3. 한국 광역자치단체의 데이터 개방 결정 요인 분석:
퍼지집합분석의 적용
4. 한국 기초자치단체의 데이터 개방 결정 요인 분석:
다변량회귀분석의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제11장 지능정보시대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 
Ⅰ. 서론
Ⅱ. 지능정보시대의 주요 기술과 특성
1. 주요 기술 개관
2. 가상 세계와 실제 세계의 역동
Ⅲ. 지능정보시대의 행정의 변화 전망
1. 기술 중심적 낙관론
2. 기술과 사회의 공진화를 강조하는 시각
Ⅳ. 무엇을 할 것인가?
1. 정부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역량 강화
2. 정부의 데이터 및 정보자원 관리체계의 정비
3. 개인정보의 활용과 보호의 균형
4. 기술혁명에 대응하는 포용적이고 책임 있는 리더십
Ⅴ.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연구 내용의 출처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