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1647 | |
005 | 20201224110839 | |
007 | ta | |
008 | 201224s2020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59967384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5599516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495.77 ▼2 23 |
085 | ▼a 497.702 ▼2 DDCK | |
090 | ▼a 497.702 ▼b 2020z3 | |
100 | 1 | ▼a 나찬연, ▼d 1960- |
245 | 1 0 | ▼a 중세 국어 입문 : ▼b 이론과 강독 / ▼d 나찬연 |
260 | ▼a 서울 : ▼b 경진출판, ▼c 2020 | |
300 | ▼a 318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315-318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2 2020z3 | 등록번호 1118407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중세 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세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 내용을 기술한 교재이다.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중세 국어의 텍스트를 소개하여, 중세 국어의 입문자들에게 중세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이론편’과 ‘강독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의 이론편에서는 15세기의 국어를 중심으로 ‘문자론,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의 이론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2부에서는 15, 16세기에 발간된 대표적인 한글 문헌을 선정하여, 이들 문헌에 실린 텍스트의 문장을 현대어로 번역하고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였다.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중세 국어의 텍스트 소개
중세 국어 입문자들을 위해 기획하다
≪중세 국어 입문≫은 중세 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세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 내용을 기술한 교재이다. 곧, 이 책은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중세 국어의 텍스트를 소개하여, 중세 국어의 입문자들에게 중세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이는 책이다.
이 책은 ‘이론편’과 ‘강독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의 이론편에서는 15세기의 국어를 중심으로 ‘문자론,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의 이론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2부에서는 15, 16세기에 발간된 대표적인 한글 문헌을 선정하여, 이들 문헌에 실린 텍스트의 문장을 현대어로 번역하고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였다.
이 책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법≫(2010)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언어와 매체≫(2019) 등의 학교 문법 교과서에 기술된 문법 교육의 내용과 체제에 기반하여 집필되었다. 그리고 이 책이 중세 국어의 입문서라는 특징 때문에, 저자가 이전에 발간한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1, 2≫, ≪중세 국어의 이해≫, ≪중세 국어 강독≫, ≪근대 국어 강독≫에 기술된 내용이 이 책에 많이 반영되어 있음을 밝힌다.
지은이는 중세 국어를 배우는 이들이 ≪중세 국어 입문≫, ≪중세 국어의 이해≫, ≪중세 국어 강독≫, ≪근대 국어 강독≫을 순차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중세 국어에서 현대 국어에 이르는 국어사에 대한 학습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제1부 이론편 제1장 문자와 음운 1.1. 훈민정음 1.1.1. 제자의 일반 원리 1.1.2. 초성 글자의 제자 원리 1.1.3. 중성 글자의 제자 원리 1.1.4. 글자의 운용법 1.2. 표기법 1.2.1. 표음주의와 표의주의 표기법 1.2.2. 종성의 표기 1.2.3. 사잇소리의 표기 1.2.4. 한자어의 표기 1.2.5. 붙여쓰기 1.3. 음운 1.3.1. 음운 체계 1.3.2. 음절 1.3.3. 음운의 변동 제2장 형태론 2.1. 품사 2.1.1. 품사의 분류 2.1.3. 관계언 2.1.5. 수식언 2.2. 단어의 형성 2.2.1. 단어의 짜임새 2.2.2. 합성어 2.2.3. 파생어 2.2.4. 합성어의 파생어 되기 2.2.5. 합성어와 파생어의 음운 변동 제3장 통사론 3.1. 문장 성분 3.1.1. 문장 성분의 개념 3.1.2. 문장 성분의 유형 3.2. 문장의 짜임 3.2.1. 이어진 문장 3.2.2. 안은 문장 3.3. 문법 요소(피동?사동?부정 표현) 3.3.1. 피동 표현 3.3.2. 사동 표현 3.3.3. 부정 표현 제2부 강독편 * 일러두기 1. 훈민정음 언해본 2. 석보상절 3. 월인석보 4. 번역노걸대 5. 소학언해 참고 문헌